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동정맥 마루금 일대의 소나무우점군락 특성 -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을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on the Mountain Ridges of the Nakdong-Jeongmaek - Focusing on the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4, 2016년, pp.751 - 761  

강현미 ((사)백두대간숲연구소) ,  박석곤 (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이상철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낙동정맥은 남북방향으로 길쭉하게 이어져 있어 다른 정맥에 비해 기후대 변화가 뚜렷하다. 이곳의 마루금에 대표적으로 출현하는 소나무우점군락의 식생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낙동정맥을 대표하는 5곳(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에서 소나무우점군락을 조사하였다. 군집분석(TWINSPAN)에 의해 교목층에 소나무가 우점하는 가운데 하층식생에 출현하는 식별종의 생육환경 특성에 따라 4개 군락으로 나누어졌다. 소나무우점군락 I은 쇠물푸레나무와 철쭉이 하층에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정맥 마루금과 능선부에 전형적으로 출현하는 식생이었다. 소나무우점군락 II는 사면상부에 위치했고 교란으로 인해 숲 내부로 광량 유입이 많아 개옻나무 등 낙엽활엽수종이 출현한 이차림이었다. 소나무우점군락 III은 다른 군락에 비해 생육환경 범위가 넓고 신갈나무, 비목나무 등 다양한 낙엽활엽수종의 출현이 많아 향후 식생구조 변화가 예상된다. 마지막, 소나무우점군락 IV에서 떡버들과 물박달나무가 출현하는 것으로 보아, 토양이 습하고 해발고가 높은 곳에 분포하는 군락인 것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운주산 및 고헌산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대도시 포항시와 울산시에 가까워 인위적 교란으로 인해 타 지역에 비해 식생 발달단계로 종다양성이 높았고, 소나무 수령이 비교적 적었다. 반면, 나머지 지역의 소나무우점군락은 종다양성이 낮아 안정된 식생구조를 보였고, 소나무 수령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position of Nakdong-Jeongmaek stretches from south to north, it shows clear changes of the climate compared to other mountain rang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Pinus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PDDC), which typically appeared on the ridge of thi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 기후대 변화 및 낙동정맥 마루금상의 소나무군락에 대한 식생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북방향으로 길쭉하게 이어져 있는 낙동정맥의 특성에 따른 소나무우점군락의 식생 구조 특성을 지역 및 군락별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동정맥이란 무엇인가? 낙동정맥(洛東正脈)은 여남 신경준의 ‘산경표(山徑俵)’ 에 따라 우리나라의 산맥을 1대간(大幹), 1정간(正幹), 13 정맥(正脈)으로 구분(Lee et al., 2011)하는 산줄기 중 남한 지역에 위치한 9개 정맥 중 하나이다. 대부분의 정맥이 백두 대간에서 갈라져 서쪽으로 이어지는 산줄기를 이루고 있다(Lee et al.
소나무의 특징은?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정맥에 비해 다양한 기후대를 아우른다. 한편,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한반도 전역에서 자생하는 낙엽성 참나무류와 더불어 우리나라 산림경관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목으로서 한반도의 산악, 건조한 구릉지 및 습한 서식지 등 도처에 분포한다. 특히,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일본, 중국의 산둥반도, 백두산 동북부 지역에 소나무가 많이 분포한다(Lee, 1980).
낙동정맥만의 특이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한 특성은? 반면, 낙동정맥은 강원도 태백시에 위치한 매봉산에서 부산광역시 몰운대까지 남북으로 길게 이어진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다른 정맥에 비해 다양한 기후대를 아우른다. 한편, 소나무(Pinus densiflora)는 한반도 전역에서 자생하는 낙엽성 참나무류와 더불어 우리나라 산림경관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수목으로서 한반도의 산악, 건조한 구릉지 및 습한 서식지 등 도처에 분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B.H. and H.J. Lee(1999) Phytosociological studies for vegetation conservation of pine forest.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2(1): 2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3. Cho H.S. and S.D. Lee(2010)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Kor. J. Env. Eco. 24(5): 582-5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H.S., S.D. Lee and M.J. Kim(2012) Vegetation structure of Jeolgu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6(5): 770-7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H.S. and S.D. Lee(2013)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Haneoryoung-Daetjae 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 J. Env. Eco. 27(6): 733-7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H.S. and S.H. Choi(200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Kor. J. Env. Eco. 15(4): 369-3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W., J.I. Kwak, K.J. Lee and W.K. Choi(2009) A study for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Byeonsanbando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5): 447-4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S.H., W.K. Lee, D.A. Kwak, S.C. Lee, Y.H Son, J.H. Lim and J. Saborowski(2011) Predicting forest cover changes in future climate using hydrological and thermal indices in South Korea. Climate Research 49: 229-245 

