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의 전송데이터 보안 기술 동향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誌 = KIISC review, v.25 no.5, 2015년, pp.81 - 89  

한성화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  양현모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  임성호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  홍정욱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대학원) ,  김학범 (디지큐코리아(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의료기관간의 의료정보 공유는, 상호 협의된 의료기관간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및 HL7(Health Level 7)에서 제시한 표준 Protocol을 사용하거나 각 기관별 별도의 Protocol을 사용하고 있다.[1] 현재의 의료정보공유는 특정 의료기관들 끼리만 이루어지며, 해당 기관 간 전송구간 보안은 대부분 IPSec VPN을 적용하고 있다. 법적으로 요구되는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사전 보안 제휴를 맺은 의료기관들만 의료정보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인데, 이는 의료정보교류 범위를 제한하기 때문에 의료서비스의 발전을 보안이 저해하고 있다고 판단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와 의료정보 전송데이터 보호기술을 조사하여, 현재의 문제점을 확인 후 범국가적인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에 대한 전송데이터 보안 아키텍처의 수립을 지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 진료정보의 유출 및 분실의 위험을 보완하고 의료정보공유의 활성화를 통한 의료서비스 발전을 위해, 현재의 의료정보전송 서비스를 조사하고 의료정보의 전송데이터 보안 기술 동향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PSec VPN간 송수신 데이터는 기본 Network Infra요소로 선택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IPSec VPN을 적용할 경우, ESP/AH Protocol을 적용 할 수 있는데, 이 Protocol은 내부적으로 암호 알고리즘 및 Hash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암호 알고리즘 적용에 의해 IPSec VPN간 송수신 데이터는 기밀성 및 무결성을 보장받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의료기관간 의료정보교류 시 기본 Network Infra요소로 선택되고 있다.
의료정보시스템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의료정보시스템은 OCS나 PACS, EMR 등 다수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며, 상급 의료기관으로 갈수록 시스템 구성은 더욱 복잡해진다. 의료정보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접근통제를 매우 철저하게 적용하고 있다.
의료 정보교류에 대해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함으로써 어떤 장점이 발생해야 하는가? 또한, 의료 정보교류에 대해 법적/사회적인 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위해 기술적으로 [표 4]에서 제시한 보안 요구사항을 만족해야 한다. 이를 통하여, 현재의 의료정보공유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제한적 의료기관간 정보교류와 Vendor 종속성의 문제, 보안 강도의 Gap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Ik-Sung Cho, Hyeog-Soong Kwon. "Implementation and Design of WISD(Web Interface System based DICOM) for Efficient"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pp. 501-507, Dec. 2007. 

  2. Creation Fusion Planning Part, "K-Health 3.0 Project",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May. 2104. 

  3. Medical Sightseeing Part, "Medical Information Exchange System Project", Dae-gu City Hall, 2013.11 

  4. Health Medical Policy Part, "Health IT Strategic Plan 2020",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5.03 

  5. Young-Gyu Lee. "Civil Remedies for the Infringement of Individually-identifiable medical information" Hanyang Law Review Vol.25 No.1 pp 135-160. 

  6. Seokjin Im, Hee-Joung Hwang,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essage Format and Server for Interworking EMR System and Gateway of Medical Devic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issue 6, pp. 255-262, Dec. 2013. 

  7. Neozensoft-Product Description, NeoHIE, 2015. 

  8. Epic System-Product Description, EpicCare EMR, 2015. 

  9. MACH7 TECHNOLOGIES-Product Description, VNA Solution, 2105. 

  10. INFINITT Healthcare-Product Description, INFINITT PACS, 2015. 

  11. Jung-Kil Song, "A message design on the Implementation of WAMIS(Wide Area Medica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HL7" Hannam University, pp. 6-17, Dec. 2003. 

  12. Min-woo Kim, Jae-hwan Jeon, Gwan-hyung Kim, Sung-in Kang, Am-suk Oh, "Design of HL7 Message for HIS Integration of Healthcare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Jul 2007. 

  13. Mary Kratz, Polar Humenn, Mark Tucker, Michael Nolte, Steve Wagner, Gregg Seppala, Gunther Shadrow, Wayne Wilson, Sean Auton, "Health Level Seven Security Services Framework," HL7 Security Group, July 1999. 

  14. Rich Ankney, "A Security Framework for Healthcare Information," HL7-Special Comittee-Security, pp. 4-7, Feb. 1997. 

  15.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Security and System Management Profiles," DICOM PS3.15 2015b, pp. 63-72, 2011. 

  16. 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Part 8: Network Communication Support for Message Exchange," DICOM PS3.8 2015b, pp. 23, 2007. 

  17. Dongsoo Kim, Minsoo Kim,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for Protecting Health Information in u-Health Environment", Soongsil University/Pukyong National University, Jun.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