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한복 양식에 기반한 현대의 돌복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Modern Dolbok Design Based on Traditional Hanbok Style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7 no.5, 2015년, pp.793 - 799  

이지원 (경북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부) ,  송정아 (경북대학교 섬유패션디자인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boks have evolved throughout time; for example, the curved Barae has changed into a more modern and sophisticated straight one. The development of staining techniques has increased color selections with more luxurious designs. I suggested a design of Dolbok that considers functionality, pract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대의 돌복에 나타난 유형을 분석하고 돌잔치를 치루거나 앞으로 돌잔치를 할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돌복의 개선점을 파악하고 선호하는 색상과 사이즈 등을 참고하여 한복의 복식미를 기본으로 하면서 3세~4세까지 활용이 가능한 실용성과 기능성, 경제성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하여 소비자가 선호 하는 돌복 디자인을 제시함과 동시에 앞으로 한복이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 되어 가야할지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과거와 현대의 돌복에 나타난 유형을 분석해서 한복의 복식미를 기본으로 하는 돌복을 만듬과 동시에 3세~4세까지 입을 수 있게 실용성과 기능성, 경제성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 디자인을 가지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돌복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옛날에 아이가 돌을맞이한다는 것을 중요시 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태어난 날을 기점으로 한 바퀴 돌아 다시 시작 한다는 의미에서 “돌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명사로 초도일(初度日), 수일( 日) 등으로 불린다(Shin, 2003). 과거에는 의료시설이 미비하고 유아의 사망과 질병이 많았기 때문에 아이가 돌을맞이한다는 것은 성장의 과정에서 한고비를 무사히 넘겼다는계기가 되므로 이를 경하하게 된 것이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습속화된 것이다(An & Min, 1988).
'돌' 이란 무엇인가? 돌은 아이가 태어나고 만 1년이 되는 날 첫 생일을 기념하는 것이다. 태어난 날을 기점으로 한 바퀴 돌아 다시 시작 한다는 의미에서 “돌다”라는 동사에서 나온 명사로 초도일(初度日), 수일( 日) 등으로 불린다(Shin, 2003).
과거 아이의 돌을 지낼 때 입혔던 돌복은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아침에 삼신상을 차려 아기의 수명복락을 기원하고, 아기에게는 화려한 옷을 입혔다. 남자아이는 보라색이나 회색 바지에분홍 또는 색동저고리를 입고 그 위에 색동두루마기나 남색조끼, 색동마고자를 입혔다. 그 위에 전복을 입히고 홍색 실띠를두르며, 복건을 쓰고 타래버선을 신은 다음 주머니를 채웠다.여자아이는 색동저고리에 붉은색 치마를 입고 조바위를 썼으며, 타래버선에 주머니 차림을 했다. 주머니에는 붉은 실로 수복귀(壽福貴) 세 글자를 수놓고, 그 밖에 국화나 모란 또는 동물 모양의 수를 놓아서 예쁘게 꾸몄다. 주머니 끈에는 작은 타래버선, 은도끼, 은나비, 은장도, 은자물통을 다는데, 이런 장식물들이 잡귀를 쫓고 아기에게 수명장수를 가져다준다고 여겼다. 돌에는 남녀 아기 돌띠를 둘렀는데, 띠가 매우 길어 몸을한번 감아서 매는데, 이것 역시 명이 길어지기를 바라는 뜻이담겨있다(Park & Lee,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n, E. H., & Min, J. U. (1988). Korean Folk Overview. Seoul: Sungmungak. 

  2. Chu, E. H. (2000). A study on the clothing in birth ceremony-Around Chonnam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ju. 

  3. Ha, S. H. (2000). The study of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dress and its ornam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 Huh, G., & Yoo, N. H. (2002). Traditional, Pattern. Seoul: Daewonsa. 

  5. Kim, J. H., & Lee, M. S. (2002). Our costume making. Daejun: University of Hannam Press. 

  6. Lee, H. Y. (2004). A study on coordination of firstday's costume for girls.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7(2), 103-109. 

  7. Park, K. H., & Lee, M. J. (2005). The children's garments have five different colors representing five direction by Master Park Kwang Hoon. 

  8. Park, S. S. (2000). Empirical study of traditional children's costume. Korean Costume, 18, 43-98. 

  9. Shin, Y. J. (2003). The study children's dress of Chosun dynas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10. Suk, J. S. Museum (2000). Korean traditional costume for children. Seoul: Dankuk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