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연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동향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 = Bulleti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8 no.11, 2015년, pp.18 - 25  

전용석 (건국대학교 융합신소재공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그림 7. 상단전극을 제조하기 위한 스크린프린팅 방법 및 열처리 를 방법을 통한 효율 변화 측정.
  • 그림 5. 유연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목, 손목, 손가락에 적 용한 예 및 굽힘 테스트에 따른 효율 변화 측정.
  • 성균관대학교의 정현석 교수 그룹 역시 착용 가능한 소자의 전원 공급장치 응용을 위한 유연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를 2014년 성공하였다 [5]. 이 그룹은 페로브스카이트 층이 굽힘동작이 연속될 때 피로도가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히고, 굽힘 테스트에서 반지름을 1 mm까지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2% 이상의 매우 높은 효율을 구현하였는데, 이 구조는 ITO층을 PEN 필름에 입힌 기판에 제조되었다.
  • 물론 유기태양전지를 사용하면 초경량 태양전지가 가능하지만, 현재고출력까지는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Bauer 그룹은 23 W/g을 약 12% 효율을 내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로 구현하고, 이로 제조된 비행기에 탑재하여 운행하는 것을 시도하였다. 현재 가장 높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경우 약 130 마이크론 정도의 주층 두께가 필요하다.
  • TiOx층을 80도 정도에 서플라즈마 증진된 PEALD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인간의 몸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손, 목, 손가락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유연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이 그룹에서 연구된 유연성 태양전지의 구조와 효율은 그림 4에서 보여지고 있다.

대상 데이터

  • 50 마이크론 두께의 PET 기판에 투명한 은전극을 완성하였다 [4]. AZO (2 wt% Al 도핑된 ZnO)와 은이 30 nm와 9 nm로 DC 마그네토론 스퍼터링 방법으로 준비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유연성 전극은 VIS 영역에서 약 81%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며, 면저항은 약 7.
  • Bolink 그룹은 유연성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PET 기판에 제조하였다. 50 마이크론 두께의 PET 기판에 투명한 은전극을 완성하였다 [4].
  • 이 그룹은 Zn2SnO4 (ZSO)를 새로운 합성 방법을 통해 기존 방법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고른 나노입자들을 만드는 것을 성공하였다. ZnCl2와 SnCl4를 기본으로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100도 이하에서 합성하였다. ZSO는 기판 위에 도포된 후 적당한 열처리한 후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론/모형

  • 이들은 TiO2층이 500도 정도에서 소성되었을 때 가장 좋은 효율을 낸다는 것을 알고, 그와 상응하는 TiO2를 저온에서 구현하는데 집중하였다. TiOx층을 80도 정도에 서플라즈마 증진된 PEALD (plasma 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인간의 몸에 장착되기 위해서는 손, 목, 손가락 등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유연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창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유연성화를 위해 사용되었던 방법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가 고온 열처리를 극복하며 전극에서 중요한 역할을 완수하기 위해서는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던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어떻게 이런 상황을 해결하고자 했는지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초창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유연성화는 대체로 저온 TiO2를 개발하는 방법과, 고압을 이용하여 입자간의 결합을 증대시키는 방법, 그리고 고온 처리된 TiO2층을 다양한 방법으로 일반 전극에 이동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저온 합성된 TiO2는 크게 성공적이지 못하였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이점은 무엇인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초창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형태에서 고체상태의 태양전지로 연구된 이후 매우 빠르게 효율 기록을 경신하며 새로운 세대의 태양전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1-3]. 최근에는 20.1%의 효율을 보이며, 실리콘 태양전지 효율을 능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기본 구조는 기존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것과 유사하지만, 액체전해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박막태양전지의 제조방법을 따라갈 수 있다. 따라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보다 더욱 저렴한 제조원가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도 대표적인 장점이 되겠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은 TiO2층을 포함하는 전도성 기판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주층을 1차 혹은 2차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그 위에 다양한 정공전달체 및 전극 재료로 전지를 마감한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따라서, 염료감응 태양전지보다 더욱 저렴한 제조원가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도 대표적인 장점이 되겠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조 방법은 TiO2층을 포함하는 전도성 기판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주층을 1차 혹은 2차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으며,그 위에 다양한 정공전달체 및 전극 재료로 전지를 마감한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그림 1에 염료감응 태양전지 구조와 비교되어 도식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