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각종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첨가가 닥나무 인피섬유 시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Various Cellulose Nanofibers on The Properties of Sheet of Paper Mulberry Bast Fiber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6, 2015년, pp.730 - 739  

한송이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박찬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김보연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  이승환 (강원대학교 산림환경과학대학 산림바이오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닥나무 인피섬유 시트의 제조시 첨가하여, 닥나무 인피섬유 시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형태학적 및 화학적 성질이 다른 5종류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즉 리그노셀룰로오스 나노섬유 (lignocellulose nanofiber, LCNF), 홀로셀룰로오스 나노섬유(holocellulose nanofiber, HCNF), 알칼리처리 홀로셀룰로오스 나노섬유(alkali-treated HCNF, AT-HCNF), TEMPO-산화 나노섬유(TEMPO-oxidated nanofiber, TEMPO-NF), 셀룰로오스 나노크리스탈(cellulose nanocrystal, CNC)을 제조하였으며, 각 나노섬유의 종류 및 첨가량이 닥나무 인피섬유시트 제조시의 여수시간 및 시트의 투기도, 평활도, 인장강도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여수시간은 모든 나노섬유에 있어서 첨가량이 증가함으로서 길어졌으며, 5%의 첨가량에서 HCNF가 가장 여수시간이 길었다. 또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시트의 평활도, 인장강도 특성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0.1%의 극히 적은양의 나노섬유 첨가로도 비인장강도 및 탄성계수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 향상은 닥나무 인피섬유 간에 교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충전 효과에 기인하는 것을 전자현미경 사진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cellulose nanofibers (CNF) with different morphology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prepared for the reinforcement of sheet of paper mulberry bast fiber. Lignocellulose nanofiber (LCNF), Holocellulose nanofiber (HCNF), alkali-treated HCNF (AT-HCNF), TEMPO-oxidated nanofiber (TEMPO-NF) and ce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닥나무 인피섬유에 성질이 다른 각종 나노섬유의 첨가 및 첨가량이 닥나무 인피섬유 시트의 특성 변화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여보았다. 조사한 모든 나노섬유에 있어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압여과과정에서 측정한 여수시간이 매우 길어졌으며, 평활도, 인장강도 특성이 향상되었다.
  • 특히, 셀룰로오스 나노섬유의 우수한 강도적 성질을 활용하여 각종 복합재료의 강화필러로서의 잠재력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형태학적 및 화학적 성질이 다른 5종류의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제조하여, 닥나무 인피섬유를 이용한 시트 제조시에 첨가하여 그 첨가량 및 나노섬유 종류에 따른 시트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 수입된 닥나무 인피섬유로 생산되는 기계한지는 국내산 닥나무를 사용한 한지보다 광택, 탄력 등의 품질 수준 저하는 물론 보존성의 감소, 강도의 저하, 황변현상 및 수지장애로 인한 윤묵성 불량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Choi와 Cho, 1996, Kwon과 Kim, 2011).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꿈의 천연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첨가하여 닥나무 인피섬유 시트의 특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닥나무의 질적 특징은? 사계절이 뚜렷하고 일교차가 큰 우리나라의 기후로 인하여 국내 닥나무는 섬유장이 길고 강인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서화용지, 의류, 건축용지 등에 사용된 한지를 제조하는데 활용되어 왔다 (Yoon과 Kim, 2002).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기술의 하나인 한지는 자연스러운 질감 및 디자인, 뛰어난 흡습성, 보온성, 내구성 등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
나노섬유의 코팅이 시트의 평활도, 투기도, 인장 강도 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고려되는 이유는? 1%와 5%) 시트 표면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나노섬유 미첨가 시트는 인피섬유가 교차적으로 그물망 형태로 초지된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섬유직경은 50 μm 이내로 보이고 있다. 모든 나노섬유에 있어서, 첨가량이 0.1%에서 5%로 증가하면서 인피섬유 표면 및 섬유사이의 공극에 나노섬유가 피복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5%의 첨가량의 확대사진에서 명확히 인피섬유 사이에 피복되어 있는 나노섬유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섬유의 코팅이 시트의 평활도, 투기도, 인장 강도 특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고려된다.
국내 닥나무는 어디에 활용되는가? 사계절이 뚜렷하고 일교차가 큰 우리나라의 기후로 인하여 국내 닥나무는 섬유장이 길고 강인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서화용지, 의류, 건축용지 등에 사용된 한지를 제조하는데 활용되어 왔다 (Yoon과 Kim, 2002).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기술의 하나인 한지는 자연스러운 질감 및 디자인, 뛰어난 흡습성, 보온성, 내구성 등 우수한 성질을 지니고 있어 현재까지도 널리 사용되어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dul Khalil, H.P.S., Bhat, A.H., Ireana Yusra, A.F. 2012. Green composites from sustainable cellulose nanofibrils: A review. Carbohydrate Polymers 87: 963-979. 

