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시간 의료 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기반의 스마트 의료 클라이언트 개발
Development of Smart Health Client based on Real-Time Health Information Sharing Framework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4 no.3, 2014년, pp.131 - 137  

임석진 (성결대학교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황희정 (가천대학교 IT대학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폰과 태블릿등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의 등장으로 의료기관의 정보 시스템에도 많은 변화가 시작 되었다. 특히 클라이언트 기기의 다양화는 의료기관내에서 효과적인 의료정보 공유의 필요성은 증대시켰고 이를 위해 N 스크린 기반의 서비스의 요구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N 스크린 기반의 의료 정보 공유 서비스를 위해 iOS, 안드로이드 등 서로 다른 OS를 지원하는 클라이언트를 개별적으로 개발하고 유지하기에는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사용자에게 다중기기를 통해서 끊김없는(seamless)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보안상의 문제로 클라이언트와 의료정보 시스템과의 데이터를 중계해주기 위한 방법도 필요 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실시간 의료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기반의 스마트 의료정보 클라이언트를 개발 하였다. 개발된 클라이언트는 하이브리드앱 기반으로 의료정보공유 프레임워크를 통해 N 디바이스간의 실시간 정보공유가 가능하며 다양한 클라이언트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vent of various smart devices like smart phones and tablets has triggered the changes in information systems of medical centers. Especially, diversifying devices of clients and the need for N-Screen services increase necessities for sharing effectively information in medical centers. Howev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실시간 의료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기반의 스마트 의료정보 클라이언트를 설계하고 개발한다. 개발된 클라이언트가 실행되는 환경인 실시간 의료정보 공유 프레임워크는 서버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다중 클라이언트와 의료정보 표준 메시지 규격인 HL7을 지원하며 또한 PHD(Personal Health Device), 환자, 의사, 간호사, 상담사 간의 실시간 정보 교환 및 화면 공유를 위한 규격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장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앱은 네이티브 앱과 동일한 환경을 가지고 있고, 부분적으로 HTML/CSS로 작성한 앱이며, 인터넷 환경과 WiFi 환경에 따른 영향에도 유연하고, 모바일 웹보다는 빠른 로딩속도와 스마트 폰에서 바로 실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7, 8, 9]. 본 논문에서는 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다중 디바이스간의 정보공유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하이브리드 앱 기반으로 스마트 의료정보 클라이언트를 개발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의료정보 공유 프레임워크 기반의 스마트 의료정보 클라이언트를 설계 및 구현 하였다. 제안된 클라이언트는 2013년도 디지털 병원 연구과제의 결과물인 “N-스크린 기반 실시간 의료 정보 공유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것으로 개발된 스마트헬스 클라이언트는 다중 플랫폼에서 효과적인 실시간 의료정보 공유가 가능함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웹이란?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인 모바일 웹은 웹 페이지를 작업할 때 사용하며, HTML, CSS, Jquery등을 활용하여 작성된 브라우저에서 동작되는 화면을 말한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환경적인 특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모든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고, 개발 시 화면 체크를 즉시 할 수 있으며, 변경 및 수정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바일 웹의 장점은?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인 모바일 웹은 웹 페이지를 작업할 때 사용하며, HTML, CSS, Jquery등을 활용하여 작성된 브라우저에서 동작되는 화면을 말한다. 따라서 브라우저의 환경적인 특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모든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고, 개발 시 화면 체크를 즉시 할 수 있으며, 변경 및 수정이 실시간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모바일에서 사용되는 API의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것과 UI의 구성요소를 실시간으로 로딩하므로 처리속도가 느리다는 점과 인터넷이나 WiFi 연결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다[7].
하이브리드 앱은 어떤 방식인가? 하이브리드 앱은 모바일 웹과 모바일 앱 각각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모바일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의 장단점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앱은 네이티브 앱과 동일한 환경을 가지고 있고, 부분적으로 HTML/CSS로 작성한 앱이며, 인터넷 환경과 WiFi 환경에 따른 영향에도 유연하고, 모바일 웹보다는 빠른 로딩속도와 스마트 폰에서 바로 실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7, 8,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Sim, H. Ko, J. Kim, M. Zhao, Y. Lim, "Adaptive Image Converting for More Efficient Mobile Web Service",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 12, No. 2, pp. 37-46, April, 2011. 

  2. S. Baek, H. Ahn, Z. Le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n term of Attributes of Apps in Appstore and Buyer's Innovativeness",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Vol. 13, No. 4, pp. 103-119, August, 2012. 

  3. IHE ITI Technical Committe, "Mobile access to Health Documents(MHD)", IHE, Aug. 2012. 

  4. S. K. Choi, "Responsive Strategy and Prospects of TV Business in N-Screen Age: Focused on Paradigm Shift i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Content", Studies of Broadcasting Culture, Vol. 22, No. 2, pp. 7-35, Feb. 2010. 

  5. Y. Bae, J. Park, "Remote UI System for N-Screen Services in the Android Platform Environments," Journal of KIISE: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Vol. 18, No. 12, pp. 931-935, December, 2012. 

  6. P. Tan and J. Slevinsky, "Multi-Screen for IPTV: Enabling Technologies and Challenges", Proc. of IEEE ICCE, pp. 1-2, Jan. 2011. 

  7. IBM, 'Native, web or hybrid mobile-app development', IBM Software White Paper, 2012 April. 

  8. W. Jung, J. Oh, D. Yoo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ybrid Mobile App Frame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6, No. 9, pp. 1990-1996, September, 2012. 

  9. C. Lim and C. Chung, "A study of mobile hybrid app application architecture and design pattern",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pp. 253-254, June, 2012. 

  10. Y. Joo, "Implementation of Facility Maintenanc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Phones",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1, pp. 191-197, January, 2013. 

  11. S Kim and J. Ahn, "A Study of the Voice Interface for Mobile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3, No. 1, pp. 199-204, January, 2013. 

  12. S. Kang and J. Lee, "A Stu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actical use of Smart Phone for Building of Realtime Location based Reservation System",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JIIBC), Vol. 12, No. 1, pp. 283-294, January, 2012. 

  13. M. S. Hwang, K. W. Lee, S. H. Yoon,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for SaaS Cloud Servic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JIIBC), Vol. 14, No. 1, pp. 61-67, 2014. 

  14. I. Jeon, S. Kang, H. Yang, "Development of Security Quality Evaluate Basis and Measurement of Intrusion Preven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JKAIS), Vol. 11, No. 1, pp. 81-8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