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치문(齒門)』의 외치법(外治法)에 관한 연구(硏究)
A Literatual Study of External Treatment from Hyangyakjipsungbang·Tooth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8 no.4, 2015년, pp.65 - 77  

김용진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literature study about dental external treatments from Hyangyakjibsungbang Tooth will invigorate applying the therapeutics in the field of Dentistry. Methods : In this study, the parts related to external treatment in the original text of Hyangyakjibsungbang Tooth were reviewed.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연구에서는 『鄕藥集成方‧齒門』에 收錄된 牙齒疼痛, 齒齲, 牙齒蚛孔有蟲, 齒䘌, 牙齒風疳, 牙齒歷蠹, 齒黃黑, 牙齒動搖, 牙齒挺出, 齒齗腫痛, 齗間血出, 牙齒脫落牢牙, 牙齒不生, 齘齒, 齒齗宣露, 揩齒의16종류에 疾病에 나타난 處方을 分析하여 外治療法에 해당하는 含漱, 口咬, 嚼, 納孔, 點鼻, 熨, 附, 熏蒸, 塞, 擦牙, 揩, 細嚼, 漬, 叩齒, 搐鼻, 搽, 塗, 貼, 烙, 摻, 按, 封齒 등 22종류의 처치방법의 활용빈도와 특징 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향약집성방 이후에 향약이란 서명을 갖는 의서가 없는 이유는? 특히 『향약집성방』에서는 조선의 향재로 동아시아 의료의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는 것을 지향함으로써 기존의 향약 의서와는 구분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이처럼 조선에서 자신만의 지역성을 더욱 자각하게 되면서 조선 의료는 이제 ‘東醫’라고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조선 의료가 동의로 상징되자 ‘鄕藥’이란 표현은 더이상 쓸 필요가 없어졌다. 『향약집성방』 이후에 ‘향약’이란 서명을 갖는 의서가 없는 이유였다.
외치요법이란? 외치요법은 내치요법의 상대되는 개념2)으로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한의외치요법학회를 중심으로 개인이나 대학 등 여러 연구 단체에서 연구되고 있다3). 五十二病方, 養生方, 雜療方, 胎産書 등 醫書에서는 外科疾患과 皮膚疾患에 대한 處方이 가장 많았고, 內科疾患이 그 다음 순 이었다.
조선 의학자들은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 조선만의 의료체계를 독자적으로 구성하였는가? 그러므로 이경록은 “조선 초기의 의료는 중국 의료를 자발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조선 의학자들은 향약 처방과 향약 본초가 중국 의료와 다르다는 점을 분명히인식하면서도 고유 의술의 효용성을 인정하여 조선만의 의료체계를 독자적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향약집성방』에서는 조선의 향재로 동아시아 의료의 모든 질병을 치료한다는 것을 지향함으로써 기존의 향약 의서와는 구분되는 단계에 들어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신광호. 한의외치요법학. 서울, 대성의학사, 2000. Shin KH, Korean Medical External Therapeutics. Seoul. Daesungeuihaksa. 2000. 

  2. 이경록. 鄕藥에서 東醫로 : 향약집성방의 의학이론과 고유 의술. 역사학보. 2011. 제212집. Lee KL. From Hyangyak to Dongui : The Medical Theory of the Hyangyakjipseongbang and Korean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The Korean Historical Review. 2011. 212. 

  3. 박태열, 고우신. 馬王堆醫書, 黃帝內經, 金?要略에 나타난 中國 古代 外治療法.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2. 16(4). Park TY, Ko WS. The Early External Medical Treatment of China described in the Mawangtew medical books, the Hwangjenaekyeong and Geumgweyoyak.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2002. 16(4). 

  4. 송병기, 이경섭, 임은미. 姙娠惡阻의 외치법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회지. 1996. 17(1). Song BK, Lee KS, Lim EM, A study on the external treatment of hyperemesis gravidarum,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1996. 17(1). 

  5. 김건우 외 3인. 아토피 피부염 외치치료제 처방 개발을 위한 실험적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14. 29(4). Kim GW et al.. An experimental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prescription on atopic dermatitis, Kor. J. Herbology 2014. 2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