  9. Chun, J.H. and Lee, C.B.(2013)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using ecological niche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19-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un, Y.N., H.J. Lee and I. Hayashi(2007)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s in Korea. Kor. J. Env. Eco. 21(3): 257-2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o, J.C., W. Cho and B.H. Han(1995)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in forest in Chuwang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8(2): 121-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J.S.(2014) Science of Piuns densiflrora : form DNA to Management. Korea Univ. Publishing. 57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J.Y. and K.J. Lee(2012) Vegetational structure and the density of thinning for the inducement of the ecological succession in artificial forest, national parks: In Case of Chiaksan, Songnisan, Deogyusan and Naejangsan. Kor. J. Env. Eco. 26(4): 604-6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Y.S., K.J. Song, Y.H. An, K.K. Oh, K.J. Lee, Y.M. Lee and S.J Jeong(2010) Handbook of Korean Landscape Woody Plants. Kwang-il Publishing Co.(3rd.ed.). 361pp.(in Korean) 

  15.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5) Survey Natural Pinus densiflora Forest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246pp. (in Korean) 

  16. Lee, C.B.(1980) Flo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990pp. (in Korean) 

  17. Lee, K.J., B.H. Han, H.G. Lee and T.H. Noh(2012)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1993-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 Kor. J. Env. Eco. 26(4): 559-5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K.J., J.W. Choi, W.K. Choi and B.H. Han(2006)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1989-2004)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0(2): 188-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K.J., K.S. Ki and J.W. Choi(2009) Vegetation success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the Beopjusa area, Songn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23(2): 208-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K.J., S.H. Choi, H.S. Cho and Y.W. Lee(1994)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okyusan national park: Case study of Paekryunsa-Kumpotan. Journal of Korean Applied Ecology 7(2): 135-1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S.D., D.W. Kim and S.H Choi(2011) Analyzing vegetation structure of Seongsi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25(3): 378-3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S.D., S.H. Hong and J.S. Kim(2012)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Daethae(hill) Baekbongryung(ridge), the Baekdudaegan Mountain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07-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Oh, H.K., D.H. Kim, Y.K. Han, H.M. Kang and J.H. You (2013)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vegetation to manage the function of forest recre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4): 169-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Oh, K.K., H.M. Kang and S.G. Park(2014)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Naknam-Jeongmaek. Kor. J. Env. Eco. 28(6): 725-7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S.G. and H.M. Kang(2015)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line Area of the Nakdong-Jeongmaek. Kor. J. Env. Eco. 30(3): 386-39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S.G. and K.K. Oh(2015) The types and structures of 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the Jeongmaeks in South Korea. Kor. J. Env. Eco. 29(5): 753-7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ianka, E.R.(1970) On r-and K-selection. American Naturalist 104: 592-597. 

  28. Yang, H.S.(2002) Phytosociological studies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islets of southwestern coast,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5(3): 197-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Yun, J.W., S.C. Jung, G.S. Koo, J.H. Lee, C.W. Yun and S.H. Joo (2010)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on Sobaeksan national park in the Baekdudaegan. Kor. J. Env. Eco. 24(6): 630-6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