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 중학생들과 일반 중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 중심으로
The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Science-related Career Between General and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5 no.5, 2015년, pp.673 - 696  

신세인 (전북대학교) ,  이준기 (전북대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  이태경 (울산 신언중학교) ,  정영희 (전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은 이공계 직업동기와 과학학습동기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미래의 국가 과학기술발전의 핵심 동력인 과학영재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과학을 하는데 있어 과학관련 직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하여 중학교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종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를 구조화 한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두 집단의 인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네트워크를 비교분석한 결과, 첫째, 과학영재들은 일반학생들에 비하여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에 있어 다양했으며, 직업명의 구체성이 있었다. 둘째, 물질과학자와 의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의 과학관련 직업 인식망에서 가장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였다. 또한 교수, 컴퓨터 및 수학 관련 직업은 과학영재의 인식망에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중심성을 나타낸 반면, 일반학생의 인식망에서는 낮은 중심성을 보이며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기술적 직업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인식망의 외곽에 위치하여, 학생들은 기술적 직업을 과학과 관련된 직업으로 쉽게 떠올리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과학영재 학생들의 진로 지도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related career strongl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career motivation in science. Especially, the high level of science gifted students' positive perception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llowing them to continue to study science. This study compared perceptions of sc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39) 과학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의 인식 연결망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1)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의 세부 구성요소인 점과 점 사이의 연결을 통해 두 학생 집단의 인식 양상의 차이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 이 연구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그들의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중학교 1~3 학년군의 중요한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 학생들의 ‘진로탐색능력’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인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지식 및 이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응답에서 나타난 공기성에 기초한 과학과 관련된 직업 인식망은 각각 [그림 1]과 [그림 2]에서와 같이 도식화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두 집단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 인식의 중심적 네트워크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집단별로 출현빈도 상위 20위의 직업코드와 이 직업코드가 형성한 연결들 중 연결 가중치가 0.5 이상의 연결들만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도식화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또한 김경순, 신석진, 임희준, 노태희(2008a)가 제시한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4가지 분류기준인 과학적 직업(scientific profession)과 과학적 지식을 이용하는 직업 (profession using scientific knowledge), 기술적 직업(technological profession), 비과학기술 직업(non-scientific or non-technological profession)을 바탕으로 직업코드들을 재범주화하여 보다 더 큰 범주에서 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인식망을 살펴보고, 인식 네트워크의 거시적 이해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네트워크 상에서 각각의 점들을 분류 기준에 따라 4가지의 서로 다른 모양의 도형으로 구분하였다.
  • 또한 집단의 인식망을 도식화해서 볼 수 있기 때문에 추후 관련 교수학습 개발 시 고려해야할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Doerfel & Barnett, 1999; Lewicki, Gray & Elliot, 2003). 이 연구에서는 언어네트워크 방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업 군과 일반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과학과 관련된 직업군의 위상적 차이를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 는 네트워크 내에서 점의 구조적 위세를 보여주는 양적 수치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지수를 통해 어떤 점이 네트워크 상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분석법에서 연결정도중심성은 다른 점들과 연결이 가능한 모든 경우 중 실제로 연결된 경우의 비율을 의미한다.
  • 또한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은 사회네트워크 분석법을 언어라는 대상에 대해 적용 하여 구조적 이해를 시도한 새로운 분석방법이다(이준기, 하민수, 2012; Wassetman & Faust, 1994). 이 연구에서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학생들의 응답에 대해 기술통계적 비교를 넘어 점과 선의 데이터 모두를 통합적으로 얻고자 하였으며, 해당 직업군이 학생들의 정신모형 속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고 있는지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특히 이 연구에서는 사회가 장차 국가 과학기술인력으로 자라나기를 기대하고 있는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관련된 직업’에 대한 인식과 일반학생들의 인식을 함께 조사하여 그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학교 시기가 학생들에게 핵심적인 시기인 이유? 중학교 시기는 학생들이 중등교육으로 처음 진입하는 시기이며, 자신의 진로선택의 방향에 따라 일반 인문계 고등학교, 전문계 고등학교, 영재학교, 과학고등학교, 외국어 고등학교등 다양한 형태의 상급학교 진학이 결정되는 첫 번째 갈림길로 진로교육에 있어 매우 결정적이고 핵심적인 시기이다. 특히 중학교 시기는 학생들이 이공계열의 진로를 생각하고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기임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알려져 있다(김경순, 이선우, 한수진, 노태희, 2008b; Simpson, Koballa, Oliver & Crawley, 1994; Woolnough, 1994).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실제로 앞서 설명한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7차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최근 개정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 까지 진로교육을 가장 중요한 목표로 상정하고 있다. 이는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인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 하는 사람”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교육부, 1997; 교육인적자원부, 2007;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영재들이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진로탐색의 어려움은 무엇에 의한 것인가? 하지만 이러한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가적 지원 정책과 과학영재들에 대한 높은 사회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많은 과학영재들이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진로탐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은 직업과 관련된 자아 정체감의 부재, 과학에 치중된 관심, 실패에 대한 두려움, 저성취로 인한 또래에 대한 열등감과 같은 내적 요인과 진로선택시 부모의 판단에 의지, 멘토의 부재, 이공계 기피의 사회적 분위기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황희숙, 강승희, 황순영, 2010). 최근 과학영재들이 과학과 관련된 진로를 희망 하는 비율이 예전이 비하여 대폭 하락하였다고 보고되었는데, 이는 국내의 이공계 기피와 같은 사회분위기와 함께 과학영재교육원 등의 영재교육기관에서 과학기술 관련 직업․진로에 관련된 교육이 적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김현정, 유준희,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강경희(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교육과학기술부(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No. 2009-41. 

