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와 전망: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식 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The State of Scientific Citizenship in Korea: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citizen's perception survey on the science and technology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5 no.1, 2015년, pp.3 - 43  

강윤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김지연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  박진희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  이영희 (가톨릭대학교, 사회학과) ,  정인경 (가톨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글은 <과학기술에 대한 시민의식조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한국사회에서 과학기술 시티즌십, 전문지식권력, 거버넌스의 전반적 경향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그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설문조사 대상으로 선정된 13개의 이슈 중 11개를 생식기술, 원자력, 기후변화와 에너지, 식품위험, 정보통신 등 5개 세부 분야로 묶고, 각 분야의 경향성과 특징을 분석한 후, 해석과 함께 그 함의를 도출하고 있다. 그런 다음, 각 분야에서 이루어진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반적 경향성을 모두 여섯 가지로 종합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앞선 분석과 해석을 바탕으로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미래를 전망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essay aims to search for the general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citizenship, expert knowledge power, and governance in Korea,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citizen's perception survey on science and technology. Also, based on the analysis, we try to outline the state of scien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자력에서 생기는 문제점은? 원자력(핵)은 중대사고의 위험성과 독성 폐기물 처리의 곤란함 때문에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해외에서도 아주 민감하고 논쟁적인 기술이었다. 더욱이 2011년 3월 11일, 일본에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는 인접국가인 한국의 시민들에게도 커다란 우려를 자아내기에 충분한 변수였다.
온라인 요리커뮤니티 ‘82.cook’의 구성원은? cook’의 활약상을 빼놓을 수 없다. 이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은 주로 주부였는데, 2011년의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식품을 매개로 한 방사능 피해가 예상되자 ‘차일드세이브’를 결성하여 방사능 위험을 학습하고, 그를 바탕으로 방사능 요염을 직접 측정해서 공개하는 방식으로 사회적 쟁점화를 적극 시도했다(이영희, 2014). 이런 현실은 과학기술의 시민참여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한층 더 구체화하여 시민의 주체성이라는 측면을 강조한 과학기술 시티즌십1)에 대한 논의가 우리 사회에서도 중요해졌음을 잘 보여준다.
한국사회에서 발생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과 논쟁 사례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영향력이 커질수록 과학기술을 둘러싼 관심과 사회적 우려도 함께 커지고 있다. 한국사회에서도 황우석 파동(2005), 미국산 소고기 수입에 따른 광우병 파동(2008), 구제역 파동(2010), 후쿠시마 원전사고(2011)와 그에 따른 일본 수입수산물 방사능 파동(2013) 등을 비롯하여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갈등과 논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시민들은 이 과정에서 다양한 수준과 차원에서 관심을 보이고, 참여하며, 심지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나가기조차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구도완 (2013), 환경사회학의 쟁점, 경제와사회 제100호, pp.273-91. 

  2. 김기흥 (2012), 동아시아 생명과학의 발전과 바이오시민권의 형성가능성. 아시아리뷰 제2권 제2호, pp. 43-63. 

  3. 김은성 편저(2009),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위험거버넌스: 신기술 및 신종재난을 중심으로, 범문사. 

  4. 김은성 (2011), 나노.융합기술의 지식 거버넌스 분석 및 안전관리전략 연구, KIPA 연구보고서 2011-27, 한국행정연구원. 

  5. 김정선 (2011), 기후변화와 식품안전에 대한 국민인식, 보건복지Issue& Focus 제117호 (http://www.kihasa.re.kr/html/jsp/public/public_01_01.jsp). 

  6. 김정해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정부대응체계 구축: 녹색거버넌스 구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7. 박병옥 (2007), 시민운동 전환의 필요성과 방향, 2007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정책포럼 자료집. 

  8. 박순열 (2010), 한국 생태시티즌십(ecological citizenship) 인식유형에 관한 경험적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4호 제2호, pp. 7-52. 

  9. 박희제.김은성.김종영 (2014),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과학기술학연구 제14권 제2호, pp. 1-47. 

