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0대 이상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조절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2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를 바탕으로
Factors Associated with Hemoglobin A1c among Patient Aged 40 years over with Diabetes Mellitus: 2012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4, 2015년, pp.433 - 441  

지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uncontrolled hemoglobin A1c among patient with diabetes mellitus. Method: The sample was 412 Koreans with diagnosed diabetes aged 40 years or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Fifth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ich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중 의사로부터 당뇨를 진단받았다고 응답한 대상자의 자료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가 조절되지 않는 영향 요인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 었다. 본 연구 대상자중 55%가 당화혈색소 조절이 되지 않고 있었으며, 다중로지스틱분석 결과, 당뇨진단기간, 고중성지방 혈증, 비타민D 수치, 수면시간이 조절되지 않는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40세 이상의 대상자의 당화혈색소 조절 상태와 이에 따른 일반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의 차이를 파악하고 조절되지 않는 당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에 참여한 만 40세 이상 당뇨병 유병자를 대상으로 당화혈색소가 조절되지 않는 관련요인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0세 이상 중년층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당화혈색소의 기준을 7%로 하였을 때, 55%가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제 5기 3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40세 이상 성인의 당화혈색소 조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 대상자중 55%가 당화혈색소 조절이 되지 않고 있었으며, 다중로지스틱분석 결과, 당뇨진단기간, 고중성지방 혈증, 비타민D 수치, 수면시간이 조절되지 않는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당뇨 유병률이 가장 많이 증가하고 있는 40세 이상 성인의 당화혈색소 조절상태와 조절되지 않는 영향요인을 전반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점,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비타민 D 수치와 국내에서는 거의 분석되지 않았던 수면시간을 분석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고중성지방혈증인 경우, 수면시간이 6-8시간 보다 긴 경우, 당뇨진단기간이 7년보다 긴 경우, 비타민 D의 수치가 정상보다 불충분할수록 조절되지 않는 당화혈색소의 오즈비를 높인다는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당뇨 관리에 있어서 효과적인 간호중재의 방안이 마련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당뇨 유병률은 어느정도인가? 4%로 20세 이상 성인 3억 8천 2백여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2035년까지 5억 9천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1], 전 세계적으로 국가적 부담이 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당뇨 유병률은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9.75%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당뇨 관리를 위하여 혈당 뿐 만 아니라 혈압과 지질을 지속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자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지만[3,4], 국내 당뇨병 환자의 27.
당화혈색소의 특징은? 최근 3개월간의 혈중 혈당 농도를 반영하는 당화혈색소는 장기간 동안 혈중 포도당 농도를 알기 위해 사용하는 혈색소의 한 형태로 당뇨환자에서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 당화혈색소의 수치가 증가하게 되므로, 당뇨환자의 혈당조절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당화혈색소를 측정하여 확인하고 있다[5].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연령, 당뇨병유병기간, 비만, 경제상태, 신체활동, 배우자유무, 당뇨치료약제의 종류, 계획식단 이행, 당뇨에 대한 부정적 태도, 다 약복용 여부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6-11], 또한 고중성지방혈증, 당뇨치료약제의 종류, 저HDL혈증, 수면시간, 경제상태, 우울경험, 자살생각 경험 유무, 적어도 30분의 신체활동 참여 여부, 자가혈당 모니터 관리에 따라서도 당뇨조절 여부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9,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uariguata L, Whiting DR, Hambleton I, Beagley J, Linnenkamp U, Shaw JE. Global estimates of diabetes prevalence for 2013 and projections for 2035.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14;103(2):137-149. http://dx.doi.org/10.1016/j.diabres.2013.11.002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tatistics of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 2013 [internet]. Sej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5 march 2]. Available from: https://khanedcdc.go.kr/knhanes. 

  3.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1. Diabetes Care, 2011;34: S11-S61. http://esc.qu.edu.qa/pharmacy/professional_development/documents/ADA_2011_DM_guidelines.pdf 

  4. Korea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2013 [internet]. Seoul: Korea Diabetes Association; 2014 [cited 2015 April 2]. Available from: http://www.diabetes.or.kr/temp/DiabetesFact%20sheet2012_en.pdf. 

  5.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9;32(7):1327-1334. http://dx.doi.org/10.2337/dc09-9033 

  6. Boo SJ.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4):406-416. http://dx.doi.org/10.7475/kjan.2012.24.4.406 

  7. Choi EJ.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3):298-307. 

  8. Pyo EY, Jung MH, Kim YS. Factors related to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12;29(3):15-22. 

  9. Khattab M, Khader YS, Al-Khawaldeh A, Ajlouni K.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013;24(2):84-89. http://dx.doi.org/10.1016/j.jdiacomp.2008.12.008 

  10. Juarez DT, Sentel T, Tokumaru S, Goo R, Davis JW, Mau MM.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or wide glycemic variability among diabetes patients in Hawaii, 2006-2009. Preventing Chronic Disease. 2012;9:120065. http://dx.doi.org/10.5888/pcd9.120065 

  11. Kang HY, Gu MO.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diabetes-related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2):168-178. 

