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연형광 OLED 소재 기술 동향 원문보기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 Information display, v.16 no.5, 2015년, pp.27 - 38  

이칠원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교육혁신센터)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기고에서는 발광 재료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효율 증진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다양한 효율 증진 기법 중 최근에 크게 조명 받고 있는 열활성 지연형광(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재료에 대한 기술 현황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 본 장에서는 TADF 이외에 TTA, 단일항 생성 비율을 높이는 방법 그리고 TSET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LED는 무엇인가? OLED는 전류구동 방식의 발광 소자로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고에너지 상태의 여기자(exciton)가 낮은 에너지 상태로 안정화 되면서 방출되는 에너지를 빛으로 전환하는 소자이다. OLED 소자 구동 시 생성되는 여기자는 단일항 및 삼중항 상태의 여기자를 생성하며 각각 25%, 75%의 비율로 여기자가 형성된다.
OLED 기술의 문제점은?  또한 OLED 기술은 디스플레이 분야뿐만 아니라 주조명 또는 보조조명에 적용하기 위해 유럽, 미국, 일본 그리고 한국 등에서 꾸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괄목할 만한 성과를 올리고 있다. 그러나 OLED 기술이 LCD 디스플레이 또는 기존 조명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면적화, 제품의 단가, 소비전력 그리고 제품 수명 등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관련 학계, 연구계 그리고 산업체 소속 연구자들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으며, 이중에서 OLED 소자의 효율과 수명을 증진시키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ADF 재료를 사용함으로 인해 지연 형광 수명이 증가하는 메커니즘은? 이상에서와 같이 TADF 재료는 효율적인 측면에서 인광 재료 수준에 필적하며, 적, 녹, 청색 등 모든 발광색에서 우수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단일항으로 up-conversion된 여기자는 형광 발광을 하기 전에 다시 down-conversion을 통해 삼중항 상태로 전이될 수 있으며,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지연 형광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에너지 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의 여기자가 오래 동안 지속되어 소자의 degradation을 가속시킬 위험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 Y. Kondakov, J. Soc. Inf. Disp. 17, 137 (2009). 

  2. H. Fukagawa et. al, Org. Electron. 13, 1197 (2012). 

  3. J.Y. Hu et al, Adv. Funct. Mater. 24, 2064 (2014). 

  4. T. Suzuki et al, Jpn. J. Appl. Phys. 53, 052102 (2014). 

  5. Y. Cao, et al, Nature 397, 414 (1999). 

  6. C. G. Zhen, et al, Adv. Mater. 21, 2425 (2009). 

  7. D. Volyniuk, et al, J. Phys. Chem. C 117, 22538 (2013). 

  8. B. Valeur, Molecular Fluorescenc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VCH, Weinheim (2002). 

  9. C. A. Parker, Advances Photochem. 2, 305 (1964). 

  10. A. Endo et al, Adv. Mater. 21, 4802 (2009). 

  11. M. J. Leitl et al, J. Am. Chem. Soc. 45, 16032 (2014). 

  12. A. Endo et al, Appl. Phys. Lett. 98, 083302 (2011). 

  13. K. Sato et al, Phys. Rev. Lett. 110, 247401 (2013). 

  14. H. Uoyama, et al, Nature 492, 234 (2012). 

  15. DR Lee et al, ACS Appl. Mater. Interfaces 7, 9625 (2015). 

  16. DR Lee et al, Adv. Mater. DOI: 10.1002/adma.201502053 (Early view) 

  17. Q. Zhang et al, J. Am. Chem. Soc. 134, 14706 (2012). 

  18. F. B. Dias et al, Adv. Mater. 25, 3707 (2013). 

  19. S. Wu et al, J. Mater. Chem. C 2, 421 (2014). 

  20. Q. S. Zhanget al, Nat. Photonics 8, 326 (2014). 

  21. H. Tanaka et al, Chem. Mater. 25, 3766 (2013). 

  22. C.W. Lee et al, Syn. Metals 162, 2059 (2012). 

  23. T. Nakagawa et al, Chem. Commun. 48, 9580 (2012). 

  24. G Mehes et al, Angew. Chem. 51, 11311 (2012). 

  25. K. Nasu et al, Chem. Comm. 49, 10385 (2013). 

  26. K. Shizu et al, ITE Transactions on Media Technology and Applications 3, 108 (2015). 

  27. M. Kim et al, Adv. Mater. 27, 2515 (2015). 

  28. S. Hirata et al, Nature Mater. 14, 330 (2015). 

  29. S. Y. Lee et al, Appl. Phys. Lett. 101, 93306 (2012). 

  30. US patent US 2014/0158992 A1. 

  31. H. Nakanotani, et al, Nat. Commun., 5, 4016 (201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