  2. Abitbol, T., Kloser, E. Gray, D.G. 2013. Estimation of the surface sulfur content of cellulose nanocrystals prepared by sulfuric acid hydrolysis. Cellulose 20(2): 785-794. 

  3. Agoda-Tandjawa, G., Durand, S., Berot, S., Blassel, C., Gaillard, C., Garnier, C., Doublier, J.L. 2010.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microfibrillated cellulose suspensions after freezing. Carbohydrate Polymers 80: 677-686. 

  4. Azeredo, H.M.C. 2009. Nanocomposite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s. Food Research International 42: 1240-1253. 

  5. Cherian, B.M., Leao, A.L., Souza, S.F., Costa, L.M.M., Olyveira, G.M., Kottaisamy, M., Nagarajan, E.R., Thomas, S. 2011. Cellulose nanocomposites with nanofibres isolated from pineapple leaf fibers for medical applications. Carbohydrate Polymers 86: 1790-1798. 

  6. Choi, T.H., Cho, N.S. 1996. New korean traditional papermaking from paper mulberry (I) - Pulping characteristics of Broussonetia kazinoki Siebold -, Journal of Korea TAPPI 28(1): 49-59. 

  7. Elazzouzi-Hafraoui, S., Nishiyama, Y., Putaux, J.L., Heux, L., Dubreuil, F., Rochas, C. 2008. The shape and size distribution of crystalline nanoparticles prepared by acid hydrolysis of native cellulose. Biomacromolecules 9: 57-65. 

  8. Fukuzumi, H., Saito, T., Iwata, T., Kumamoto, Y., Isogai, A. 2009. Transparent and high gas barrier films of cellulose nanofibers prepared by TEMPO-mediated oxidation. Biomacromolecules 10: 162-165. 

  9. Habibi, Y., Lucia, L.A., Rojas, O.J. 2010. Cellulose nanocrystals: Chemistry, self-assembly, and applications. Chemical Reviews 110(6): 3479-3500. 

  10. Henriksson, M., Berglund, L.A., Isaksson, P., Lindstrom, T., Nishino, T. 2008. Cellulose nanopaper structures of high toughness. Biomacromolecules 9: 1579-1585. 

  11. Isogai, A. 2013. Wood nanocellulose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as new bio-based nanomaterials. J. Wood Sci. 59: 449-459. 

  12. Iwamoto, S., Nakagaito, A.N., Yano, H. 2007. Nano-fibrillation of pulp fibers for the processing of transparent nanocomposites. Appl. Phys. A 89: 461-466. 

  13. Iwamoto, S., Yamamoto, S., Lee, S.H., Ito, H., Endo, T. 2014.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 composites reinforced with lignocellulose nanofibers dried in melted ethylene-butene copolymer. Materials 7: 6919-6929. 

  14. Kargarzadeh, H., Ahmad, I., Abdullah, I., Dufresne, A., Zainudin, S. Y., Sheltami, R. M. 2012. Effects of hydrolysis conditions on the morphology, crystallinity, and thermal stability of cellulose nanocrystals extracted from kenaf bast fiber. Cellulose 19: 855-866. 

