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격자 기반의 통계정보 표현을 위한 데이터 변환 방법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3 no.5, 2015년, pp.31 - 40  

김문수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  이지영 (Dept. of Geoinformatics, University of Seoul)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통계정보를 일정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격자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변환 방법론에 대하여 제시한다. 격자는 기존 통계지도 서비스에서 활용하고 있는 통계공간단위인 행정구역과 집계구와 비교하였을 때 모양과 크기가 일정하여 통계정보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지도 축척 변화에 유연하게 적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기존 통계지도 서비스에서는 면 보간법을 활용하여 통계공간단위로 변환하고 있는데, 이것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통계정보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통계정보의 격자 변환을 위해 1)지오코딩을 통한 공간데이터로의 변환, 2)공간 관계 정의를 통한 위치정보 변환, 3)데이터 척도를 고려한 속성정보 변환을 수행하는 방법론을 정리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은 서울시 A지역의 인구 밀도 통계정보를 격자로 변환하기 위해 적용하였다. 특히, 동일한 통계정보를 표현하는 참조데이터가 서로 다르더라도 유사한 격자 표현이 가능해야 함을 검증하기 위해 공간 자기상관성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집계구와 건물을 통해 표현되는 인구 밀도를 각각 격자로 변환하였을 때, 두 데이터 모두 유사한 격자 분포를 표현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론은 일관된 결과를 표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data transformation method for visualizing the statistical information based on the grid system which has regular shape and size. Grid is better solution than administrator boundary or census block to check the distribution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통계정보를 격자로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 변환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제시를 하였다. 제시한 방법론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A지역의 인구 밀도를 여러 가지 크기의 격자로 변환하였으며, 격자 변환 시 간접참조 데이터는 2가지 종류를 활용하여 참조데이터의 종류가 다르더라도 통계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올바른 참조 데이터를 사용한다면 격자 변환 시 최종 결과가 유사하게 변환됨을 공간 자기상관성을 기준으로 확인하였다.
  • 격자는 행정구역이나 집계구와는 다르게 데이터의 수집단위로는 활용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격자를 기반으로 통계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원천데이터의 격자 변환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통계정보를 지도상에 통계공간단위를 기반으로 표현하기 위한 체계적인 데이터 변환 방법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한 연구 수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통계지도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통계와 공간정보 분야 간 융합 및 활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UN-GGIM의 경우 통계 및 공간정보 통합전문가 위원회(United nations expert group on the integration of statistical and geospatial information)를통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통계 및 공간정보 융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재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사례는 통계정보를 지도위에 표현하여 시각적으로 통계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통계지도’이다.
대표적인 통계 공간단위의 행정구역, 집계구, 격자의 한계점은? 통계지도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계 공간단위는 행정구역, 집계구, 격자 등이 있으며, 현재 행정구역이나 집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구역이나 집계구의 경우 모양과 크기가 불규칙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경계가 조정되어 통계 공간단위의 모양과 크기가 바뀔 수 있고, 집계구의 경우 지도의 축척과는 무관하게 고정된 모양과 크기를 갖기 때문에 축척에 따른 유기적인 통계공간단위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통계공간단위에 대해 많은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일정한 모양과 크기를 갖는 ‘격자’를 통해 통계정보를 표현하는 방안이 가장 주목받고 있다.
통계지도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계 공간단위는 무엇이 있는가? 그러나 통계정보의 종류에 따라서는 원천데이터를 그대로 맵핑하여 통계지도 서비스를 할 경우에는 개인정보나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들을 그대로 노출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통계정보를 집계하여 표현하며, 집계를 위해 활용되는 단위를 통계공간단위(Spatial Unit)라 한다. 통계지도 서비스를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통계 공간단위는 행정구역, 집계구, 격자 등이 있으며, 현재 행정구역이나 집계구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행정구역이나 집계구의 경우 모양과 크기가 불규칙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경계가 조정되어 통계 공간단위의 모양과 크기가 바뀔 수 있고, 집계구의 경우 지도의 축척과는 무관하게 고정된 모양과 크기를 갖기 때문에 축척에 따른 유기적인 통계공간단위를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K. 2011, Effect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MAUP) on a Spatial Interaction Model,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Geographers, 46(2):197-211. 

  2. Sudsom, N; Techato, K; Thammapalo, S; Monprapussorn, S. 2012, Grid and Census: a Geographic Sampling Strategy for Studying Dengue Vector Breeding Sites in Urban Area, Paper presented at the 33 rd Asian Conference on Remote Sensing, Pattaya, November 26-30. 

  3. Shin, M. Y; Yun, J. I; Suh, A. S. 1999, Estimation of Daily Maximum/Minimum Temperature Distribu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y Using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15(1):9-20. 

  4. Song, M. Y; Jung, K. S; Lee, G. H; Kim, Y. S; Shin, Y. A. 2014, DAD Analysis of Yongdam Dam Watershed Using the Cell-Based Automatic Rainfall Field Track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3):68-81. 

  5. Kim, J. Y; Park, I. S; Park, C. Y; Park, S. K. 2010, Effects of Grid Size on Noise Prediction Results of Road Traffic Noise Map,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20(2):199-204. 

  6. Um, D. Y; Lee, B. S. 2012, Analysis of the Effect on the Location Evaluation of Golf Course according to the Unit Grid Size applied in Slope Analysis (In flank of Environment), Korea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30(5):467-475. 

  7. Lee, S; Kim K. 2007, Representing the Population Density Distribution of Seoul Using Dasymetric Mapping Techniques in a GIS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7(2):53-67. 

  8. Reibel, M; Agrawal, A. 2007, Areal interpolation of population counts using pre-classified land cover data, Population Research and Policy Review, 26(5-6):619-633. 

  9. Sridharan, H; Qiu, F. 2013, A spatially disaggregated areal interpolation model using light detection and ranging-derived building volumes, Geographical Analysis, 45(3):238-258. 

  10. Lee, J. 2009, GIS-based geocoding methods for area-based addresses and 3D addresses in urban area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36:86-106. 

  11. Clementini, E; Sharma, J; Egenhofer, M. J. 1994, Modeling Topological Spatial Relations : Strategies for Query Processing, Computers and Graphics, 18(6):815-822. 

  12. Lee, H. Y; Noh, S. C. 2013,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 Theory and Practice 2nd Edition, Moon Woo (in Korean). 

  13.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14, Development Plan of National Territorial Statistic Monitoring and Construction of Platform Project, Korea. 

  14. Lee, G. 2011, A review of Object and Field Perspective on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1(1):25-32. 

  15. Swift, A; Liu, L; Uber, J. 2008, Reducing MAUP bias of correlation statistics between water quality and GI illness, Computer,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2:134-148. 

  16. Zhang, N; Zhang, H. 2011, Scale Variance Analysis Coupled with Moran's I Scalogram to Identify Hierarchy and Characteristic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25(9):1525-1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