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원목재배와 병재배 잎새버섯(Grifola frondosa)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ve of Grifola frondosa by log cultivation and bottle cultiv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13 no.3, 2015년, pp.185 - 191  

김종봉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  서혜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잎새버섯에서 병재배와 원목재배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등을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5.96{\pm}0.81mg/g$이 가장 높았고 총 페놀함량은 $40^{\circ}C$ 물에서 추출한 병재배버섯의 $44.53{\pm}0.89$mg/g이 가장 높았다. DPPH를 이용하여 측정한 전자공여능은 BC-W40 잎새버섯 추출물의 $97.14{\pm}0.71%$가 가장 높았다. 아질산염소거능은 pH 1.2에서 BC-W40 잎새버섯 추출한 것의 $62.55{\pm}0.36%$가 가장 높았다. 가장 높은 SOD 유사활성은 LC-W40로부터 추출한 추출물의 $18.95{\pm}1.39%$였다. 잎새버섯의 Xanthine 저해 효과는 BC-W40 추출물 $54.13{\pm}0.40%$가 가장 높았고 그 효과는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잎새버섯이 우수한 항산화 기능이었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잎새버섯의 생리활성들은 재배 방법에 따라 일정하지는 않았고 용매의 종류, 농도 및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도, 아질산소거능 등과 같은 생리작용 요인들에 따라 달랐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physiological activites between Grifola frondosa of log cultivation(LC) and Grifola frondosa of bottle cultivation(BC). Total flavonoids content, total phenolics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nitrite-scavenging ability(NSA), S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순수인공재배인 병재배 잎새버섯과 야생재배에 가까운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항산화등의 생리활성을 비교.분석하여 재배방법에 따른 기능성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잎새버섯에서 병재배와 원목재배에 따른 생리활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 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Xanthine oxidase 저해 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순수인공재배인 병재배 잎새버섯과 야생재배에 가까운 원목재배 잎새버섯의 항산화등의 생리활성을 비교.분석하여 재배방법에 따른 기능성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Wasser와 Weis (1999)는 버섯에 어떤 효능이 잇다고 보고하였는가? 버섯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식, 의학 가치가 매우 높은 식재료이다. Wasser와 Weis (1999)는 버섯에는 항균, 면역조절, 혈압조절, 생식력증진, 항산화 등 15가지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잎새버섯 인공재배 기술의 방법은 무엇인가? , 2013). 잎새버섯 인공재배 방법에는 병재배외에 참나무 원목에 균을 접종시켜 1차 배양 후 이를 땅에 묻어 버섯을 발생시키는 원목재배방법이 있다. 원목재배는 1차 배양 후의 재배 및 버섯 발생 조건은 야생버섯의 조건과 유사하다.
버섯의 영양학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버섯은 단백질, 무기질,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성분과 생리활성물질들을 함유하고 있어 식, 의학 가치가 매우 높은 식재료이다. Wasser와 Weis (1999)는 버섯에는 항균, 면역조절, 혈압조절, 생식력증진, 항산화 등 15가지의 생리활성을 강화시키는 기능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5: 21-22. 

  2. Aoshima H, Tsunoue H, Koda H and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3. Bartsh H, Ohshima H, Pignatell B. Inhibition of endogenous nitrosation. 1988. Mechanism and implications in human cancer prevention. Mut Res 202: 307-324 

  4.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5. Choi YM, Kim MH, Shi JJ, Park JM, Lee JS. 2003. The antioxidant activit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6. Gray JI, Dugan Jr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981-984. 

  7. Hertong MGL, Hollman PCH, Katan MB. 1992. Content of potentially anticarinogenic flavonoids of 28 vegetables and 9 fruits commonly consumed in the Netherlands. J. Agirc Food Chem 40: 2379-2383 

  8. Hong MH, Jin YJ, Pyo YH. 2012. Antioxidant properties and ubiquinon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several commercial mushroom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9): 1235-1241 

  9. Jung HM, Seo SJ, Kim JB, Kim NW, Joo EY. 2011. The Study of Physiological Activities from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Extrac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7(4): 359-366 

  10.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1.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eyas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n 51: 1333-1338. 

