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학계열 대학 졸업생의 취업분야를 통해 본 농산업영역
Agribusiness Areas on the Employment Sector of Graduates of Agricultural Science college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2 no.2, 2015년, pp.175 - 190  

김정태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  이종상 (공주대학교 지역개발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studies examining the sub-categories of agro-industry used to access an inter-industry analysis. However, These are some limitations that researchers set sub-categor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needs. Thu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explore the agro-industry sub-categories by area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문제 등으로 농산업 설정을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는 농학계열 학문연구 분야별 직접관련이 있는 취업처를 ‘농학적 배경지식이 필요한 산업분야’로 보고, 국내 산업부문에서 농산업범위를 살피고, 농산업범위 설정의 기준으로서 ‘농학적 배경지식’의 타당성을 탐색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 본 글은 위와 같은 배경에서 농학계열 학문연구분야별 농산업 영역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농산업을 구성하는 산업부문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구체화하면 첫째, 농학계열 학문연구분야별 직접관련이 있는 취업처를 대상으로 학문연구 분야별 농산업영역을 제시하고, 둘째 이를 토대로 국내 산업부문에서 농산업영역을 제시하며, 셋째, 농학적 배경지식을 농산업분류 기준으로서 설정하는 방식이 갖는 타당성을 검토해 본다.
  • 본 글은 농산업 범위가 농학계열 학문연구 분야별 졸업생들의 취업분야를 토대로 작성되어, 농학적 배경지식이 필요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농산업범위를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고용측면에서 농산업과 관련된 산업연관부문 분류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농학계열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 등의 논의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조사 자료는 농학계열 학문연구 분야를 종열에 각 학문연구 분야에 속한 각 학과들이 선택한 산업부문 중 공통적으로 선택된 산업부문 비율을 기준으로 4개로 구분(50% 이상, 50~30%, 30~20%, 20~10%)하고, 횡렬에 정리하였다. 농학계열 학과와 관련 있는 산업부문을 각 학문분야별 공통선택 비율로 제시한 것은 좁은 의미에서 넓은 의미의 농산업범위를 살펴볼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배경에서 농학계열 대학에 소속된 학과들의 중점연구분야와 직접관련이 있는 취업분야에 대한 조사 통해 농산업 내 산업부문을 살피기 위한 시도로 접근되었다. 조사는 전국농학계대학장 협의회에 소속된 농학계열 대학 37개 단과대학, 220개 학과를 대상으로 학문연구분야는 국가과학기술 표준분류체계의 농림수산식품 [LB]의 중분류 16개 분야, 직접관련 취업처는 산업연관부문분류 168개 통합소분류 부문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농학계열 학과를 대상으로 학과별 학문연구 분야를 토대로 농산업 영역을 조사하여 농학계열 대학이 갖고 있는 농산업을 구성하는 하위산업부문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시각은 농산업에 대한 농학계열 대학이 갖는 인식에 기초할 뿐 아니라, 산업연관분석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의해 간과될 수 있는 영역을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농산업을 구성하는 하위산업부문 설정을 위한 보다 구체적인 자료라 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가 고용측면에서 농산업과 관련된 산업연관부문 분류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농학계열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 등의 논의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본 근거는? 본 글은 농산업 범위가 농학계열 학문연구 분야별 졸업생들의 취업분야를 토대로 작성되어, 농학적 배경지식이 필요한 산업분야를 대상으로 농산업범위를 실증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고용측면에서 농산업과 관련된 산업연관부문 분류선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며, 농학계열 대학의 교육과정 개편 등의 논의에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농산업은 농업과 어떤 다른점이 있는가? 식량안보, 다원적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농업의 중요성은 최근 농산업(Agri-Industry)개념을 이용하여 농업이 국민경제에서 갖는 역할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농산업은 경제적 관점에서 농업과 다른 산업부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기존의 산업을 묶어 농업중심의 산업군으로 제시되는데, 농업관련산업(Agribusiness), 식품시스템(Food System) 등의 용어도 함께 사용된다. 각 용어의 초점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농산업은 농업생산부문과 전후방으로 연결된 기존산업을 관련산업으로 구분하고 두 부문을 엮어 농업이 갖는 경제적 위치를 제시한다.
농업의 중요성 논의는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식량안보, 다원적 기능을 중심으로 논의되던 농업의 중요성은 최근 농산업(Agri-Industry)개념을 이용하여 농업이 국민경제에서 갖는 역할을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농산업은 경제적 관점에서 농업과 다른 산업부문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기존의 산업을 묶어 농업중심의 산업군으로 제시되는데, 농업관련산업(Agribusiness), 식품시스템(Food System) 등의 용어도 함께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대구. (2013). 현직 농산업인력 교육담당자의 역량 제고방안.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발표 자료집, 121-164. 

  2. 김명찬. (2013). 후계농산업인력의 진입 촉진을 위한 정책적.제도적 지원방안: 농업계고등학교 입장에서.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발표 자료집, 65-73. 

  3. 김명호. (2004). 농업과학 2004 심포지엄 참관기: 농학계 대학은 농업을 버려야 하는가. 바이오시스템공학. 29(4). 357-366. 

