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해결 중심 탐구실험에서 예비 화학교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에 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ifficulties in Practice of Inquiry-based Experiment 원문보기

대한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59 no.5, 2015년, pp.434 - 444  

백종호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최취임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  정대홍 (서울대학교 화학교육과)

초록

탐구 중심 실험은 과학 지식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예비교사들이 탐구 중심 실험 수업에서 경험했던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22명의 예비교사가 낮은 수준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문제 해결 기반 탐구로 계획된 강의에 13주 동안 참여하여 탐구를 진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에 대해 설문과 심층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주로 실험 설계 과정과 자료해석 과정에서 어려움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목표에 대한 이해, 선지식이 부족하다는 인식, 탐구에 대한 자신감, 실험 도구 및 장비에 대한 이해 부족 등에서도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 탐구에 대한 적절한 지도를 위하여 예비교사를 양성하는 기관에서는 충분한 탐구를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quiry-based experiments provid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scientific knowledge and acquire nature of science. In this study, the difficulties which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in inquiry-based experiment clas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wenty-two pre-service teachers attended course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하면 과학 교과는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과목으로 정의된다.1 따라서 과학적으로 탐구하고 과학 지식과 기술이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표 중의 하나로 제시한다. 과학 탐구란 자연 현상에 대해 의문을 갖고 조사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하 며,2 탐구를 실행하는 과정과 결과를 통해 과학 지식은 수 정되고 발전한다.
  • 예비교사 K의 분 자확산 실험에 대한 응답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은 그레이엄의 확산 법칙이 어떤 과학적 증거로부터 도출되었는지 경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기체 입자가 이 동하는 서로 다른 조건의 두 상황으로부터 해당 법칙의 구체적 의미를 이해하도록 구성한 실험이다.
  • 본 연구에서 예비교사들이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을 탐색하기 위하여 설문지와 심층 면담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주관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 문항들은 탐구의 과정 별로 어려움을 구분하여 기록하도 록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에 탐구를 실천하는 과정에서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구성에 방향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들에게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 대한 탐구를 수행하게 한 후, 경험했던 어려움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탐구 능력과 인식에 대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탐구 과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어려움의 원인을 구분하여 확인하였다.
  • 이를 위해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들에게 구체적인 과학적 상황에 대한 탐구를 수행하게 한 후, 경험했던 어려움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예비교 사들이 경험한 어려움을 탐구 과정별로 분석하고, 어려움의 원인을 조사하여 유의미한 탐구의 경험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 탐구를 활용한 학습 활동에 정교하게 구성된 지원을 제 공하는 것은 탐구의 학습자들이 자신의 지식을 활용하는 것을 돕기 위함이다. 예비교사 日와 日의 경우, ‘2차원 회 절 무늬' 실험에서 격자의 회절무늬 해석을 위해 동일한 실험을 수행한 선행연구들을 찾고자 하였다. 관찰한 무늬 의 해석을 위해서는 고등학교 물리 교과에서 학습한 빛의 회절에 대한 개념을 기반으로 지식을 확장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 위와 같은 논의를 통해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예비교사들은 탐구 수행 중에 어떠한 어려움을 겪는가? 둘째, 탐구의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의 원인은 무엇인가? 이 두 가지 연구 문제를 통해 사범대학이 구성 해야 할 탐구 기반 수업의 방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inistry of Education.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Seoul, Korea, 2011; pp. 4-77. 

  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996. 

  3. Lee, S.-K.; Chou, C. I.; Lee, G.; Shin, M.-K.; Song, H. J. Korean Assoc. Sci. Edu. 2013, 33, 181. 

  4. Lederman, N. G. Sci. Educ. 1986, 70, 3. 

  5. Hofstein, A. Int. J. Sci. Edu. 2004, 26, 47. 

  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000. 

  7. Jonassen, D. H. Educ. Technol. Res. Dev. 1997, 45, 65. 

  8. Kuhn, D. In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Goswami, U. Eds.; Malden, MA: Blackwell, 2004; pp. 371-393. 

