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v.23 no.5, 2015년, pp.53 - 64  

최병남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이지훈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박진식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강인구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콘텐트)를 의미한다. 여러 연구들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선호빈도 조사, 외국 사례조사 등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공간정보 항목 선정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실체로 공간정보(콘텐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기본도의 중분류 레이어 104개와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 총 109개 레이어의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서 각 레이어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그리고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타의 경우를 조사한다. 요인분석 결과 각 활용행태에 따라 5-7개 요인집단들이 도출되었다. 각 활용행태의 요인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집단의 평균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활용행태에서 평균값이 높은 요인집단의 레이어 항목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만큼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통(도로, 철도), 건물, 수계, 고도, 행정구역, 영상, 측량기준, 지적 등 8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주제정의는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시작의 단추로 의미가 있다. 제안된 기본공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되기 위해서 실제 표준 형태로 구축되고 유통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veral countries have built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NSDI) for information sharing among various field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of NSDI is framework data,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geospatial data across various fields. Previous studies on the framework data suggest compon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단계는 설문조사단계이다. 다양한 분야의 다양한 사용자들이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조사 대상 레이어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 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 사용되는 정도이다.
  • 다음으로 설문조사 기반의 연구를 살펴보면 국가공간정보기반을 위한 기본공간정보 연구[11]와 기본공간정보 설문조사[12,13]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을 수 있다. 두 연구의 목적은 모두 공간정보 구축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 하고 편익을 최대화하기 위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데이터 집합을 간추리는데 목적이 있었다. 두 연구 모두 미국 전역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우편 혹은 전자 설문지(디스켓)을 통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최대 13,000부의 설문지를 제작, 배포14)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 본 연구는 요인분석3)[1]을 통한 통계적 검증을 거쳐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객체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기본도(1/5000 지형도)4)의 레이어(중분류 104개)와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총 109개 레이어를 대상으로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 요인 분석은 많은 측정변수들 사이의 상호 연관성(공분산)을 기반으로 몇 개의 요인집단(요인)으로 묶는 통계기법이다[1]. 이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활용행태에 따른 레이어 그룹이 무엇인지를 요인분석으로 도출하고자 한다16). 또한 요인분석 결과로 도출된 요인 집단 사이의 평균 차이 검정을 통해 그룹화된 집단의 공간정보 활용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지를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기본도 레이어는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국가기본도는 전국을 대상으로 제작된 지형도 중 규격이 일정하고 정확도가 통일된 것으로서 축척이 최대인 것이다(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5조). 국가기본도 레이어는 대분류 8개, 중분류 104개, 소분류 680개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다양한 분야에서 각기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레이어를 가능한 많이 포함시켜 구성했다.
아날로그시대에서 디지털시대의 기본공간정보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디지털시대의 기본공간정보는 아날로그시대의 국가기본도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인지 디지털환경에서 공간정보 공유수요를 국가기본도로 충족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기본공간정보 주제 선정방법과 관련한 외국 사례조사의 분석결과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 판단하는 근거제시가 미흡한 이유는 무엇인가? 둘째, 외국 사례조사의 경우 분석결과를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근거제시가 미흡하다. 모든 국가의 기본공간정보의 주제 선정기준이 동일하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Lee, H. Y, 2012, Research Methodology, Cheongram. 

  2. Choe, B. N; Hong, S. G; Kim, D. J; Choi, H. J, 1997, A Pilot Study on Building Geospatial Databas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3. Choe, B. N; Kim, M. J; Han, S. H; Kim, Y. P, 2000, A study on the 2nd National GIS Master Plan : Startegies and Task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Korea,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4. Kim, Y. P; Han, S. H; Choi, Y. A, 2001, A Study on Upbringing and Supporting of GIS industr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RIHS). 

  5. Park, K. Y; Park, H. K; Lee, K. J; Jung, S. G; Sohn, E. J; Park, K. S; Park, K. S; Park, B. D; Lee, S. I; Woo, Y. K; Kim, D. H; Cho, E. J; Yoon, K. H; Kang, H. K; Kim, H. C; Do, S. H; Choe, D. Y; An, M. H; Choe, J. H; Seo, Y. J, 2001, Research and Pilot Projec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6. Woo, J. Y; Koo, J. H; Kim, U. M; Hong, C. H; Lee, J. H; Lee, S. H; Kim, G. S, 2001, Research of Quality Improvement of Establishing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7. Shin, D. B; Maeng, H. J; Ryu, M. Y; Jang, J. I; Han, J. I; Yeom, H. M; Hong, S. K; Kim, T. J; Han S. H; Jeon, Y. S; Ahn, J. W; Min, K. O; Jung, J. S; Choe, C. Y, 2002, Research about Establishing Promotion Strategy of Spatial Framework Data,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8. The White House, Executive Order 12906, 1996, Coordinating Geographic Data Acquisition and Access: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9.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2002, Circular No. A-16 Revised, Coordin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and Related Spatial Data Activities, http://www.whitehouse.gov/omb/circulars_a016_ rev/, Last date accessed: 2015.2.12. 

  10. FGDC, 2013 Annual Report, Appendix C National Geospatial Data Asset Themes, 2013, p.37. 

  11. Steven M. Frank et al, 1995, Framework Data Sets for the NSDI,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NCGIA). 

  12. Spatial Technologies Industry Association, 2001, Phase 1 report - Increase private sector awareness of, and enthusiastic participation in,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 Structure(NSDI), pp.6-1-6-6. 

  13. David L. Tulloch, 2000, Exploratory Studies fo the NSGIC/FGDC Framework Survey: LOOKING AT THE STATE OF THE NATION - Final Report to The Universities Consortium for Geographic Information Sciences and The Federal Geographic Data Committee. 

  14. Choe, B. N; Shin, D. B; Kim, M. J. and the other 8, 2008, Basis Research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15. Park, J. T; Choe, B. N; Seo, K. H; Sagong, H. S, 2009, Establishment of Korean spatial data infrastructure model and study of globalization strateg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KRIHS). 

  16. Kim, K. R; Park, H. G; Hong, S. G; Ahn, J. W; Park, C. H; Cho, H. T; Kim, H. J; Lim, G. H; Park, S. J, 2005, The Study on the Strategies for the 2nd National Framework Data Project,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17. Sagong, H. S; Im, E. S; Min, S. J; Han, J. I; Ha, J. Y; Lee, G. Y, 2007, Supporting Research of National GIS in 2006 :Integrated Management of Spatial Framework Data,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8. Promotional Committee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2000, Master Pla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Phase 2. 

  19. Park, K. Y; Lee, S. B; Park, K. S; Jung, S. G; Sohn, E. J; Kim, D. H; Park, B. D; Lee, J. S; Kwon, Y. G; Lee, S. I; Yoon, S. I; Kim, M. S; Koo, B. C; Koo, D. S; Han, H. S; Jang, J. J; Park, M. K; Kim, M. K, 2002, Establishment and Pilot Research of Spatial Framework Data Phase 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NGII).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