$\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똥쑥 분말을 첨가한 전병의 특성
Properties of jeonbyeong prepared with Artemisia annua L. powder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0 no.5, 2015년, pp.644 - 649  

문은우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헌조 (대숲맑은영농조합법인) ,  박정숙 (광주여자대학교 대체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 jeonbyeong. Contents of crude ash increased as the amount of Artemisia annua L. powder increased, whereas crude fat content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tents of Artemisia annua L. powder, tot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개똥쑥의 연구는 천연물학, 약학, 분자생물학적인 관점에서 주로 이루어져 왔으며, 개똥쑥을 이용한 가공제품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똥쑥을 부원료로 첨가한 전병을 제조하고, 영양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개똥쑥을 활용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료별 선호도 결과 전병에 개똥쑥 분말을 몇 g 첨가 시 향미, 맛, 식감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는가? 식이섬유는 개똥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병에 함유된 식이섬유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관능에 따른 시료별 선호도 결과 개똥쑥 100 g 첨가 시료가 향미(flavor), 맛(taste), 식감(chewiness)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 기호도와 다양한 관능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개똥쑥 100 g을 첨가하여 제조한 개똥쑥 전병의 소비자 선호도가 가장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똥쑥의 특징은? 그 중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잔잎쑥, 개땅쑥으로도 불리며 길가나 빈터, 강가 등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서 높이가 약 1 m 정도에 이르고 6~8월에 녹황색의 꽃이 피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 각지의 길가나 들판에 무리지어 야생하고 있으며 잎에는 잔털이 있고 강한 냄새가 나는 특징이 있다(Kim et al. 2001).
개똥쑥의 항 말라리아 효능을 지닌 성분은? 2006; Lee 2009). 또한 오래전부터 개똥쑥은 말라리아 치료제로 이용되어져 왔는데, sesquiterpene의 주성분인 artemisinin이 강력한 항 말라리아 효능을 지니므로 현재 의약품으로도 이용되고 있다(Klayman 1985). 최근에는 유방암 세포를 선택적으로 괴사시키는 항암 활성이 입증됨으로써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생약제로 평가되고 있다(Singh & Lai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 Avery MA, Chong WKM, Jennings-White C. 1992. Stereoselective total synthesis of (+)-artemisinin, the antimalarial constituent of Artemisia annua L. J. Am. Chem. Soc., 114(3):974-979 

  3. Choi SR, You DH, Kim JY, Park CB, Ryu J, Kim DH, Eun JS. 2008.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Artemisia capillaris Thunberg. Korean J. Med. Crop. Sci., 16(2):112-117 

  4. Choi HC, OH SK. 1996. Diversity and function of pigments in colored rice. Korean J. Crop. Sci., 41(suppl1):1-9 

  5. Gancedo M, Luh BS. 1986. HPLC analysis of organic acids and sugars in tomato juice. J. Food Sci., 51(3):571-573 

  6. Judd DG, Wyszecki G. 1964. Applied colorific science for industry and business. Diamond Co., Japan, pp 333-334 

  7. KFDA. 2005. Food Code. A separate volume, Munyoung sa, Seoul, Korea, pp 3-29 

  8. Kim HC, Kil BS, Lee YH. 2001.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Korean J. Ecol., 24(3):137-140 

  9. Kim KB, Yoo KH, Park HY, Jeong JM. 2006. Anti-oxidatives activities of commercial edible plant extracts distributed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4):328-333 

  10. Kim HC, Kil BS, Lee YH. 2001. The antifungal activity of chemical substances from Artemisia annua. Korean J. Ecol. 24(3):137-140 

  11. Klayman DL. 1985. Qinghaosu (Artemisia): An antimalarial drug from China. Science, 228(4703):1049-1055 

  12. Lee CB. 1997. Korea botanical book. Jinmyung Publication Co., Seoul, Korea, pp 292 

  13. Lee JH, Park CB, Park CG, Son YD, Moon SG. 2010. Studies on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rtemisia annua L.. Korean J. Med. Crop. Sci., 18(1):46-50 

  14. RDA. 2006. Food Composition Table 7th ed.. National Rural Resources Development Institute, Suwon, Korea, pp 150-151 

  15. Romero MR, Serrano MA, Vallejo M Efferth T, Alvarez M, Marin JJ. 2006. Antiviral effect of artemisinin from Artemisia annua against a model member of the Flaviviridae family, the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Planta Med., 72(13): 1169-1174 

  16. Ryu JH, Kim RJ, Lee SJ, Kim IS, Lee HJ, Sung NJ. 2011. Nutrition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2):163-170 

  17. Singh NP, Lai H. 2001. Selective toxicity of dihydroartemisinin and holotransferrin toward human breast cancer cells. Life Sci., 70(1):49-56 

  18. Schmid G, Hofheinz W. 1983. Total synthesis of qinghaosu. J. Am. Chem. Soc., 105(3): 624-625 

  19. Waters Associates. 1990. Analysis of amino acid by PICO.TAG System. Young-in scientific Co., Ltd., Seoul, Korea, pp 41-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