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교육경험이 제2형 당뇨환자의 지식, 자가간호행위,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in Type 2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0 no.1, 2014년, pp.81 - 92  

문승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함옥경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수현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 of diabetes education on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glycosylated hemoglobin (HbA1C). Further, this study was held to examine about patient's preferred methods of education and re-education frequency. Methods: 166 type 2 diabet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당뇨환자에게 교육을 제공하여 지식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당뇨환자가 선호하는 교육 방법, 내용의 확인과 더불어 재교육의 필요 주기를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선호하는 교육 주제와 방법, 빈도와 더불어 당뇨 교육 경험이 당뇨 환자의 지식, 자가간호 행위와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당뇨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추후 당뇨교육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중재 개발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당뇨 환자에게 적절한 교육의 방법과 빈도를 확인하고 당뇨교육이 당뇨 관련 지식, 자가간호 행위와 당화혈색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당뇨 환자에게 제공되었던 당뇨 교육이 당뇨 관리에 대한 지식과 자가간호행위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고, 교육관련 빈도와 방법 등을 조사하여 추후 당뇨교육을 계획함에 있어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 고자 진행되었던 연구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당뇨병 혈당조절을 위하여 당뇨 환자에게 제공되는 당뇨교육 경험이 당뇨환자의 지식, 자가간호행위,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당뇨 대상자가 알고 싶어 하는 교육 주제와 선호하는 교육방법, 빈도를 확인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당뇨교육을 진행함에 있어 당뇨 환자의 자가간호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당뇨교육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 환자의 자가간호 증진을 위한 당뇨 교육의 영향과 당뇨 환자들의 교육 선호를 조사하여 평생 지속적, 장기적으로 관리해야하는 당뇨 환자들에게 적절한 당뇨 교육이 제공될 수 있도록 당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 2011).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가 다니는 병원의 임상 검사 실에서 가장 최근에 측정된 당화혈색소 측정치를 의무기록에서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교육의 방법은 어떻게 제공되고 있는가? 그리고 당뇨 환자에게 제공되었던 당뇨교육의 방법으로는 대부분 강의 형태의 교육으로 제공되고 있고(Lee et al., 2012), 전화상담 프로그램(Yang, 2003), 인터넷 당뇨교육(Kim, 2006), 문제해결식 간호 상담(Lee, Park, Park & Kim, 2005), 스트레스 중재를 포함한 포괄적인 생활 습관 개선 프로그램 (Yoo, Kim & Lee, 2006), 개별실습을 강화한 당뇨병 교육 (Kim, Kim & Ahn, 2006) 등의 다양한 방법들로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재들은 대상자가 선호하는 교육방법, 적절한 빈도 등 대상자의 교육에 대한 개인적 요구에 기초하기 보다는 연구자에 의해 계획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었다.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중요한 점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혈당조절을 위한 꾸준한 약물치료와 함께 환자 자신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미국 당뇨 교육자 연합회(American Association of Diabetes Educators, 2010)에서는 건강한 식이, 신체활동, 혈당 감시, 투약, 혈당조절과 관련된 문제해결, 당뇨 합병증에 대한 위험요인 감소, 건강한 적응과 같은 7가지 행동을 당뇨병 환자가 자가 관리를 위해 지켜야 할 행위로 제시하였다.
미국 당뇨 교육자 연합회에서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제시한 것은 무엇인가? 당뇨병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혈당조절을 위한 꾸준한 약물치료와 함께 환자 자신의 지속적이고 규칙적인 관리가 중요하다. 미국 당뇨 교육자 연합회(American Association of Diabetes Educators, 2010)에서는 건강한 식이, 신체활동, 혈당 감시, 투약, 혈당조절과 관련된 문제해결, 당뇨 합병증에 대한 위험요인 감소, 건강한 적응과 같은 7가지 행동을 당뇨병 환자가 자가 관리를 위해 지켜야 할 행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당뇨 자가 관리 행위를 효과적으로 지속하기 위해서는 당뇨 관리와 관련된 기본적인 지식 제공을 위한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하였다(Has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ssociation of Diabetes Educators (2010). AADE7TM self-care behaviors handouts, Retrieved May 19, 2012, from the Diabetes Educators web site: http://www.diabeteseducator.org/DiabetesEducation/Patient_Resources/AADE7_PatientHandouts.html 

  2. Chin, Y. R., So, E. S., & Lee, H. Y. (2011). A meta-analysis of Korean diabetes patient studies from 1977 to 2008.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5(1), 5-16. 

  3. Choi, E. O. (1999). Effects of empowerm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type 2 diabetics on the empowerment, self-care behavior and the glycemic contr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4. Choi, K. I., & Jung, D. Y.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diabetes, barrier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of diabetic patients. Nursing Science, 22(2), 13-26. 

  5. Choi, S. Y., & Song, M. S. (2010). Behavior change theories in diabetes self-management: A conceptual review.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7(1), 1-9. 

  6. Ellis, E. S., Speroff, T., Dittus, R. S., Brown, A., Pichert, J. W., & Elasy, T. A. (2004). Diabetes patient education: a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2, 97-105. 

