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격자기반 분석을 통한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와 부동산 가격지수 간의 공간적 상관성 분석 연구
Analyzing Spatial Correlation between Location-Based Social Media Data and Real Estates Price Index through Rasterization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3 no.1, 2015년, pp.23 - 29  

박우진 (서울대학교 환경정화기술 및 위해성평가 연구센터) ,  어승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건설환경공학부) ,  유기윤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가 지역별 부동산 지수와 어떠한 공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 데이터는 상이한 자료 형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대상 데이터로는 2013년 8월 한 달간의 지오태그된 트윗 데이터와 행정구역별 주택가격지수(매매, 전세)를 이용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를 포함하도록 하였다. 두 데이터 간의 상이한 공간적 단위를 고려하여 2,000m 단위의 격자망을 구성하고 이에 맞게 두 데이터를 격자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였다. 변환된 두 데이터에 대하여 Hot spot 분석을 실시하여 공간적 분포를 시각적으로 비교하였으며, 공간시차를 고려한 이변량 공간적 상관계수를 측정함으로써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각적, 정량적 분석 결과, 서초구 지역이 트윗 데이터와 주택매매가격지수 데이터에서 공통적인 Hotspot 지역으로 탐색되었으나 주택전세가격지수 데이터와는 뚜렷한 공간적 상관성이 탐색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spatial relevance between the regional housing price data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location-based social media data is explored. The spatial analysis with rasterization was applied to this study, because the both data have a different form to analyze. The geo-tagged Tw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가 지역별 부동산 지수와 어떠한 공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데이터는 상이한 자료 형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데이터로는 서울과 수도권 일부 지역에 대해 2013년 8월 한 달간의 지오태그된 트윗 데이터와 행정구역별 주택가격지수(매매, 전세)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치 태그를 가진 트윗 데이터를 수집 하기 위해, 트위터 공개 API1)를 활용하여 위치 태그를 가진 트윗 데이터 중 대상 범위 내에 포함되는 트윗 데이터만을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키워드 필터링을 적용하였는데, 부동산 관련 키워드(부동산, 주택가격, 집값, 아파트 시세, 실거래가, 주택매매, 전세, 월세, 아파트 분양, 양도소득세 등)를 포함한 트윗 데이터들을 필터링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가 지역별 부동산 지수와 어떠한 공간적 관련성을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데이터는 상이한 자료 형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격자 기반의 공간분석 방법을 적용하고자 하였다.
  • ,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격자 데이터셋 형태로 두 데이터를 변환시킴으로써 공간적 분포의 비교분석과 공간적 상관성 분석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 , 2013).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치기반 소셜 미디어 정보의 공간적 분포와 부동산 가격 정보의 공간적 분포를 비교하여 두 데이터 간의 공간적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격자기반 분석 방법론을 적용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시차를 적용한 피어슨 상관계수는 무엇인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공간 상관성 측도로, 공간시차를 적용한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하였다(Lee, 2001). 이 상관계수는 일반적인 상관분석에서 쓰이는 피어슨 상관계수에 공간시차(Spatial Lag)를 적용한 것으로, 여기서 공간시차란 공간가중치 행렬 (Spatial Weight Matrix)에 의해 정의된 이웃들의 가중 평균합이다. 트윗 데이터와 주택가격지수의 격자 데이터에 대하여 식(1)과 같이 공간적 상관계수(Spatial Correlation Coefficient, SCC)를 계산하였다(Lee, 2014).
공간적 상관성 분석이란 무엇인가? 공간적 상관성 분석은 트윗 데이터와 주택가격지수 데이터의 공간적인 분포 패턴이 어느 정도의 유사성 또는 상관성을 가지는지를 수치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변량 공간 상관성 측도로, 공간시차를 적용한 피어슨 상관계수를 적용하였다(Lee, 2001).
Hotspot 분석은 어떻게 데이터셋을 탐색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인 트윗 데이터와 주택가격지수 데이터의 전반적인 공간적 분포를 비교하기 위해 Hotspot 분석을 실시하였다. Hotspot 분석은 데이터 셋의 각 사상(Feature)에 대해 Getis-Ord Gi* 통계량을 계산하고 z값과 p값을 이용하여 높은 값 혹은 낮은 값의 사상이 공간적으로 군집을 이루는지를 탐색해준다 (Kim and Park, 2013). 본 연구에서는 ArcMap Toolbox 중, ‘Hotspot Analysis’ 도구를 이용하여 격자화된 트윗 데이터와 주택가격지수 데이터 각각에 대한 국지적 공간 클러스터링을 탐색하여 시각적으로 비교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Dashti, S., Palen, L., Heris, M. P., Anderson, K. M., Anderson, S., and Anderson, T. J., 2014, Supporting disaster reconnaissance with social media data: a design-oriented case study of the 2013 colorado floods,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ISCRAM Conference. 

  2. Jung, D., Kim, S., and Kim, K., 2009, The central place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pric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7, No. 3, pp. 420-421. 

  3. Kim, G., and Park, G., 2013, Hot spot analysis on forest carbon stocks using getis-ord spatial statistics, Proceedings of 2012 Summer Conference, Korea Forest Society, pp. 420-421. 

  4. Lee, B., Lim, J., and Yoo, J., 2013, Utilization of social media analysis using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3, No. 2, pp. 211-219. 

  5. Lee, S., 2001, Developing a bivariate spatial association measure: an integration of pearson's r and moran's i,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Vol. 3, No. 4, pp. 369-385. 

  6. Lee, Y., 2014, A study on detection methodology for influentials areas in social network using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22, No. 4, pp. 21-30. 

  7. Liao, S., and Bai Y., 2010, A new grid-cell-based method for error evaluation of vector-to-raster conversion, Computational Geosciences, Vol. 14, No. 4, pp. 539-549. 

  8. Mei, Q., Liu, C., Su, H., and Zhai, C., 2006, A probabilistic approach to spatiotemporal theme pattern mining on weblogs, Proceedings of the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ACM. 

  9. Mennis, J., and Guo, D., 2009, Spatial data mining and geographic knowledge discovery-an introduct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33, No. 6, pp. 403-408. 

  10. Sakaki, T., Okazaki, M., and Matsuo, Y., 2010, Earthquake shakes twitter users: real-time event detection by social sensors, Proceedings of the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orld Wide Web, ACM. 

  11. Shin, J., 2004, Research on areal interpolation methods and error measurement techniques for reorganizing incompatible regional data un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 10, No. 2, pp. 389-406. 

  12. Stefanidis, A., Crooks, A., and Radzikowski, J., 2013, Harvesting ambient geospatial information from social media feeds, GeoJournal, Vol. 78, No. 2, pp. 319-338. 

  13. Wu, L., and Brynjolfsson, E., 2009, The future of prediction: how google searches foreshadow housing prices and sales, NBER Conference Technological Progress & Productivity Measurement, WISE, ICIS. 

  14. Yu, K., 1998, Generalization of point feature in digital map through point pattern analysis,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6, No. 1, pp. 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