  3. 교육부(1997). 중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No. 1997-15. 

  4.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중등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고시 No. 2007-79. 

  5. 김경순, 신석진, 임희준, 노태희(2008a). 중,고등학생들의 과학 및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와 직업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890-900. 

  6. 김경순, 이선우, 한수진, 노태희(2008b). "과학, 기술 관련 일하는 장소 그리기"를 이용한 초등학생들의 과학, 기술 관련 직업에 대한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육, 27(3), 307-317. 

  7. 김민정, 김성국, 최경주(2009). 영업팀 구성원들의 외향성이 사회 네트워크 인지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상논총, 27(2), 77-102. 

  8. 김성관, 장명덕, 정진우(2002).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90-498. 

  9.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1), 1-8. 

  10. 김수겸, 유미현(2012).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학생의 직업가치관과 과학 진로지향도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222-1240. 

  11. 김현영, 박수경, 김영민(2012).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64-81. 

  12. 김현정, 유준희(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13. 민경아, 유미현, 고호경(2011). 수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393-421. 

  14. 박경진, 정덕호, 조규성(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야외지질학습 전후의 퇴적암에 대한 개념 구조 변화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4(2), 173-186. 

  15. 박동욱, 최상준, 변혜정, 김양호, 김수근, 하권철, 강태선(2013). 산업안전보건분야에서 표준 직업분류(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OC) 활용 사례 고찰 및 향후 국내 도입 방안 제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3(1): 11-19. 

  16.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17. 손동원(2002).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 경문사 

  18. 양태연, 한기순, 박인호(2010).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이 인식하는 영재교육의 의미. 영재교육연구, 17(2), 463-493. 

  19. 우새미(2015). 과학영재교육정책의 진화, 1968-2012: 과학기술인력정책과 영재교육정책의 상호작용. 영재교육연구, 25(2), 279-298. 

  20. 유순화, 윤경미, 강승희(2006). 과학영재 중학생과 일반 중학생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 상담학연구, 7(2), 399-415. 

  21. 유형근(2010). 초등 영재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 241-266. 

  22. 이시예, 이형철(2013). 융합 인재 교육(STEAM)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2(1), 60-70. 

  23. 이준기, 하민수(2012).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한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사실, 가설, 이론, 법칙과 과학적인 것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23-840. 

  24. 이지애, 박수경, 김영민(2012). 과학영재의 이공계 대학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적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15-29. 

  25. 이지연, 조현주, 윤지원(2014). 제 18대, 19대 대표발의안을 중심으로 본 국회의원 및 상임위원회의 입법활동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2(2), 11-25. 

  26. 장주희, 한상근, 이지연, 서용석 (2013). 시나리오 기법을 이용한 미래의 직업생활 분석: 직업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직업교육연구, 32(4), 41-58. 

  27. 정덕호 ,박선옥 ,유효현 ,박정주(2014).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61-576. 

  28. 최경희(1995). 중.고등학생들의 과학-기술-사회(STS)에 관련된 문제와 STS 교육에 관한 인식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73-79. 

  29. 최연철(2012).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에 대한 사회연결망 분석. 교원교육, 28(3), 159-174. 

  30. 하민수, 김미영, 박경화, 이준기(2012).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수준 및 구조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5), 866-878. 

  31. 하민수, 이준기(2012a). 과학 동기의 요인 구조 및 성별과 선호 계열별 과학 동기 차이 분석. 중등교육연구, 60(1), 1-20. 

  32. 하민수, 이준기(2012b).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융합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와 관련된 변인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2(2), 320-330. 

  33. 황희숙, 강승희, 황순영(2010). 과학영재의 진로선택 어려움에 관한 질적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2(3), 351-368. 

  34. Anderson, J. R. (1983).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22, 261-295. 

  35. Archer, L., Dewitt, J., Osborne, J., Dillion, J., Willis, B., & Wong, B. (2010). “Doing” science vs. “Being a scientist”: Examining 10/11-years old schoolchildren's constructions of science through the lens of identity. Science Education, 94, 617-639. 

  36. Aschbacher, P. R., Ing, M., & Tsai, S. M. (2014). Is science me? Exploring middle school students' STE-M career aspiration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3(6), 735-743. 