  4. 김수욱. (1998). 전국 사립 농학계대학의 교육개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0(3), 67-80. 

  5. 김완수. (2013). 현직 농산업인력의 농업기술센터 이용촉진방안.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 자료집, 97-116. 

  6. 김정태, &. 배성의. (2014). 농학계열 대학 졸업생의 농산업 분야 취업률. 농촌지도와 개발, 21(4), 1093-1124. 

  7. 김철민. (2010).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부가가치와 종사자 수 추정. CEO Focus, 249. 1-38. 

  8. 김철민, 이명기, & 한오석. (2008). 농림수산 관련산업의 부가가치 및 종사자수 추정.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9. 김 호. (2009). 지역농업 클러스터의 추진사례에 관한 연구: 아산시 자원순환형 친환경지역농업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4). 463-481. 

  10. 권용대, & 임효빈. (2013). 도시 농산업의 지역산업연관효과 분석: 대전광역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농업경제연구. 54(4), 127-148. 

  11. 농림축산식품부. (2013). 2013-2017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 세종: 농림축산식품부. 

  12. 마상진. (2012). FTA시대에 대응하는 농산업교육의 방향: 농산업분야 인력수급 전망에 기초하여.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17-41. 

  13. 박공주. (2013). 현직 농산업인력의 교육현황과 과제. 2013년 7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79-95. 

  14. 박동렬. (2012). FTA시대 학교 농산업교육 방안: 농업계 특성화고 졸업 후계인력의 취업 및 창업을 중심으로.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43-81. 

  15. 박문호. (2011). 일본의 식료산업클러스터 동향: 미야기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기타연구보고서. 127. 33-42. 

  16. 서규선. (2004). 농업분야 전문대학의 동향과 발전과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6(2), 33-47. 

  17. 유근창. (1996). 대학의 학제개편과 농학계 대학의 입장. 원예학 세계, 1(2), 8-11. 

  18. 이준원. (2012). FTA시대 농산업분야 인력 양성 및 활용 정책. 2012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12. 

  19. 임송택, & 양승룡. (2013). 식품공급산업의 정의 및 부가가치 추계. 농업경영.정책연구, 40(3), 816-840. 

  20. 정학균, 김창길, & 장정경. (2010). 광역단지 유기농업 경영체 분석과 발전방항: 유기농클러스터를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8(3), 331-345. 

  21. 정황근. (2011). 농산업.농어촌 인력육성을 위한 교육 추진방향: 추진체계개편과 보완과제를 중심으로. 2011년 8월 한국농산업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집, 2-12. 

  22. 한국지적재산관리재단.세계농정연구원. (2007). 지역농업클러스터 시범사업단 평가연구. 

  23. 한국은행. (2007). 산업연관분석해설. 서울: 한국은행 

  24. 황수철, 이명헌, & 송주창. (2009). 식품산업의 국내 농어업 성장유발효과 분석연구. 서울: 사단법인 농정연구센터. 

  25. Antriyandarti, E., Ferichani, M., & Ani, S. W. (2013). Sustainability of post-eruption Socio economic recovery for the community on Mount Merapi slope through horticulture agribusiness region development. Environmental Science, 17, 46-52. 

  26. Barkley, A. P., & Biere, A. (2001). Does undergraduate major matter? Differences in salaries and satisfaction levels of agribusiness and agricultural economics majors at Kansas State University. The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4(2), 167-187. 

  27. Baran, J., & Zak, J. (2014). Multiple criteria evaluation of transportation performance for selected agribusiness companies.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1, 320-329. 

  28. Boland, M. A., & Akridge, J. T. 2004. Undergraduate agribusiness programs: Focus or falter? Review of Agricultural Economics, 26(4), 564-578. 

  29. Boland, M., Lehman, B., & Stroade, J. (2001). A comparison of curriculum in baccalaureate degree programs in agribusiness management. The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4(3), 225-235. 

  30. Brenes, E. R., Montoya, D., & Ciravegna, L. (2014). Differentiation strategies in emerging markets: The case of Latin American agribusiness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7(5), 847-855. 

  31. Darmansyah, A., Rochana, S. H., Sutardi, A., & Zuraida, U. (2013). The new growth centres and strategy for building and accelerating agribusiness development in Cirebon Regency, Indones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 115, 296-304. 

  32. Fulton, J. (1999). Bringing industry into an undergraduate agribusiness course. The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nagement Review, 1(3), 311-327. 

  33. Hoffman. A. C. (1969). What agribusiness economists need from theoretical and empirical agricultural economic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51(2), 448-456. 

  34. Kagan, A. (2000). Information systems implementation within US agribusiness: an applications approach.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28(3), 207-228. 

  35. Kasim, R. S., Awang, A., & Hashim, Z. (2013). Innovative and sustainable governance model of rural transformation center in agribusiness projects: A conceptual paper.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07, 67-71. 

  36. Rust. I. W. (1957). Review of a concept of agribusiness. Agricultural & Applied Economics, 39(4), 1042-1045. 

  37. Woolverton, M. W., & Downey, W. D. (1999). A look at agribusiness education since the national agribusiness education commission's 1989.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1(5), 1050-10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