  10. 변정욱 외 (2011), 이동통신시장 단말기 가격형성 구조 연구, 방송통신정책연구 11-진흥-다-20. 

  11. 산업통상부 (2014), 신재생에너지백서. 

  12. 안세웅.이희선 (2011), 태양광 및 풍력단지의 개발에 따른 환경적, 사회적 문제 분석 및 대응방안, 환경정책연구 제10권 제3호, pp. 3-20. 

  13. 앨런 어윈, 김명진.김병수.김병윤 옮김 (2011), 시민과학: 과학은 시민에게 복무하고 있는가?, 당대[Irwin, A. (1995), Citizen Science, Routledge.] 

  14. 울리히 벡, 박미애.이진우 옮김 (2010), 글로벌 위험사회, 도서출판 길[Beck, U. (2007), Weltrisikogesellschaft, Frankfurt: Suhrkamp Verlag.] 

  15. 이병천 (2003), 샹탈 무페, 시티즌십이란 무엇인가, 시민과세계 제3호, pp. 374-378. 

  16. 이영희 (2010), 참여적 위험 거버넌스의 논리와 실천, 동향과전망 제79호, pp. 281-314. 

  17. 이영희 (2014), 과학기술 시티즌십의 두 유형과 전문성의 정치:과학기술 대중화 정책과 '차일드세이브'의 활동을 중심으로, 동향과 전망 제92호, pp. 174-211. 

  18. 이해진 (2012), 소비자에서 먹거리 시민으로, 경제와사회, 제96호, pp. 43-76. 

  19. 임영신 외 (2013), 국가와 지자체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계강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 월드리서치 (2008), 기후변화 대응 대국민 인시기도 조사(2차) 결과보고서, 환경부. 

  21. 정인경 (2014), 1970-1990년대 미국 여성건강운동의 전개를 통해서 본 전문지식권력과 시민권의 정치. 한국여성학 제30권 제2호, pp. 233-265. 

  22. 조성배 (2014), 가로림 조력발전소 건설갈등의 장기화 원인분석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공공사회연구 제4권 제2호, pp. 36-79. 

  23. 현재환.홍성욱 (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제12권 제2호, pp. 33-79. 

  24. 홍덕화.이영희 (2014), 한국의 에너지 운동과 에너지 시티즌십:유형과 특징,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8권 제1호, pp. 7-44. 

  25. 황나미.장인순.박승미.채수미 (2013), 2012년도 난임부부 지원사업 결과분석 및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책보고서. 

  26. Arnason, V. (2012), "Scientific citizenship in a democratic society".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22, No. 8, pp. 927-40. 

  27. Blue G. & Medlock, J. (2014), "Public engagement with climate change as scientific citizenship: a case study of world wide views on global warming". Science as Culture. Vol. 23, No. 4, pp. 560-79. 

  28. Davies, K. & Wolf-Phillips, J. (2006), "Scientific citizenship and good governance: implications for biotechnology". TRENDS in Biotechnology. Vol 24, No. 2, pp. 57-61. 

  29. Frankenfeld, P. (1992), "Technological citizenship: a normative framework for risk studies",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 17, No. 4, pp. 459-484. 

  30. Funtowicz, S. & Ravetz, J. (1999), "Post-Normal Science: an insight now maturing," Futures Vol. 31, pp. 641-646. 

  31. Irwin, A. (2001), "Constructing the scientific citizen: science and democracy in the biosciences",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Vol. 10, No. 1, pp. 1-18. 

  32. Jasanoff, S. (1990), The fifth branch: science advisers as policymaker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33. Mejlgaard, N. (2009), "The trajectory of scientific citizenship in Denmark: Changing balances between public competence and public participation", Science and Public Policy, Vol. 36, No. 6, pp. 483-496. 

  34. Renn, O. (2008), Risk Governance: Coping with Uncertainty in a Complex World. London: Earthscan. 

  35. Rose, N. (1993), "Government, authority and expertise in advanced liberalism", Economy and Society, Vol. 22, No. 3, pp. 283-2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