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 표토 관리를 위한 표토침식지표 연구
Study on Topsoil Erosion Indices for Efficient Topsoil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1 no.5, 2015년, pp.543 - 555  

정영훈 (K-water연구원) ,  금동혁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한정호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장춘화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양재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임경재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  김기성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xisting standard for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has limitations in sustainable topsoil management since the fixed criteria are applied to determination of soil erosion risk areas regardless of land use types. It may not be necessary to apply soil erosion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agricul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산정된 표토침식량 결과에 정량적 표토침식기준을 적용 하면 표토침식관리면적 또한 너무 커지거나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OECD 및 환경부 표토고 시에 제시하고 있는 표토침식지표들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누적확률을 기준으로 상대적 표토침식지표를 제시하였다. 이 누적확률을 고려한 상대적 표토침식지표를 적용하는 방법은 셀 단위의 표토침식량 산정결과를 내림차순으로 정렬시켜 상위 10%, 20%, 30%, 40%, 50%에 해당하는 표토침식량을 기준으로 표토침식지표를 설정하는 방법이다.
  • 그리고 75 ton/ha/yr 미만의 표토침식량이 발생할 때는 표토침식 우려 지역으로 표토침식지표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별 표토침식량 산정결과를 토대로 OECD 표토침식지표와 환경부 표토침식지표를 적용하였을 때 표토침식관리 대상지역이 얼마만큼의 면적을 차지하는지에 대해 평가하면서 이 기준들을 적용하였을 때 산정된 표토침식관리면적이 관리가능면적인지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OECD 및 환경부 표토고시에서 제시하고 있는 절대적 표토침식지표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누적확률을 고려한 상대적 표토침식지표를 제시하였다. OECD 및 환경부 표토고시에 따른 표토침식지표로 표토침식 관리 대상 지역을 분석할 경우 정량적 기준을 토지이용에 관계 없이 일괄적으로 적용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한 표토침식 관리대상 선정이 어려워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토의 역할은 무엇인가? 표토는 인간에게 생활터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양분 및 수분공급 등 생태계 유지에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표토 유실로 인해 토양 생태계 훼손, 각종 환경조절 기능 약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강수 발생으로 유실된 표토는 하천에 유입되게 되어 하상증가, 부영양화, 탁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MOE, 2012a; MOE, 2012b).
표토 유실은 무엇 때문에 발생하는가? 표토는 인간에게 생활터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양분 및 수분공급 등 생태계 유지에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표토 유실로 인해 토양 생태계 훼손, 각종 환경조절 기능 약화 등의 문제가 발생되며, 강수 발생으로 유실된 표토는 하천에 유입되게 되어 하상증가, 부영양화, 탁수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MOE, 2012a; MOE, 2012b). 또한 표토침식은 현재 환경, 수문, 농업의 문제뿐만 아니라 자원손실로 인식되고 있다.
표토침식지표에 대한 국제적 지표중 OECD의 등급 분류는? 대만의 경우에도 수토보전법을 제정하고 USLE모델을 통한 구체적 표토침식량 산정 방법 기술 및 일정 수준의 경사지, 저수지 유역, 농경지 등에 대한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표토침식관리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표토침식지표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TEPA, 1983). 한편 OECD에서는 여러 나라의 토양 유실 현황 보고서를 취합하여 토양유실의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나라별 농경지를 대상으로 한 표토침식지표를 “Tolerable, Low, Moderate, High, Severe”의 5등급으로 제시하고 있다(OECD, 2008; OECD, 2013). 우리나라에서는 표토침식 우심지역 선정 및 보전관리를 위한 기준으로 OECD 표토침식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국내 표토 보고서 및 표토고시에 따르면 연평균 표토침식량이 50 ton/ha/yr을 초과하면 표토침식관리를 위한 현장조사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표토침식량이 75 ton/ ha/yr를 초과하면 표토침식 대책지역, 75 ton/ha/yr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를 표토침식 우려지역으로 표토침식량이 증가할 우려가 있는 경우 대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MOE, 2012a; MOE, 2012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garello, V., Stefano, C. D., Ferro, V., Giordano, G., Invino, M., and Pampalone, V. (2012). Estimating the USLE Soil Erodibility Factor in Sicily, South Italy, Applied Engineering in Agriculture, 28(2), pp. 199-206. 

  2. Beasley, D. B., Huggins, L. F., and Monke, E. J. (1980). ANSWERS: A Model for Watershed Planning, Transactions of the ASAE-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3, pp. 938-944. 

  3. Grimm, M., Jones, R., and Montanarella, L. (2001). Soil Erosion Risk in Europe, Joint Research Centre, European Commission. 

  4. Jang, C., Shin, Y., Kum, D., Kim, R., Yang, J. E., Kim, S. C., Hwang, S. I., Lim, K. J., Yoon, J., Park, Y. S., and Jung, Y. (2015). Assessment of Soil Loss in South Korea based on Land-cover Type,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doi:10.1007/s00477-015-1027-3. 

  5. John, F. B., Andy, J. P., Claire, M., Simon, D. T., Rob, W. S., and Jerry, E. W. (2011). Land use, Soil Erosion, and Sediment Yield at Pinto Lake, California: Comparison of a Simplified USLE Model with the Lake Sediment Record, Journal of Paleolimnology 45, pp. 199-212. doi:10.1007/s10933-010-9491-8. 

