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리식염수 냉수 거즈와 일반 냉수 거즈의 수술 후 갈증, 구강상태, 타액 산성도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Effect between Wet Gauze with Cold Normal Saline and Wet Gauze with Cold Water on Postoperative Thirst, Oral Cavity Condition, and Saliva pH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4, 2015년, pp.398 - 405  

문양희 (부산대학교병원 간호부) ,  이연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effect between wet gauze with cold normal saline and wet gauze with cold water on thirst, oral cavity condition, and saliva pH among postoperative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56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group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결과가 일관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여 전신마취 하에서 수술받은 환자에게 찬 생리식염수에 적신 거즈(생리식염수 냉수 거즈)와 냉수에 적신 거즈(일반 냉수 거즈)로 구강간호를 실시하고, 수술 후 갈증, 구강상태, 그리고 타액 산성도(pH)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생리식염수 냉수 거즈와 일반 냉수 거즈 제공이 전신마취 하에 정형외과 수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후 갈증, 구강상태 및 타액 산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유사실험연구로, 중재의 확산을 막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로 진행하였다(Table 1).
  • 본 연구는 수술 환자가 수술 후 흔히 경험하는 갈증이나 구강건조 등을 개선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 생리식염수와 일반 정수에 적신 거즈 적용 효과를 규명하고, 일관성이 결여되었던 기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구기간에 차이를 둔 시차설계를 활용함으로써 두 군의 확산에 의한 비뚤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전신마취 하에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생리식염수 냉수 거즈(실험군)와 일반 냉수 거즈(대조군)를 이용하여 구강간호를 제공하였을 때 수술 후 갈증, 구강상태, 타액내 수소이온농도(pH)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았다.
  • 특히,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구기간에 차이를 둔 시차설계를 활용함으로써 두 군의 확산에 의한 비뚤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비록, 대상자를 다른 시점에 선정함에 따라 무작위배정을 하지 못한 것은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갈증이나 구강건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콜린성 약물 투여[2,3], 금식시간[4], 흡입마취제 유형 등을 선정기준으로 설정하여 가능한 동질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수술 환자가 수술 후 흔히 경험하는 갈증이나 구강건조 등을 개선하기 위한 비약물적 중재로 생리식염수와 일반 정수에 적신 거즈 적용 효과를 규명하고, 일관성이 결여되었던 기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실험군과 대조군의 연구기간에 차이를 둔 시차설계를 활용함으로써 두 군의 확산에 의한 비뚤림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비록, 대상자를 다른 시점에 선정함에 따라 무작위배정을 하지 못한 것은 연구의 제한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갈증이나 구강건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항콜린성 약물 투여[2,3], 금식시간[4], 흡입마취제 유형 등을 선정기준으로 설정하여 가능한 동질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가설 설정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갈증이 적을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구강상태가 좋을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타액 산성도(pH) 증가가 더 클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와 같이 생리식염수 냉수 거즈를 사용할 때 보다 생리식염수 냉동 거즈를 사용하는 경우 냉요법의 효과를 좀 더 크게 기대할 수 있고 일반 냉수 거즈와 비교한 구강상태 개선 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거즈 적용시간에 따른 차이이다. 본 연구와 생리식염수 냉동 거즈가 냉수 거즈에 비해 구강상태 개선효과가 우수한 연구[11]는 거즈 적용 시간이 10분인 반면, 반대되는 결과를 보인 연구[12]에서의 적용 시간은 13분이었다.
  • ∙ 가설 1.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갈증이 적을 것이다.
  •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구강상태가 좋을 것이다.
  •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른 타액 산성도(pH) 증가가 더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증 사정도구의 점수가 높은 것이 의미하는 것은? 갈증 사정도구는 시각적 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로 대상자가 현재 느끼는 갈증 정도를 0점(갈증 없음)에서 10점(아주 심하고 참을 수 없는 갈증) 중 자신에게 적합한 숫자를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점수가 클수록 갈증 정도가 심한 것을 의미한다.
갈증과 구강건조증은 무엇과 관련이 있나? 갈증과 구강건조증은 전신마취 수술을 받은 환자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불편감으로[1], 수술전 투여하는 항콜린성 약물, 수술전후 금식, 수술중 혈액이나 체액소실 등과 관련이 있다. 수술 전에 투여하는 항콜린성 약물은 타액선의 기능을 저하시켜 타액분비를 억제하고 10%이상의 구강건조 증가를 가져오며[2,3], 수술 전 금식은 수술 중 위 내용물의 역류로 인한 폐흡인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시행되는데 구강으로의 수분섭취가 제한되어 갈증은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4].
냉수가글링의 한계점은? 간호현장에서는 수술 환자가 경험하는 갈증이나 구강건조증으로 인한 불편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중재로 냉수 가글링 또는 냉수에 적신 거즈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러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술후 갈증이나 구강상태를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8-10]. 특히, 냉수가글링은 냉수에 적신 거즈에 비해 갈증이나 구강상태 개선 효과가 더 우수하지만[8-10] 환자의 의식이나 구토반사 등이 회복되기 전에는 기도흡인의 위험이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 따라서 수술직후 즉각적으로 중재를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 냉수에 적신 거즈가 더 선호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uppe M, Kemter A, Schmidtke C, Klotz KF. Postoperative complaints: Gender differences in expectations, prevalence and appraisal. Anaesthesist. 2013;62(7):528-536. http://dx.doi.org/10.1007/s00101-013-2182-x 