  15. Kwon, O.H., Kim, H.C. 2011. Preliminary study on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for paper mulberry, Journal of Korea TAPPI 43(4): 59-66. 

  16. Lavoine, N., Desloges, I., Dufresne, A., Bras, J. 2012. Microfibrillated cellulose-Its barrier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cellulosic materials: A review. Carbohydrate Polymers 90: 735-764. 

  17. Lee, H.V., Hamid, S.B.A., Zain, S.K. 2014. Conversion of lignocellulosic biomass to nanocellulose: Structure and chemical process. The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 1-20. 

  18. Lee, M.G., Yun, S.R., Kim, M.J. 2006. Dyeing of Hanji using Kenaf and improvement of printability.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10: 233-239. 

  19. Lee, S.H., Chang, F., Inoue, S., Endo, T. 2010. Increase in enzyme accessibility by generation of nanospace in cell wall supramolecular structure. Bioresource Technology 101: 7218-7223. 

  20. Lee, S.H., Inoue, S., Teramoto, Y., Endo, T. 2010.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woody biomass micro/nanofibrillated by continuous extrusion process II: Effect of hot-compressed water treatment. Bioresource Technology 101: 9645-9649. 

  21. Li, M.C., Wu, Q., Song, K., Qing, Y., Wu, Y. 2015. Cellulose nanoparticles as modifiers for rheology and fluid loss in bentonite water-based fluids. ACS Appl. Mater. Interfaces 7: 5006-5016. 

  22. Lu, P., Hsieh, Y.L. 2010.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cellulose nanocrystals: Rods, spheres, and network. Carbohydrate Polymers 82: 329-336. 

  23. Nogi, M., Yano, H. 2008. Transparent nanocomposites based on cellulose produced by bacteria offer potential innovation in the electronics device industry. Adv. Mater. 20: 1849-1852. 

  24. Okahisa, Y., Abe, K., Nogi, M., Nakagaito, A.N., Nakatani, T., Yano, H. 2011. Effects of delignification in the production of plant-based cellulose nanofibers for optically transparent nanocomposites. Composites Science and Technology 71(10): 1342-1347. 

  25. Park, C.W., Lee, S.H., Han, S.Y., Kim, B.Y., Jang, J.H., Kim, N.H., Lee, S.H. 2015. Effect of different delignification degrees of korean white pine wood on fibrillation efficiency and tensile properties of nanopaper. J. Korean Wood Sci. Technol. 43(1): 17-24. 

  26. Park, S.C., Lim, H.A., Oh, S.W. 2014. Study of functional of hanji using ceramic from Broussonetia kazinoki Sieb.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3): 53-61. 

  27. Qing, Y., Sabo, R., Zhu, J.Y., Agarwal, U., Cai, Z., Wu, Y. 2013. A comparative study of cellulose nanofibrils disintegrated via multiple processing approaches. Carbohydrate Polymers 97: 226-234. 

  28. Saito, T., Kimura, S., Nishiyama, Y., Isogai, A. 2007. Cellulose nanofibers prepared by TEMPO-mediated oxidation of native cellulose. Biomacromolecules 8: 2485-2491. 

  29. Salas, C., Nypelo, T., Rodriquez-Abreu, C., Carrillo, C., Rojas, O.J. 2014. Nanocellulose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colloids and interfaces. Current Opinion in Colloid & Interface Science 19: 383-396. 

  30. Siqueira, G., Bras, J., Dufresne, A. 2010. Cellulosic bionanocomposites: A review of prepar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Polymers 2: 728-765. 

  31. Siro, I., Plackett, D. 2010. Microfibrillated cellulsoe and new nanocomposite materials: A review. Cellulose 17: 459-494. 

  32. Yoon, S.L., Kim, H.J. 2002. Manufacturing of color hanji using bast fibers stained dyed by two reactive dyes. Journal of Korea TAPPI 34(4): 44-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