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정맥 마루금의 산림식생유형 및 식생구조
The Types and Structures of 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the Jeongmaeks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53 - 763  

박석곤 (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과) ,  오구균 (호남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한지역에 위치한 9곳의 정맥 마루금을 대상으로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정맥별로 출현한 식물군락명을 중심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석하였고, 전체 정맥의 식생조사 데이터로 정량적 분석(TWINSPAN, DCA)을 실시하여 식물군락 분류 및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였다. 정맥별 출현군락명의 비율은 호남 및 낙동정맥에서 신갈나무, 굴참나무 등의 낙엽성 참나무류 우점군락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한남금북, 낙동, 호남, 금남호남, 금남, 금북정맥에서는 타 정맥에 비해 낙엽성 참나무류 및 낙엽활엽수류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이에 비해, 낙남과 한남, 한북정맥은 인공림 출현군락명의 비율이 높은 산림식생유형을 보였다. 정량적 분석 결과, 8개의 군락이 그룹화되었는데 그 군락은 팽나무-예덕나무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곰솔-리기다소나무림, 소나무-신갈나무군락, 신갈나무-굴참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락, 신갈나무-잣나무군락이었다. 정맥을 대표하는 산림식생유형은 신갈나무 우점군락, 소나무 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군락 등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dentify the overall status of vegetation in the nine ridges of the Jeongmaeks located in South Korea, the types of forest vegetation were analyzed with focus on the names of the plant communities that appeared in each Jeongmaek. The vegetation investigation data for the entire mountain rang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한지역에 위치한 9곳의 정맥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식생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각 정맥별로 출현한 식물군락명을 중심으로 산림식생유형을 분석하고, 전체 정맥의 식생조사 데이터로 군집분석(classification analysis) 및 서열분석(ordination analysis)을 실시하여 식물군락 분류 및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houng의 연구에 따르면 식생의 자연도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낙엽활엽수림의 우점군락은 신갈나무군락(79%)으로서 백두대간의 마루금 인근에 대부분 신갈나무가 분포하였다. 또한, 녹지자연도는 강원도의 향로봉에서 남쪽으로 갈수록 지리산 지역을 제외하고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속리산에서 지리산 사이 지역에서는 식생의 자연도가 고지대에 비해 낮았고,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을 지나는 백두대간은 식생의 훼손이 크고 조림지 면적이 넓었다고 분석하였다.
정맥 및 정간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백두대간은 한반도의 생태축이자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중요한 핵심보호지역이다. 이와 더불어 백두대간에서 옆으로 뻗어 있는 산줄기인 정맥 및 정간은 국토의 생태네크워크를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백두대간은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해 지정, 보호되어 지속적으로 자원실태조사 및 복원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백두대간과 비교한 정맥의 산림식생유형 차이점은? 정맥과 백두대간의 산림식생유형 유사점은 해발고가 낮고 도시에 인접한 지역에 인위적 간섭으로 식생발달이 퇴행되고 인공림이 주로 출현하고, 낙엽성 참나무류 출현군락의 비율이 높다는 점이다. 반면, 백두대간에 비해 정맥은 해발고도가 낮고 도시에 인접해 있어 고지대 침엽수류군락은 출현하지 않았으며, 자연성이 낮은 인공림과 식생발달단계의 소나무 우점군락, 낙엽성 참나무류 출현군락이 비교적 높다는 점이었다. 본 연구결과로 정맥별 출현군락 및 식생구조 분석 등을 통해 전반적인 정맥의 식생상황 및 산림식생 분포패턴을 파악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n, Y.H. (2003) Analysis of Vegetative Composition in Mt. Chonggye through Phytosociology. Kor. Soc. Envir. Restor. Reveg. Tec. 6(1): 15-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ung, Y.S. (1998) Vegetation in the Paekdoo Great Mountain Chain. Environmental research 15: 464-6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o H.S. and S.D. Lee (2010)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Kor. J. Env. Eco 24(5): 582-5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S., S.D. Lee and M.J. Kim (2012) Vegetation Structure of Jeolgu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6(5): 770-7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H.J., B.C. Lee and J.H. Shin (2004)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in South Korea. Jour, Koreaa For. Soc. 93(5): 331-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S.H. and H.M. Kang (2006) Vegetation Structure of the Kumsaenggol in the Wolchul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4): 464-4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9. Hill, M.O. (1979a) DECORANA-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0pp. 

  10. Hill, M.O. (1979b)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0pp. 

  11. Jeong, Y.S. (1998) Vegetation in the Paekdoo Great Mountain Chain. Environmental research 103: 464-4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D.P. and S.H. Choi (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Gajisan to Neungdongsan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18(3): 279-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Y.S., K.J. Song, Y.H. An, K.K. Oh, K.J. Lee, Y.M. Lee and S.J Jeong (2010) Handbook of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Kwang-il Publishing Co. (3rd.ed.). 361pp. (in Korean) 

  14. Korea Forest Service (2009)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437pp.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 (2010)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Honnam-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439pp. (in Korean) 

  16. Korea Forest Service (2010b)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Forest Service, 283pp.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2011a)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Geumbuk-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465pp. (in Korean) 

  18. Korea Forest Service (2011b)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Forest Service, 412pp.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 (2012a)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Nacnam-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437pp. (in Korean) 

  20. Korea Forest Service (2012b)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Forest Service, 540pp. (in Korean) 

  21. Korea Forest Service (2013a)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Hannam-Jeongmaek and Kumna-Jeongmaek . Korea Forest Service, 493pp. (in Korean) 

  22. Korea Forest Service (2013b)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Forest Service, 664pp. (in Korean) 

  23. Korea Forest Service (2014a) The Study on a Conservation Plan and Status Survey in the Hanbuk-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310pp. (in Korean) 

  24. Korea Forest Service (2014b)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 Forest Service, 622pp. (in Korean) 

  25.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 (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7(2): 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S.D., D.W. Kim and S.H Choi (2011)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5(3): 378-3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J.K., S.H. Choi and J.C. Jo (1992)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in Mt . Jookyup by the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The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Kwangnung Forest (II)-. Jour. Korean For. Soc. 81(3): 214-2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Oh, K.K., H.M. Kang and S.G. Park (2014)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Naknam-Jeongmaek. Kor. J. Env. Eco 28(6): 725-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Orloci, L. (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 2nd ed. W. Junk 47, The Hague, 468pp. 

  30. Park, I.H. (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hin. H.S. H.J. Kim, S.H. Han,T.G. Kim and C.W. Yun (2014) Phytosociological Actual Vegetation Classification and Flora in Mt. Jiryeong for Baekdudaegan Geum-Buck Mountain Range. Korean Journal of Apiculture 29(2): 93-10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