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둔상성 간손상 환자의 손상 통제술 후 발생한 심낭압전
Pericardial Tamponade following Perihepatic Gauze Packing for Blunt Hepatic Injury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8 no.3, 2015년, pp.211 - 214  

예진봉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설영훈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고승제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권오상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김중석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박상순 (을지대학교병원 흉부외과) ,  구관우 (을지대학교병원 흉부외과) ,  이민구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  김영철 (을지대학교병원 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and secondary survey was designed to identify all of a patient's injuries and prioritize their management. However 15 to 22.3% of patient with missed injuries had clinically significant missed injuries. To reduce missed injury, special attention should be focused on patients with sev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초기 1, 2차 평가에서 발견되지 못하고 추후 발견되는 손상의 경우 대부분이 사지 골절로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최근 Pfeifer와 Pape 의하면 생명을 위협할 정도의 치명적 손상도 1~4%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본 증례에서는 고에너지에 의한 둔상성 간 손상 환자에서 초기 평가 당시 심장의 손상을 고려하지 못하고, 손상통제술을 시행한 이후 발견된 심낭압전을 치료한 경험을 보고하며, 재평가의 필요성에 대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외상 환자에서 간, 비장 혹은 주요 혈관 등의 손상으로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 어떤 어려움이 있는가? 5%로 드물지만, 흔히 간과되는 환자의 주요 사망 원인중 하나로 보고되고 있다.(3,4) 중증외상 환자에서 간, 비장 혹은 주요 혈관 등의 손상으로 혈역학적 불안정성이 동반되어 있는 경우에는 심낭압전의 저명한경정맥 확장, 중심정맥압 상승 등의 저명한 임상학적 징후를 관찰하기 어려우며, 흉곽의 손상이나 폐 손상 등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에는 심장의 손상을 의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증례의 경우에서도 둔상에 의한 간 손상과 이로 인한 혈복강으로 인한 혈역학적 불안정으로 초기 수액 요법에 반응하는 저혈압, 빈맥 등이 있었으나, 흉곽의 손상이나 심근 효소 등의 상승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초기 1, 2차 평가에서 시행한 외상초음파상 심낭의 혈종 등이 관찰되지 않아서, 심장의 손상을 간과하였다.
전신 컴퓨터 단층 촬영은 어떠한 단점이 있는가? 본원에서는 특히 고 에너지에 의한 둔상 환자의 경우 전신 컴퓨터단층 촬영를 시행하고 있다. 환자에게 노출되는 방사선량이 많다는 단점이 아직까지 있으나, 일부 문헌에 의하면 초기평가에서 정확한 치료 계획을 수립하게 도와주며 이로 인해환자의 생존률을 향상 시킬 수 있었다는 보고도 있다.(7)
복합 손상 중, 심장의 손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중증 외상, 특히 고에너지에 의한 둔상환자에게 있어서 흉부와 복부의 복합 손상이 있는 경우는 흔히 관찰 되며, 초기평가에서부터 복합 손상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환자의 예후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복합 손상 중, 심장의 손상은 흉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 0~60%, 늑골 골절이 동반된 경우 18~69%로 보고되고 있으며,(1) 실제 임상에서 흉골, 늑골 골절 등 흉곽의 손상이 있는 경우 초기 평가에서부터 심장의 손상 가능성을 염두하고 심전도, 심근효소, 외상초음파 등 검사를 면밀히 시행하지만, 흉곽의 손상이 없는 경우는 초기 1, 2차 평가에서 심장의 손상을 고려하기는 쉽지 않다. 초기 1, 2차 평가에서 확인되지 않은 복합 손상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합병증이나 사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3차 평가가 시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Schultz JM, Trunkey DD. Blunt cardiac injury. Crit Care Clin 2004; 20: 57-70. 

  2. Pfeifer R, Pape HC. Missed injuries in trauma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Patient saf Surg. 2008;2:20. doi:10.1186/1754-9493-2-20. 

  3. Maenza RL, Seaberg D, D'Amico F. A meta-analysis of blunt cardiac trauma: ending myocardial confusion. Am J Emerg Med 1996; 14: 237-41. 

  4. Liedtke AJ, DeMuth WE, Jr. Nonpenetrating cardiac injuries: a collective review. Amer Heart J 1973; 86: 687-97. 

  5. Hardcastle TC. Missed injury - decreasing morbidity and mortality: A literature review. S Afr J Surg 2011; 49: 199-201. 

  6. Biffl WL, Harrington DT, Cioffi WG. Implementation of a tertiary trauma survey decreases missed injuries. J Trauma 2003; 54: 38-43; discussion 43-4. 

  7. van Vugt R, Kool DR, Deunk J, Edwards MJ. Effects on mortality, treatment, and time management as a result of routine use of total body computed tomography in blunt high-energy trauma patients. J Trauma Acute Care Surg 2012; 72: 55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