  7. Haas, L., Maryniuk, M., Beck, J., Cox, C. E., Duker, P., Edwards, L., Fisher, E., Hanson, L., Kent. D., Kolb, L., McLaughlin, S., Orzeck, E., Piette, J. D., Rhinehart, A. S., Rothman, R., Sklaroff, S., Tomky, D., & Youssef, G. (2012). National standards for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and support. The Diabetes Educator, 38, 619-629. 

  8. Kang, H. Y. & Gu, M. O. (2010). Comparative study on self-Care behavior, diabetes-related stress, and stress coping among good, inadequate, and poor glycemic control group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 166-176. 

  9. Karakurt, P. & Kasikci, M. K. (2012). The effect of education given to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on self-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8, 170-179. 

  10. Kim, H. J., Kim, H. S., & Ahn, S. H. (2006). Effects of diabetic education fortified with individual practice on plasma glucose, self-care, and self reported physical symptom in type 2 diabet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2), 194-201. 

  11. Kim, H. S. (2006). Effects of internet diabetic education on glycosylated hemoglobin and self-care in Type 2 diabetic patients over one year.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3(3), 376-381. 

  12. Kim, S. H., Na M. J., Hong, S. R., Kim, J. N., & Yu, E. J. (2006). Influences of diabetes education upon patients' knowledge of diabetes and compliance with appropriate sick-role behavior.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10, 41-48. 

  13. Kim, S-H. & Kang, H. S.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elf-care activity and HbA1C in cl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Korean Academic Fundamentals of Nursing, 15(2), 178-185. 

  14. Kim. J. H. & Chang, S. A. (2009).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3(6), 518-525. 

  15. Lee, H. J., Park, K. Y., Park, H. S., & Kim, I. J. (2005). The effects of problem solving nursing counseling and intensified walking exercise on diabetic self-care, coping strategies, and glycemic control among clients with DM type I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7). 1314-1324. 

  16. Lee, M. H. & Kim, Y. Y. (2003).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on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and self effectiveness of diabetic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10(1), 15-24. 

  17. Lee, Y. R., Kang, M. A., & Kim, P. G. (2008). The effects of an admission-educa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self-care and glucose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4(1), 12-19. 

  18. Lee, Y. W., Kim, S. H., Kim, J. A., Shin, G. Y., An, H. J., Lee, E. J., Lim, K, C., Jung, S. E., Chae, Y. R., & Han, S. J. (2011).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Jungdammedia. 

  19. Lee, J. H., Jeon, H. J., KIm, K. A., Nam, H. W., Woo, J. T., & Ahn, K. J. (2012). Diabetes education recogni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Diabetes, 13(4), 219-223. 

  20. Lim, S., Kim, D. J., Jeong, I. K., Son, H. S., Chung, C. H., Koh, G., Lee, D. H., Won, K. C., Park, J. H., Park, T. S., Ahn, J., Kim, J., Park, K. G., Ko, S. H., Ahn, Y. B., & Lee, I. (2009). Original a nationwide survey about the current status of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in diabetic patients in 2006-The committee of the Korean diabetes association on the epidemiology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33(1), 48-57. 

  21. Norris, S. L., Engelgau, M. M., & Narayan, K. M. (2001). Effectiveness of self-management training in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Diabetes Care, 24, 561-587. 

  22. Park, S. W., Kim, D. J., Min, K. W., Baik, S. H., Choi, K. M., Park. I. B., Park, J. H., Son, H. S., Ahn, C. W., Oh, J. Y., Lee, J., Chung, C. H., Kim, J., & Kim, H. (2007) Current status of diabetes management in Korea us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1(4), 362-367. 

  23. Pimouguet, C., Le Goff, M., Thiebaut, R., Dartigues, J. F., & Helmer, C. (2011). Effectiveness of disease-management programs for improving diabetes care: a meta-analysi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183, E115-E127. 

  24. Shim, W. S., Hong, S. B., Choi, Y. S., Choi, Y. J., Ahn. S. H., Min, K. Y., Kim, E. J., Park, I. B., Nam, M., & Kim, Y. S. (2006). Development of two parallel diabetes knowledge tests.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30(6), 476-486. 

  25. Song, M. S., Song, K. H., Ko, S. H., Ahn, Y. B., Kim, J. S., Shin, J. H., Cho, Y. K., Yoon, K. H., Cha, B. Y., Son, H. Y., & Lee, D. H. (2005). The long-term effect of a structured diabetes education program for uncontrolled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a 4-year follow-up. Diabetes & Metabolism Journal, 29(2), 140-150. 

  26. Song, M. R., Kim, M. J., Lee, M. E., Lee, I. B., & Shu, M. R. (1999).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3), 563-575. 

  27. Steinsbekk, A., Rygg, L. O., Lisulo, M., Rise, M. B., & Fretheim, A. (2012). Group based diabetes self-management education compared to routine treatment for people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2, 213-222. 

  28. Tang, T. S., Brown, M. B., Funnel, M. M., & Anderson, R. M.(2008).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and self-care behaviors among african american with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34, 266-276. 

  29. Yang, J. J. (2003). The effects of telephone consulting follow-up on self care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diabet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3), 269-280. 

  30. Yoo, J. S., Kim, E. J., & Lee, S. J. (2006). The effects of a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tress response in Type 2 diabet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5), 751-7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