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lls proliferate via repeating process that growth and division. This process is G1, S, G2 and M four phases consists. Monitoring the progression of the cell cycle is a specific step that to be a continuous process is repeated to adjust the start of the next step. At this time, this process is ca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선행연구에서는 인체혈구암세포 U937 cell에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고 cell cycle arrest가 유도됨이 보고되었다 [10].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AAE에 의한 세포증식억제효과가 cell cycle arrest에 의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Flow cytometric을 실시하였다. Hep 3B cell에 AAE를 농도별 (40, 60, 80 µg/mL)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40 µg/mL의 propidium iodide (PI)과 200 µg/mL의 RNase A로 염색한 다음 DNA content를 측정 하였다.
  • 개똥쑥은 여러 신호경로를 통하여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항암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3,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p3B 간암세포에 AAE (개똥쑥추출물)를 처리했을 때 cell cycle arrest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MTT assay를 통한 세포생존율 측정에서 AAE를 농도별과 시간별로 처리했을 때 Hep3B 간암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Hep3B 간암세포에 개똥쑥 추출물 (AAE)을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 증식 억제가 cell cycle arrest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AAE의 증가에 따른 Cell cycle 관련 protein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고, Checkpoint를 조절하는 상위조절인자인 p-Akt, p53 신호분자 조절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Y294002와 Pifithrin-á를 각각 단독으로 처리하거나 AAE (개똥 쑥 추출물)과 병행 처리하였다.
  • 따라서 Hep3B 간암세포의 증식억제가 AAE의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wound healing assay를 통하여 AAE이 세포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Hep3B cell을 배양한 6 well plate에 scratch를 낸 후 AAE를 12시간 동안 농도별 (40, 60, 80 µg/ mL)로 처리하여 wound healing area를 측정하였다.
  • 선행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진 개똥쑥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인체자궁경부상피암세포 (HeLa)와 위암 세포 (AGS)에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3,4]. 본 연구에서는 Hep3B 간암세포에 AAE를 처리하였을 때 암세포의 증식억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AAE가 Hep3B 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AAE를 농도별 (10, 20, 40, 60, 80, 100 µg/mL)로 처리한 뒤 MTT assay를 통하여 암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똥쑥의 효능으로 어떤 것들이 알려져 있는가? 최근 연구에 따르면 개똥쑥 (Artemisia annua Linné)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열대아시아에 분포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길가나 들판에 무리지어 야생하고있다. 한방에서는 주로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나 살충제로 사용되며, 그외 항균, 항바이러스 및 망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3,4]. 개똥쑥의 주요 성분으로는 arteannuin, arteannuin B, scopoletin, coumarin 및 eupatin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항암 및 항균 작용과 관계가 깊어 이들의 화학적 구조를 밝혀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5,6].
일반적으로 간암이라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간암은 원발성 간암과 전이성 간암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모두 간암이라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원발성 간암을 말한다. 간암은 전 세계적으로 자주 발병되는 암 중의 하나로 암 사망원인 3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인구 10만명 당 남녀 26.
개똥쑥의 주요성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한방에서는 주로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나 살충제로 사용되며, 그외 항균, 항바이러스 및 망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3,4]. 개똥쑥의 주요 성분으로는 arteannuin, arteannuin B, scopoletin, coumarin 및 eupatin 등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항암 및 항균 작용과 관계가 깊어 이들의 화학적 구조를 밝혀내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ontalto, G., M. Cervello, L. Giannitrapani, F. Dantona, A. Terranova, and L. A. M. Castagnetta (2002) Epidemiology, risk factors, and natural history of hepatocellular carcinoma. Ann. NY Acad. Sci. 963: 13-20. 

  2. Yun, H. J., S. G. Hwang, H. J. Yun, C. H. Kim, G. S. Seo, W. H. Park, and S. D. Park (2006) Anticancer effect of Rheum Rhizoma on human liver cancer HepG2 cells. Korea J. Herbol. 4: 27-36. 

  3. Ryu, J. H., S. J. Lee, M. J. Kim, J. H. Shin, S. K. Kang, K. M. Cho, and A. J. Sung (2011)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Artemisia annua L. and determination of functional compounds. J. Korea Soc. Food Sci. Nutr. 40: 509-516. 

  4. Romero, M. R., M. A. Serrano, M .Vallejo, T. Efferth, M. Alvarez, and J. J. Marin (2006) Antiviral effect of artemisinin from Artemisia annua against a model member of the Flaviviridae family, the bovine viral diarrhoea virus (BVDV). Planta Med. 72: 1169-1174. 

  5. Schmid, G., and W. Hofheinz (1983) Total synthesis of qinghaosu. J. Am. Chem. Soc. 105: 624-625. 

  6. Avery, M. A., W. K. M. Chong, and White C. Jennings (1992) Stereoselective total synthesis of (dextro)-artemisinin, the antimalarial constituent of Artemisia annua L. J. Am. Chem. Soc. 114: 974-979. 

  7. Park, M. T. and S. J. Lee (2003) Cell cycle and cancer. J. Biochem. Mol. Biol. 36: 60-65. 

  8. Novak, B., J. C. Sible, and J. J. Tyson (2003) Checkpoints in the Cell Cycle,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DOI:10.1038/npg.els.0 001355 

  9. Lee, M. H. and H. Y. Yang (2003) Regulators of G1 cyclin-dependent kinases and cancers. Cancer Metastasis Rev. 22: 435-449. 

  10. Kang, M. S., S. M. Ju, B. J. Jeon, H. M. Yang, W. S. Kim, and B. H. Jeon (2011) Nardostachys chinensis induces G0/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U937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5: 189-194. 

  11. Giono, L. E. and J. J. Manfredi (2007) Mdm2 is required for inhibition of Cdk2 activity by p21, thereby contributing to p53-dependent cell cycle arrest. Mol. Celluar Biol. 11: 4166-4178. 

  12. Yoko, O., K. Shohei, O. Toshiyuki, I. Yuko, S. Toshiaki, T. Keiji, M. Norihisa, and G. Yukiko (2002) Akt enhances Mdm2-mediated Ubiquitination and Degradation of p53. J. Biol. Chem. 24: 21843- 21850. 

  13. Arnold, J. (1997) p53, the cellular gatekeeper for growth and division. Cell 88: 323-331. 

  14. Moll, U. M. and O. Petrenko (2003) The MDM2-p53 Interaction. Mol. Cancer Res. 1: 1001-1008. 

  15. Lee, J. H., W. Y. Choi 1, Y. H. Choi 2 and B. T. Choi (2009) Cell cycle arrest by treatment of D-Ala2-Leu5-enkephalin in human Leukemia cancer U937 cell. J. Life Sci. 5: 620-624. 

  16. Arnold, J., F. Zhaohui, W. M. Tak (2014) Coordin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p53 IGF-1-Akt-TOR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9. 

  17. Mirela, F., S. Chintda, E. Carol, and D. Oliver (2012) Effect of OI 3K/Akt pathway inhibition-mediated G1 arrest on chemosensitization in ovarian cancer cells. Anticancer Res. 32: 445-452. 

  18. Donnellan, R. and R. Chetty (1999) Cyclin E in human cancers. FASEB J. 13: 773-780. 

  19. Pan, M. H., W. H. Chen, S. Y. Shiau, C. T. Ho, and J. K. Lin (2002) Tangeretin induces cell-cycle G1 arrest through inhibiting cyclindependent kinases 2 and 4 activities as well as elevating Cdk inhibitors p21 and p27 in human colorectal carcinoma cells. Carcinogenesis 10: 1677-16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