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더덕 잎의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s)과 항산화 활성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7 no.5, 2015년, pp.680 - 685  

김기호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김나연 (숙명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강신호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이화진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더덕 잎의 활용가치를 높이고자 더덕 잎 추출물 내 존재하는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더덕 잎의 생리활성 물질의 존재를 검정하기 위해 파이토케미컬 검색을 한 결과, 더덕 잎 추출물에 환원당, 사포닌, 트라이터페노이드, 타닌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생리활성 물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들 파이토케미컬의 존재를 근거로 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250 및 $500{\mu}g/mL$ 더덕 잎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 실험에서 각각 43% 및 81%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고, L-아스코브산의 71% 및 95%에 해당하는 환원력을 나타냈다. 또한, 더덕 잎 추출물 62.5, 125 및 $250{\mu}g/mL$에서 각각 73, 90 및 99%의 NO생성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항산화 활성을 기반으로 한 항염증 효능의 가능성도 제공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더덕 잎 추출물의 아글리콘 분획을 조제하여 분석한 결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인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더덕과 같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인 도라지의 항산화 연구에서 도라지 잎과 줄기 용매 분획물 중 줄기의 부탄올 분획물 $500{\mu}g/mL$을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환원력과 화학성분을 보고한 바 있으나 항산화 활성 성분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35). 루테올린이 함유되어 있는 더덕 잎 아글리콘 분획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 250 및 $500{\mu}g/mL$의 아글리콘 분획이 각각 67% 와 87%의 강력한 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냈으며, L-아스코브산의 128% 및 141%에 해당하는 우수한 환원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더덕 잎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tochemicals in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were saponins, triterpenes, tannins, and flavonoids, not alkaloids.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flavonoids in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C. lanceolata leaves showed strong 2, 2-diphenyl-1-p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아스코브산의 환원력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활성을 평가하였을 때, 250 및 500 μg/mL 더덕 잎 추출물은 각각 L-아스코브산의 69% 및 95%에 해당하는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더덕 잎 추출물의 강력한 DPPH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포에서 발생하는 산화질소 및 라디칼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대식세포주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산화질소(II)의 생성 정도를 평가하기로 하였다.
  • 이는 식물재료의 추출방법에 따른 파이토케미컬의 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더덕 잎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근거로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한 더덕 잎 추출물의 농도를 산정하였다.
  • 더덕 잎에 대한 연구로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루테올린(luteolin)과 그글리코사이드(glycoside) 규명 및 일반성분 분석과 영양가치, 더덕뿌리와 잎 추출물을 이용한 면역반응 조절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있지만(19-21), 항산화 기능성 성분의 규명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식물의 기능성 성분 검색을 위해 더덕 잎 추출물 내 존재하는 파이토케미컬에 대한 정성평가를 실시하고, 항산화 기능성 물질인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및 활성성분을 분석하여 향후 더덕 잎의 활용가치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2)L-ascorbic acid (treatment of 150 μM) is a positive contro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덕이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초롱꽃과(Campanul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예로부터 인삼 등과 함께 오삼의 하나로 불리웠으며, 식품 및 한방재료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7,8). 더덕의 뿌리는 한방에서 소종, 해독, 거담의 효능이 있고, 병후회복 및 유즙분비 촉진 등의 약효가 알려져 있다(9-11).
항산화제는 무엇인가? 인체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은 환경오염, 음주, 흡연, 화학약품 등에 의해 생성되며, 생체 내의 자유라디칼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는 단백질의 불활성화 및 조직의 손상 및 유전자 변이 등을 유발하여 노화, 퇴행성 신경질환, 대사증후군 같은 질환의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3). 항산화제(antioxidant)는 자유라디칼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키거나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물질로서, 세포의 노화와 각종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는 천연물로부터 항산화 기능성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4-6).
더덕뿌리를 이용하여 어떻게 먹었는가? 더덕뿌리의 주요성분으로 폴리페놀(polyphenol), 사포닌(saponin), 트라이터펜(triterpene), 스테로이드(steroid)계 화합물뿐 아니라, 고지혈증 억제 및 면역세포활성화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2-16). 또한 더덕의 뿌리는 식용으로도 널리 이용되는 산채식품으로 구이, 절임, 부침 등으로 이용해왔으며, 사포닌 및 폴리페놀 같은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된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도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17,18). 반면, 더덕의 지상부를 포함한 부산물은 더 이상 이용되지 못하고 버려지고 있으며, 지상부인 잎 부분에 대한 활용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Devasagayam TPA, Tilak JC, Boloor KK, Sane KS, Ghaskadbi SS, Lele RD.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 Physician. I. 52: 794-804 (2004) 

  2. Alfadda AA, Sallam RM. Reactive oxygen species in health and disease. J. Biomed. Biotechnol. 2012: 936486 (2012) 

  3. Khurana S, Piche M, Hollingsworth A, Venkataraman K, Tai TC. Oxidative stress and cardiovascular health: Therapeutic potential of polyphenols. Can. J. Physiol. Pharm. 91: 198-212 (2013) 

  4. Kancheva VD, Kasaikina OT. Bio-antioxidants-a chemical base of their antioxidant activity and beneficial effect on human health. Curr. Med. Chem. 20: 4784-4805 (2013) 

  5. Lobo V, Patil A, Phatak A, Chandra N.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functional foods: Impact on human health. Pharmacogn. Rev. 4: 118-126 (2010) 

  6. Alok S, Jain SK, Verma A, Kumar M, Mahor A, Sabharwal M. Herbal antioxidant in clinical practice: A review. Asian Pac. J. Trop. Biomed. 4: 78-84 (2014) 

  7. Yoo HH, Baek SH, Park YK, Lee SH, Kim CM, Lee KS, Park MK, Park JH. Quality control of dired root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 J. Pharmacogn. 33: 85-87 (2002) 

