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헤드스페이스 고체상미량추출(Solid-Phase Microextraction)을 이용한 시판 일본소주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Volatile Component Analysis of Commercial Japanese Distilled Liquors (Shochu)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5, 2015년, pp.567 - 573  

신광진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이승주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 증류식 소주인 본격소주 9종을 수거하여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헤드스페이스-고체상미량추출법에 의해 추출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76개의 성분이 동정되었고,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면 에스터 48종, 알코올 13종, 기타 15종의 성분이 동정되었다. 에스터와 알코올이 주요한 성분으로 분석되었으며 아세트산아이소아밀, 폼산아이소아밀, 헥산산에틸, 옥탄산에틸, 데카노산에틸, 아이소아밀알코올, 2-페닐에탄올이 주요 성분으로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 결과 제조원료에 따라 주성분1 선상에서 대맥국 원료 본격소주의 향기패턴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쌀과 보리 원료에 따른 향기패턴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일본 본격소주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와 국내산 증류식 소주의 주요 향기성분 분석 결과를 비교분석하면 향후 국내산 증류식 소주의 품질관리에 주요한 향기성분 파악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원재료와 제조방법에 따른 증류식 소주 제품 개발이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volatile compounds in nine commercial Japanese distilled liquors (Shochu) were isolated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rraction (SPM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MS). A total of 76 volatile components, including 48 esters, 13 alcohols, and 15 m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쌀과 보리를 각각 원료로 만들어진 일본 본격 소주 9종을 고체상미량추출(Solid-Phase Microextraction, SPME)을 이용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고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법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통해 향기성분에 따른 시료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 증류식 소주의 원료로 사용되는 곡물은?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는 원료에 따라 찹쌀, 보리, 멥쌀, 밀, 수수, 옥수수 등을 사용하며 주 재료에 따라 독특한 향미를 가진다. 일본의 증류식 소주는 본격소주(本格燒酒)라 불리며 쌀, 보리, 고구마, 메밀 등 다양한 원료로 만들어진 일본의 전통 증류주이다(4,5).
본격소주는 어떤 발효법을 취하는가? 일본의 증류식 소주는 본격소주(本格燒酒)라 불리며 쌀, 보리, 고구마, 메밀 등 다양한 원료로 만들어진 일본의 전통 증류주이다(4,5). 이는 우리나라와 일본을 포함한 고온다습한 기후를 가진 아시아 국가에 적합한 양조주로 쌀 경작과 더불어 술 양조 시 종국을 이용한 당화과정을 거치는 병행복발효법을 취한다. 우리나라 전통 증류식 소주와 일본의 본격소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발효제(종국 또는 누룩)를 사용하여 발효원주를 양조하고, 이를 단식 증류하여 제조하는 공통점을 가진다(6-8).
민속주 중 증류식 소주는? 그러나 1965년 시행된 양곡관리법에 의해 쌀을 원료로 한 증류식 소주 제조가 금지됨에 따라 희석식 소주가 제조되었으며 현재까지 소비자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2). 1986년 이후 민속주법이 제정되어 33종이 민속주로 지정 받았으며 그 중 증류식 소주로는 문배주, 안동소주, 옥천한주 3종이 있으며, 그 외 일부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나 그 소비량은 저조한 실정이다(3). 그러나 탁주와 더불어 우리 술의 다양성과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증류식 소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Jang JH.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J. Korean Soc. Food Cult. 4: 271-274 (1989) 

  2.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446 (2003) 

  3. Ahn BH. Research status of traditional liquor. Bull. Food Technol. 7: 42-47 (1994) 

  4. Jung ST, Park YK, Jung JH, Hwang KT, Kang BC, Jung SG. Development of distillation type soju from sweet potato.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R&D Report.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Rural Affairs pp. 125-254 (1996) 

  5. Kim MH, Yoshitake K, Takamine K, Lee HU, Kim WS. Aromatic ingredients and distinct flavors of the koguma-Soju produced from Korean sweet potato varieties yeonmi, jeungmi, shincheonmi, and shinyeulmi.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51-55 (2015) 

  6. Yoshizaki Y, Yamato H, Takamine K, Tamaki H, Ito K, Sameshima Y.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shochu koji, sake koji, and steamed ric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J. I. Brewing 116: 49-55 (2010) 

  7. Jeong ST, Kwak HJ, Kim SM. Quality characteristics and biogenic amine production of makgeolli brewed with commercial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27-734 (2013) 

  8.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Determination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lavour components in the Korean folk sojues using GC-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750-758 (1994) 

  9. Korea alcohol and liquor industry association. Market trend of 2004's Korea Alcoholic Beverages. Vol. 25.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43-54 (2005) 

  10. Korea alcohol and liquor industry association. Market trend of 2005's Korea Alcoholic Beverages. Vol. 26.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28-32 (2006) 

  11. Korea alcohol and liquor industry association. Market trend of 2006's Korea Alcoholic Beverages. Vol. 27.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31-36 (2007) 

  12. Korea alcohol and liquor industry association. Market trend of 2012's Korea Alcoholic Beverages. Vol. 33. Korea Alcohol Liquor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72-81 (2013) 

  13. Song YO.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ju (distilled liquor) depending on different sources of koji.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Korea (2013) 

  14. Lee KH. The production and market status of distilled liquor. J. Korean Soc. Food Cult. 4: 301-309 (1989) 

  15. Cho SI, Kang SA, Cheong C. Yeast selection for quality optimization of distilled spirits. J. Korea Acad. Ind. Coop. Soc. 14: 3887-3896 (2013) 

  16.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s distilled from samil-ju with various distill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40-446 (1992) 

  17. Lee DH, Lee YS, Cho CH, Park IT, Kim JH, Ahn BH. The qualities of liquor distilled from ipguk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24-32 (2014) 

  18. Lee DH, Jung JW, Lee YS, Seo JS, Park I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446-455 (2014) 

  19. Lee DH, Park IT, Lee YS, Seo JS, Jung JW, Kim TW, Kim JH, Ahn BH.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wine using nuruk by aging container and period of distilled liquo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579-1587 (2014) 

  20. Lee SJ, Park CS, Kim HK. Sensory profiling of commercial Korean distilled So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48-652 (2012) 

  21. Lee SM, Han HY, Lee SJ. Volatile compounds in takju (rice wine) using different types of fermentation starters. Food Eng. Prog. 18: 348-354 (2014) 

  22. Kovats ES. Gas chromatographic characterization of organic substances in the retention index system. Adv. Chromatogr. 1: 229-247 (1965) 

  23.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Aspergillus kawachii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44-950 (2005) 

  24. Lee SJ, Ahn BM.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s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7-276 (2008) 

  25. Yuda J.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Japan 71: 818-830 (1976) 

  26. Ju MN, Hong SW, Kim KT, Yum SK, Kim GW, Chung KS. Preparation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yakju) by a protoplast fusion yeast strain utilizing starch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Sic. Technol. 41: 541-546 (2009) 

  27. Yi HC, Moon SH, Park JS, Jung JW, Hwang KT. Volatile compounds in liquor distilled from mash produced using koji or nuruk under reduced or atmospheric press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880-886 (2010) 

  28. Nunokawa Y. Composition of sake. J. Soc. Brew. Japan 62: 854-860 (1967) 

  29. Choi SH, Im SI, Hu SH, Kim YM. Processing condition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and its flavor components: 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4: 261-267 (1995) 

  30. In HY, Lee TS, Lee DS, Noh BS. Volatile components and fusel oils of sojues and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5-240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