  9. Crawford, B. A.; Cullin, M. J. Int. J. Sci. Edu. 2004, 26, 1379. 

  10. Kim, H.; Song, J. J. Korean Assoc. Sci. Edu. 2010, 32, 1489. 

  11. Krajcik, J. S.; Blumenfeld, P.; Marx, R. W.; Bass, K. M.; Fredericks, J.; Soloway, E. J. Learn. Sci. 1998, 7, 313. 

  12. Chinn, C. A.; Malhotra, B. A. Sci. Educ. 2002, 86, 175. 

  13. Baek, J.; Jeong, D. H.; Hwang, S. Y. J. Korean Assoc. Sci. Edu. 2014, 34, 79. 

  14. Kim, H.-G.; Kim, Y.-J.; Kim, S.-H. J. Sci. Edu. 2011, 25, 204. 

  15. Hwang, S. M.; Jeong, D. H.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2013, 7, 25. 

  16. Woo, H. S.; Jeong, D. H.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2012, 6, 224. 

  17. Lim, M. A.; Lee, H. Y.; Jeong, D. H.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2014, 8, 155. 

  18. Duschl, R. A. Disser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1983, 45, 42. 

  19. Roehrig, G. H.; Luft, U. A. Int. J. Sci. Edu. 2004, 26, 3. 

  20. Hofstein, A.; Lunetta, V. N. Sci. Educ. 2004, 88, 28. 

  21. Paeng, A.-J.; Paik, S.-H. J. Korean Assoc. Sci. Edu. 2005, 25, 146. 

  22. Lee, S.-K.; Lee, G.-H.; Shin, M.-K.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1, 28, 21. 

  23. Jeong, J.-W.; Lee, K.-J.; Kim, J.-K. J. Korean Earth Sci. Soc. 2006, 27, 364. 

  24. Yang, I.-H.; Cho, H.-J.; Han, I.-K. J. Lea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06, 6, 235. 

  25. Kwak, Y. Jour. Korean Earth Sci. Soc. 2002, 23, 309. 

  26. Lee, B. J. Korean Assoc. Sci. Edu. 2013, 33, 1300. 

  27. Hwang, H.; Jhun, Y. J. of Korean Elementary Sci. Edu. 2009, 28, 404. 

  28. Lim, S.; Yang, I.; Kin, S.; Hong, E.; Lim, J. J. Korean Assoc. Sci. Edu. 2010, 30, 291. 

  29. Shin, H.; Kim, H.-N. J. Korean Elem. Sci. Edu. 2010, 29, 262. 

  30. Kim, J.-H.; Park, Y.-S. J. Korean Earth Sci. Soc. 2012, 33, 294. 

  31. Abrams, E.; Southerland, S. A.; Evans, C. A. In Inquiry in the science classroom: Realities and opportunities; Abrams, E., Southerland, S. A., Silva, P. Eds.; Information Age Publishing: Greenwich, CT, 2007; pp xi-xiii. 

  32. Crockford, H. D.; Nowell, J. W.; Baird, H. W.; Getzen, F. W. Laboratory Manual of Physical Chemistry; Wiley, 1976. 

  33. Mason, E. A.; Kronstadt, B. J. Chem. Edu. 1967, 44, 740. 

  34. Pinto, G.; Esin, A. J. Chem. Edu. 2004, 81, 532. 

  35. Morse, J. G. J. Chem. Edu. 1999, 76, 64. 

  36. Lisensky, G. C.; Kelly, T. F.; Neu, D. R.; Ellis, A. B. J. Chem. Edu. 1991, 68, 91. 

  37. Paik, S. H.; Son, S. H. J. Korean Assoc. Sci. Edu. 2014, 34, 197. 

  38. Kirschner, P. A.; Sweller, J.; Clark, R. E. Educ. Psychol. 2006, 41, 75. 

  39. Park, H.; Jeong, D. H.; Noh, S.; Lim, H.; Han, J.; Park, J.-Y. J. Korean Chem. Soc. 2009, 53, 765. 

  40. Kim, M.; Tan, A.-L. Int. J. Sci. Edu. 2011, 33, 465. 

  41. Quintana, C.; Reiser, B. J.; Davis, E. A.; Krajcik, J.; Fretz, E.; Duncan, R. G.; Kyza, E.; Edelson, D.; Soloway, E. The J. Learn. Sci. 2004, 13, 337. 

  4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Ready, Set, Science!;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