  12. Kim KH, Kim JS, Lee EK. Diabetes-related characteristics in men with diabetes for the glucose control group and noncontrol group.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2):152-159. 

  13. Huang Y, Li X, Wang M, Ning H, A L, Li Y, et al. Lipoprotein lipase links vitamin D,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A cross-sectional epidemiological study. Cardiovascular Diabetology. 2013;12:17. http://dx.doi.org/10.1186/1475-2840-12-17 

  14. Bajaj A, Stone KL, Peters K, Parimi N, Barrett-Connor E, Bauer D, et al. Circulating vitamin D, supplement use,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The MrOS sleep study.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014;99(9):3256-3262. http://dx.doi.org/10.1210/jc.2013-4178 

  15. Ryu OH, Lee S, Yu J, Choi MG, Yoo HJ, Mantero F.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long-term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es mellitus of Korea. Endocrine Journal. 2014;61(2):167-176. http://doi.org/10.1507/endocrj.EJ13-0356 

  16. Ohkuma T, Fujii H, Iwase M, Kikuchi Y, Ogata S, Idewaki Y, et al. Impact of sleep duration on obesity and the glycemic leve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The Fukuoka diabetes registry. Diabetes Care. 2013;36(3):611-617. http://dx.doi.org/10.2337/dc12-0904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using raw data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third survey of the fifth phase (KNHANES V-3)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4 August 3].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18. Kim JS, Oh MK, Park BK, Lee MK, Kim GJ. Screening criteria of alcoholism by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1999;20(9):1152-1159. 

  19. Ahmadieh H, Azar ST, Lakkis N, Arabi A. Hypovitaminosis D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elation to disease control and complications.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otices Endocrinology. 2013;2013:641098. http://dx.doi.org/10.1155/2013/641098 

  20. Ainsworth BE, Haskell WL, Whitt MC, Irwin M.L, Swartz AM, Strath SJ, et al. Compendium of physical activities: An update of activity codes and MET intensities.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2000;32(9 Suppl):498-516. http://dx.doi.org/10.1097/00005768-200009001-00009 

  21. Smith BT, Lynch JW, Fox CS, Harper S, Abrahamowicz M, Almeida ND, et al. Life-course socioeconomic posit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1;173(4):438-447. http://doi.org/10.1093/aje/kwq379 

  22. Sacerdote C, Ricceri F, Rolandsson O, Baldi I, Chirlaque MD, Feskens E. Lower educational level is a predictor of incident type 2 diabetes in European countries: The EPIC-InterAc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2012;41(4):1162-1173. http://doi.org/10.1093/ije/dys091 

  23. Tentolouris N, Andrianakos A, Karanikolas G, Karamitsos D, Trontzas P, Krachtis P, et al. Type 2 diabetes mellitus is associated with obesity, smoking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 large and representative samples of rural, urban, and suburban adult Greek populations. Hormones. 2012;11(4): 458-467. http://www.hormones.gr/pdf/HORMONES-458-467.pdf 

  24. Kim SR, Han K, Choi JY, Ersek J, Liu J, Jo SJ, et al. Age-and sex-specific relationships between household income, education, and diabetes mellitus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5; 10(1):e0117034.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17034 

  25. Ahmad NS, Islahudin F, Paraidathathu T. Factors associated with good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Diabetes Investigation. 2014;5(5):563-569. http://dx.doi.org/10.1111/jdi.12175 

  26. Kim MK, Park J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Korean Medicine Association. 2012;55(10):1005-1013. http://dx.doi.org/10.5124/jkma.2012.55.10.1005 

  27. Bjornstad P, Maahs DM, Wadwa RP, Pyle L, Rewers M, Eckel RH, et al. Plasma triglycerides predict incident albuminuria and progression of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adults with type 1 diabetes: The coronary artery calcification in type 1 diabetes study. Journal of Clinical Lipidology. 2014;8(6):576-583. http://dx.doi.org/10.1016/j.jacl.2014.08.008 

  28. Harinarayan CV. Vitamin D and diabetes mellitus. Hormones. 2014;13(2):163-181. http://www.hormones.gr/pdf/Hormones_2014-2_163.pdf 

  29. Rhee SY, Hwang YC, Chung HY, Woo JT. Vitamin D and diabetes in Koreans: Analyses based o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09. Diabetic Medicine. 2012;29(8):1003-1010. http://dx.doi.org/10.1111/j.1464-5491.2012.03575.x 

  30. Boren SA, Fitzner KA, Panhalkar PS, Specker JE. Costs and benefits associated with diabetes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Diabetes Education. 2009;35(1):72-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