  37. Bodzin, A. & Gegringer, M. (2001). Breaking science stereotypes. Science and Children, 38(4), 36-41. 

  38. Borgatti, S. P., & Everett, M. G. (1999). Models of core/periphery structures. Social Networks, 21, 375-395. 

  39. Campbell, T., Lee, H., Kwon, H., & Park, K. (2012).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s as proxies for forming STEM identities.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3), 532-540. 

  40. Choi, K., Lee, H., Shin, N., Kim, S. 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41. Collins, A. M., & Loftus, E. F. (1975).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6), 407-428. 

  42. diSessa, A. A. (2008). A bird's-eye view of the "pieces" vs. "coherence" controversy. In S. Vosniadou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pp. 35-60). New York: Routledge. 

  43. Doerfel, M. L., & Barnett, G. A. (1999). A semantic network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5(4), 589-603. 

  44. Fisher, K. (1990). Semantic networking: The newkids on the block.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10), 1001-1018. 

  45. Flick, L. (1990). Scientist in residence program improving children'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3), 204-214. 

  46.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47. Glynn, S. M., Taasoobshirazi, G., & Brickman, P. (2007). Nonscience majors learning science: A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1088-1107. 

  48. Glynn, S. M., Taasoobshirazi, G., & Brickman, P. (2009).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27-146. 

  49. Grunspan, D. Z., Wiggins, B. L., & Goodreau, S. M. (2014). Understanding classroom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 primer for social network analysis in education research. CBE-Life Science Education, 13, 167-178. 

  50. Hadden, W. C., Kravet, N., & Muntaner, C. (2004). Descriptive dimensions of US occupations with data from the O*NET. Social Science Research, 33, 64-78. 

  51. Hammer, D. (1996). Misconceptions or p-prims: How may alternative perspectives of cognitive structure influence instructional perceptions and intention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5(2), 97-127. 

  52. Hovardas, T., & Korfiatis, K. J. (2006). Word associations as a tool for assessing conceptual change in science education. Learning and instruction, 16, 416-432. 

  53. Hsu, P. L., Roth, W. M., Marshall, A., & Guenette, F. (2009). To be or not to be? Discursive resources for (Dis-)identifying with science-related care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0), 1114-1136. 

  54. Laugksch, C. R. (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55. Leavitt, H. J. (1951). Some effects of certain communication patterns on group performance. The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46(1), 38-50. 

  56. Lewicki, R. J., Gray, B., & Elliot, M.. (2003). Making sense of intractable environmental conflicts: Concepts and cases. Washington D. C.: Island Press. 

  57. Liu, C., & Yager, R. E. (1996). Science/Technology/Society as reform in science education.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8. Malyn-Smith, J., & Lee, I. (2012). Application of the occupational analysis of computational thinking-enabled STEM professional as a program assessment. Journal of Computational Science Education, 3(1), 2-10. 

  59. McComas, W. F. (1999).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raionale and strategies.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60. Naomi, G. R. (1982) Images of engineering and liberal arts major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0(2), 193-202. 

  61. Narayan, R., Park, S., Peker, D., & Suh, J. (2013). Students' images of scientists and doing scien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2013, 9(2), 115-129 

  62. Newman, M. E. J. (2001).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I. Shortest paths, weighted networks, and centrality. Physical Review E, 64(016132), 1-7 

  63. Osborne, J.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64. Park, H. W., &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지, 6(5), 1377-1387. 

  65. Quillian, M. R. (1967). Word concepts: A theory and simulation of some basic semantic capabilities. Behavioral Sciences, 12, 410-430. 

  66. Sanders, M., Kwon, H., Park, K., & Lee, H. (2011). Integrativ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m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59(3), 729-762. 

  67. Sengupta, P., Kinnebrew, J.S., Basu, S., Biswas, G., & Clark, D. (2013). Integrat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K-12 science education using agent-based computation: A theoretical framework. Edu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8(2), 351-380. 

  68. Shamos, M. H. (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Rutgers, NJ: Rutgers University Press. 

  69. Shin, E. S., An, B. G., & Lee, S. M. (2014). Comparative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based on ISCO and KSCO.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8(5), 127-152. 

  70. Simpson, R. D., Koballa, T. R., Oliver, J. S., & Crawley, F. E. (1994). Research on the affective dimension of science learning. In D. L. Gabel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211-234). 

  71. Smith, W. S. (1987). Foward: The search for excellence in science teaching and career awarenes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81723). 

  72. Stuckey, M., Hofstein, A., Mamlok-Naaman, R., Eliks, I. (2013). The meaning of 'relevance' in science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science curriculum.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49(1), 1-34. 

  73. Wasset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s and applications. The Press Syndicate of the University of Cambridge. 

  74. Woolnough, B. E. (1994). Factors affecting students' choi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6(6), 659-676. 

  75. Zhou. T., Ren. J., Medo. M., Zhang. Y. (2007). Bipartite network projection and personal recommendation. Physical Review E 76(4): 046115. 

  76. Ziman, J. (1980).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and socie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