  12. Kim HK, Kim YE, Do JR, Lee YC and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nol 27: 80-85 

  13. Kim JH, Cha YJ, Shin MJ, Lee MW, Lee TS. 2011.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 from fruiting body of Grifola frondosa. Kor. J. Mycol 39: 68-77 

  14. Kim JH, Yoo KH, Kim YS, Seok SJ. 2012. Detecti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wild mushroom methanol extract. Kor. J. Mycol 48: 296-298 

  15. Kim JO, jUNG MJ, Choi HJ, Lee JT, Lim AK, Hong JH, Kim DI. 2008.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 from phellinus linte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684-690 

  16. Kitani K, Minami C, Amamoto T, Kanai S, Ivy GO and Carrillo MC. 2002.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aging and ageassociated disorders potentials of propargylamines for human use. Ann. N. Y. Acad. Sci 959: 295-307 

  17. Kodama N, Marut Y, Asakawa A, Inui A, Hayashi M, Sakai N, Nanba H. 2005. Maitake D-fraction enhances antitumor effects and reduces immunosupression by mitomycin-C in tupor-bearing mice. Nutrition 21: 624-629 

  18. Kong WS, Kim SH, park JS, Hahn SJ, Chung IM. 2004. Evaluation and selecti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80 collected and mated mushroom strains. Food Sci Bitechnol 13: 689-693 

  19. Lee SJ, Kim EK, Oh HJ, Kwon HJ, Hwang JW, Moon SH, Jeon BT, Park PJ, Lim BO. 201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stress in neuronal cells of enzymatic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Medical Crop Sci 19: 77-82 

  20. Lee SY, Lee CY, Park YC, Kim JB. 2007. Effect of Hambag mushroom(Grifola frondosa) on oxidative stress in diabetic rats. J. Life Sci 17: 1571-1575 

  21. Lee JH, Lee NG, Park YH, Mun YG, Jeong TS, Kwon SB, Kim JR, Yoo YB. 2013. Development of log cultivation techigues of the maitake Grifola frondosa. J. Mushroom Sci. Prod 11: 240-243 

  22. Lee JT, Ann BJ. 2002.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 J Herbology 17: 61-69 

  23.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epista nuda. J.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09-1314 

  24. Lee YS, Park DC, Joo EY, Shin SR, K NW. 2005.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 nud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42-947 

  25. Mau JL, Lin HC, Song SF. 2002. Antioxidant properties of weveral specialty mushrooms. Food. Res. Intl. 35: 519-526 

  26. Marklund S and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7. Mitsuda H, Yasumoto K and Jwami K. 1966. Antioxidantive action of indol compounds during the antioxidation of linoleic acid. Eiyo. Toshokuro 19: 210-214 

  28.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9. Park KJ, Oh YJ, Lee SY, Kim HS, Ha HC. 2007. Antidiabetic Effect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Grifola frondosa in KK-A Diabetic Mouse and 3T3-L1 Adipocyt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 330-335 

  30. Pryor WA. 1986. Oxy-radicals and related species: their formation, lifetimes, and reactions. Annu Rev Physiol 48: 657-667 

  31. Shen Q, Royse DJ. 2002. Effects of genotypes of maitake(Grifola frondosa) on biological efficiency, quality and crop cycle time. Appl. Microbiol. Biotechnol. 58: 178-182. 

  32. Stirpe F and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33. Storch I, Ferber E. 1988.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mino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34. TaLPUR NA, Echard BW, Fan AY, Jaffari O, Bagchi D, Preuss HG. 2002. Antihypertensive and metabolice effects of whole maitake mushroom powedr and its fraction in two rat strains. Mol. Cell Biochem 237: 129-136 

  35. Wu MJ, Cheng TL, Cheng SY, Lian TW, Wang L, Chiou SY. 2006. Immunomoddulatory properties of Grifola frondosa in submerged culture. J. Agric. Food Chem 54: 2906-2014 

  36. Wasser SP, Weis AL. 1999. Medical properties of substances occurring in the higher basidiomycete mushroom current perspectives(Review). International J. of medical mushrooms 1: 31-62 

  37. Yoshizawa A, Kanbara T,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 517-519. 

  38. Yoon KY, Lee SH, Shin SR. 2006.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J.Korean Soc Food Sci Nutr 35: 967-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