  6. Junakovaa, N., Klescovaa, Z., Gergelova, M., and Holuba, M. (2014). The Influence of Topographical Factor Calculation on the Estimation of Water Erosion Intensity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Environmental Engineering", Vilnius Gediminas Technical University (VGTU) Press, pp. 1-6. 

  7. Jung, K., Kim, W., Hur, S., Ha, S., Jung, P., and Jung, Y. (2004). USLE/RUSLE Factors for National Scale Soil Loss Estimation Based on the Digital Detailed Soil Map,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37(4), pp. 199-206. [Korean Literature] 

  8. Knisel, W. G. (1980). CREAMS: a Field Scale Model for Chemicals, Runoff, and Erosion from Agricultural Management Systems, USDA Conservation Research Report 26. 

  9.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RC) (2004). Final Report for the Turbidity Reduction Management at Imha- da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0.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WRC) (2007). Turbidity Management Through Joint Dam Operation,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1. Lee, G. S. (2006). The Comparative Estimation of Soil Erosion for Andong and Imha Basins using GIS Spatial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ing, 26(2D), pp. 341-347. [Korean Literature] 

  12. Lee, G. S. and Lee, K. H. (2006). Scaling Effect for Estimating Soil Loss in the RUSLE Model Using Remotely Sensed Geospatial Data in Korea,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Discussions, 3(1), pp. 135-157. 

  13. Lee, J. H., Shim, E. J., Lee, Y. K.. and Kim, T. W. (2012).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Soil Erosion Quantity Using USLE in the Upper Region of ManKyoung River Basin, Journal of Korean Wetland Society, 14(3), pp. 317-328. [Korean Literature] 

  14. Lim, K. J., Sagong, M., Engel, B. A., Tang, Z., Choi, J. D. and Kim, K. S. (2005). GIS-based Sediment Assessment Tool, CATENA, 64, pp. 61-80. 

  15.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a). The Topsoil Preliminary Investigation Guidance (TPIG),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6. Ministry of Environment (MOE) (2012b). Act 6.2 of the Soil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SEP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17. Moore, I. and Burch, G. (1986a). Physical Basis of the Length-slope Factor in the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0, pp. 1294-1298. 

  18. Moore, I. and Burch, G. (1986b). Modeling Erosion and Deposition: Topographic Effects,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29, pp. 1624-1640. 

  19. Morgan, R. P. C., Quinton, J. N., and Rickson, R. J. (1990). Structure of the Soil Erosion Prediction Model for the European Community, In: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Water Erosion, Sedimentation and Resource Conservation, Dehradun. 

  20. Nearing, M. A., Forster, G. R., and Lane, L. J. (1989). A Process-based Soil Erosion Model for USDA Water Erosion Prediction Project, Transactions of th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32, pp. 1587-1593. 

  21. Olson, K. (2007). The Effect of Spatial Resolution on Erosion Patterns in Southeast Minnesota, Saint Mary's University of Minnesota Central Services Press, Winona, Minnesota, 9, pp. 13. 

  22.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8).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Agriculture in OECD Countries since 1990, OECD, DOI. 10.1787/9789264040854-en. 

  2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13). OECD Compendium of Agri-environmental Indicators, OECD, DOI. 10.1787/9789264186217-en. 

  24. Park, C. W., Sonn, Y. K., Hyun, B. K., Song, K. C., Chun, H. C., Moon, Y. H., and Yun, S. G., (2011). The Redetermination of USLE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 of Soil Loss at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4(6), pp. 977-982. [Korean Literature] 

  25. Park, J. H., Woo H. S., Pyun, C. K., and Kim, K. K. (2000). A Study of Distribu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USLE/RUSLE for Estimation of Soil Los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3(5), pp. 603-610. [Korean Literature] 

  26. Park, S., Oh, C., Jeon, S., Jung, H., and Choi, C. (2011). Soil Erosion Risk in Korean Watersheds, Assessed Using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Journal of Hydrology, 399(3), pp. 263-273. 

  27. Parveen, R. and Kumar, U. (2012). Integrated Approach of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for Soil Loss Risk Assessment in Upper South Koel Basin, Jharkhand,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4(6), pp. 588-596. 

  28. Renard, K. G., Foster, G. R., Weesies, G. A., McCool, D. K., and Yode, D. C. (1997). Predicting Soil Erosion by Water: a Guide to Conservation Planning with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RUSLE), Agriculture Handbook, Washington, 703. 

  29. Shengpan, L., Changwei, J., Neil, A. C., Vincent, C., Nathan, J. M., and Jiaping, W. (2013). Evaluating DEM Source and Resolution Uncertainties in the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7, pp. 209-221. DOI. 10.1007/s00477-012-0590-0. 

  30. Shin, K. J. (1999). The Soil Loss Analysis Using GIS in Watershe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31. Taiwan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TEPA). (1983). Soil and Water Conservation Act, Environmental Protection Administration, Taiwan. 

  32. Van der Knijff, J. M., Jones, R. J. A., and Montanarella, L. (2000). Soil Erosion Risk Assessment in Europe, European Soil Bureau, European Commission, pp. 1-38. 

  33. Wischmeier, W. H. and Smith, D. D. (1965). Predicting Rainfall Erosion Losses from Cropland East of the Rocky Mountains, US, Agriculture Handbook, No. 28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Research Service, Washington, DC. 

  34. Zhenlan, J., Shiliang, S., Changwei, J., Shengpan, L., Xufeng, F., and Jiaping, W. (2012). Spatiotemporal Dynamics of Soil Erosion Risk for Anji County, Chin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26(6), pp. 751-76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