  2. Guggenheimer J, Moore PA. Xerostomia: Etiology, recognition and treatment.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2003;134(1):61-69.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2003.0018 

  3. Pai S, Ghezzi EM, Ship JA. Development of a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 for subjective assessment of salivary dysfunction. Oral Surgery, Oral Medicine, Oral Pathology, Oral Radiology, and Endodontology. 2001;91(3):311-316. http://dx.doi.org/10.1067/moe.2001.111551 

  4. Brown L, Heuberger R. Nothing by mouth at midnight: Saving or starving? A literature review. Gastroenterology Nursing. 2014;37(1):14-23. http://dx.doi.org/10.1097/SGA.0000000000000018 

  5. Arai S, Stotts N, Puntillo K. Thirst in critically ill patients: From physiology to sensation.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3;22(4):328-335. http://dx.doi.org/10.4037/ajcc2013533 

  6. Wolff MS, Kleinberge I. The effect of ammonium glycopyrrolate ( $Rubinol^{(R)}$ )-induced xerostomia on oral mucosal wetness and flow of gingival crevicular fluid in humans. Archives of Oral Biology. 1999;44(2):97-102. http://dx.doi.org/10.1016/S0003-9969(98)00113-7 

  7. Humphrey SP, Williamson RT. A review of saliva: Normal composition, flow, and function. Journal of Prosthetic Dentistry. 2001;85(2):162-169. http://dx.doi.org/10.1067/mpr.2001.113778 

  8. Lee IS, Shim MS, Na EH, Kang JY, Kim JH, Hwang MY, et al. The comparison of thirst care intervention between the wet gauze and the cold water gargling to the nasal surgery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1(2):21-33. 

  9. Hur YS, Shin KA, Lee WJ, Lee JO, Im HJ, Kim YM. The comparison of moisturizing effect of cold water gargling, wet gauze application and humidification in reducing thirst and mouth dryness after nasal surger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43-53. 

  10. Yoon SY, Min HS. The effects of cold water gargling on thirst, oral cavity condition, and sore throat in orthopedics surgery patients.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1;14(2):136-144. 

  11. Cho EA, Kim KH, Park JY. Effects of frozen gauze with normal saline and ice on thirst and oral condition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atients: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5):714-723.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714 

  12. Kim MY, Doo MJ, Kang SK, Lim YH, Kim HM, Kim MK, et al. Postoperative patients' thirst and oral status by three oral care method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2;18(3):403-412. http://dx.doi.org/10.5977/jkasne.2012.18.3.403 

  13. Cawley MM, Benson LM. Current trends in managing oral mucositis. Clinical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5;9(5):584-592. http://dx.doi.org/10.1188/05.CJON.584-592 

  14. Ogata J, Minami K, Horishita T, Shiraishi M, Okamoto T, Terada T, et al. Gargling with sodium azulene sulfonate reduces the postoperative sore throat after intubation of the trachea. Anesthesia and Analgesia. 2005;101(1):290-293. http://dx.doi.org/10.1213/01.ANE.0000156565.60082.7C 

  15. Jung YY. Reliability testing of an oral assessment guide for patients receiving stomatoxic treatment. Seoul Journal of Nursing. 1996;10(1):45-51. 

  16. Svanberg A, Ohrn K, Brostrom H, Birgegard G. The effect of cryotherapy on oral mucosa: A study in healthy volunteers. Medical Oncology. 2012;29(5):3587-3591. http://dx.doi.org/10.1007/s12032-012-0230-z 

  17. Bardow A, Lynge Pederson AM, Nauntofte B. Saliva. In: Miles TS, Nauntofte B, Svensson P, editors. Clinical oral physiology. Quintessence: Copenhagen; 2004. p. 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