  8. He X, Kim SS, Park SJ, Seong DH, Yoon WB, Lee HY, Park DS, Ahn JH. Combined effects of probiotic fermentation and high-pressure extraction on the antioxidant, antimicrobial,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of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J. Agr. Food Chem. 58: 1719-1725 (2010) 

  9. Xu LP, Wang H, Yuan Z. Triterpenoid saponins with anti-inflammatory activity from Codonopsis lanceolata. Planta Med. 74: 1412-1415 (2008) 

  10. Cho KS, Kim SJ, Park SH, Kim SJ, Park TS. Protective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root extract against alcoholic fatty liver in the rat. J. Med. Food 12: 1293-1301 (2009) 

  11. Kim MH, Lee JH, Yoo DS, Lee YG, Byeon SE, Hong EK, Cho JY. Protective effect of stress-induced liver damage by saponin fraction from Codonopsis lanceolata. Arch. Pharm. Res. 32:1441-1446 (2009) 

  12. Kim SS, Jeong MH, Seo YC, Kim JS, Kim NS, Woon WB, Ahn JH, Hwang B, Park DS, Park SJ, Lee HY.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by high pressure extraction of Conodopsis laneolata from different production area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8:248-254 (2010) 

  13. Li JP, Liang ZM, Yuan Z. Triterpenoid saponins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Pharmazie 62: 463-436 (2007) 

  14. He X, Zou Y, Yoon WB, Park SJ, Park DS, Ahn JH. Effects of probiotic fermentation on the enhancement of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ed by high pressure treatment. J. Biosci. Bioeng. 112: 188-193 (2011) 

  15. Cha A, Choi YS, Jin YJ, Sung MK, Koo YC, Lee KW, Park TS. Antilipogen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in mice hepatic tissues after chronic ethanol feeding. J. Biomed. Biotechnol. 2012: 141395 (2012) 

  16. Choi HK, Won EK, Jang YP, Choung SY. Antiobesity effect of Codonopsis lanceolata in high-calorie/high-fat-diet-induced obese rats. Evid.-Based. Compl. Alt. 2013: 210297 (2013) 

  17. Kim EJ, Yang WS, Kim JH, Park JG, Kim HG, Ko JY, Hong YD, Rho HS, Shin SS, Sung GH, Cho JY. Lancemaside a from Codonopsis lanceolata modulates the inflammatory responses mediated by monocytes and macrophages. Mediat. Inflamm. 2014: 405158 (2014) 

  18. Byeon SE, Choi WS, Hong EK, Lee JH, Rhee MH, Park HJ, Cho JY. Inhibitory effect of saponin fraction from Codonopsis lanceolata on immune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Arch. Pharm. Res. 32: 813-822 (2009) 

  19. Whang WK, Park KY, Chung SH, Oh IS, Kim IH. Flavonoids from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Kor. J. Pharmacogn. 25: 204-208 (1994) 

  20. Lee YG, Kim JY, Lee JY, Byeon SE, Hong EK, Lee JH, Rhee MH, Park HJ, Cho JY. Regulatory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on macrophage-mediated immune responses. J. Ethnopharmacol. 112: 180-188 (2007) 

  21. Park EA.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Korean J. Culin. Res. 20: 183-192 (2014) 

  22. Uddin R, Saha MR, Subhan N, Hossain H, Jahan IA, Akter R, Alam A. HPLC-analysis of polyphenolic compounds in Gardenia jasminoides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by using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s. Adv. Pharm. Bull. 4: 273-281 (2014) 

  23. Aziz MA. Qualitative phytochemical screening and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activities of Microcos paniculata barks and fruits. J. Integr. Med. 13: 173-184 (2015) 

  24. Padda MS, Picha DH. Methodology optimization for quantification of total phenolics and individual phenolic acids in sweetpotato (Ipomoea batatas L.) roots. J. Food Sci. 72: C412-C416 (2007) 

  25.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26. Lee HJ, Park JH, Jang DI, Ryu JH. Antioxidant components from Broussonetia kazinoki. Yakhak Heoji 41: 439-443 (1997) 

  27. Tsao R.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 1231-1246 (2010) 

  28. Malireddy S, Kotha SR, Secor JD, Gurney TO, Abbott JL, Maulik G, Maddipati KR, Parinandi NL. Phytochemical antioxidants modulate mammalian cellular epigenome: Implications in health and disease. Antioxid. Redox Sign. 17: 327-339 (2012) 

  29. Kennedy DO. Polyphenols and the human brain: Plant "secondary metabolite" ecologic roles and endogenous signaling functions drive benefits. Adv. Nutr. 5: 515-533 (2014) 

  30. Na GM, Han HS, Ye SH, Kim HK.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Cult. 19: 499-505 (2004) 

  31. Seelinger G, Merfort I, Schempp CM.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activities of luteolin. Planta Med. 74: 1667-1677 (2008) 

  32. Rahman I. Dietary polyphenols mediated regulation of oxidative stress and chromatin remodeling ininflammation. Nutr. Rev. 66: S42-S45 (2008) 

  33. Rathee P, Chaudhary H, Rathee S, Rathee D, Kumar V, Kohli K. Mechanism of action of flavonoids as anti-inflammatory agents: A review. Inflamm. Allergy Drug Targets 8: 229-235 (2009) 

  34. Choi JS, Islam MN, Ali MY, Kim YM, Park HJ, Sohn HS, Jung HA. The effects of C-glycosylation of luteolin on its antioxidant, anti-alzheimer's disease, anti-diabet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rch. Pharm. Res. 37: 1354-1363 (2014) 

  35. Jeong CH, Shim KH.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latycodon grandiflorum leaves and ste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11-515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