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설 색상과 심박변이도의 경향성 파악
Trends in Tongue Color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Chronic Dyspepsia Patients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6 no.3, 2015년, pp.348 - 360  

김지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  정창진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  김근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기반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From observing the tongue of a patient, one can assess the health status; this method has been frequently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KM) clinics. In particular, KM posits that the color of the tongue is highly related to digestive functions. In this study, the color of tongu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설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획득한 설질 영역의 CIE L*a*b* 색상 값 및 심박변이도 측정으로부터 획득한 주파수영역 분석지표와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건강대조군 간의 상관성을 살펴봄으로써, 질환여부와 질환특성에 따른 설 특성 및 자율신경계의 경향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소화불량증과 건강대조군을 모집하여 설 영상 촬영장치(Computerized tongue image acquisition system, CTIS)를 통해 설 지표를,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를 통해 주파수영역 분석지표를 획득한 후 질환별 설 특성과 자율신경 활성 상태를 살펴보았으며, 유의한 결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이준호, 김학양, 노승혁, 윤덕형, 김경호, 최종형, 등. 한국인 소화불량 환자 중 어느 환자에서 내시경 검사를 할 것인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1;22(1):1-7. 

  2. Talley NJ, Silverstein MD, Agreus L, Nyren O, Sonnenberg A, Holtmann G. AGA technical review: evaluation of dyspepsia. Gastroenterology 1998;114(3):582-95. 

  3. 박무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yspepsia. 대한내과학회지 2009;76(2):298-303. 

  4. Bharucha A, Camilleri M, Low P, Zinsmeister A. Autonomic dysfunction in gastrointestinal motility disorders. Gut 1993;34(3):397-401. 

  5. Tougas 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functional bowel disorders. Gut 2000;47(4):78-80. 

  6. Simonian HP, Panganamamula K, Chen JZ, Fisher RS, Parkman HP. Multichannel electrogastrography (EGG) in symptomatic patients: a single center study. Am J Gastroenterol 2004;99(3):478-85. 

  7.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수공저. 비계내과학. 서울: 그린문화사; 1994, p. 51-9, 154-7. 

  8. 허준. 동의보감. 서울: 남산당; 1991, p. 262-70, 428-43, 460-67, 274-77. 

  9. 고수미, 문구, 문석재. 만성 위염에 대한 최근의 동서의학 결합 진치개황. 대한한의학회지 1994;15(1):400-9. 

  10. Heitkemper MM, Bond EF. Gastric motility in rats with varying ovarian hormone status. West J Nurs Res 1995;17(1):9-19;discussion 101-11. 

  11. Haas L.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and gasrointestinal diseases. Curr Opin Gastroenterol 2000;16(2):188-96. 

  12. Jung CJ, Kim KH, Jang JS, Jeon Y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direct illumination for tongue image acquisition.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2014; 51(11):2619-26. 

  13. 전국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교실. 생기능의학. 서울: 군자출판사; 2014, p. 88. 

  14. Kobayashi H, Ishibashi K, Noguchi H. Heart rate variability; an index for monitoring and analyzing human autonomic activities. Appl Human Sci 1999;18(2):53-9. 

  15. 홍석의, 김강산, 김병기.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인하여 간에 미치는 영향과 이로 인한 소화기장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1994;15(2):48-58. 

  16. 김효진, 이수정, 이아람, 강경화, 김원일. 過心傷, 飮食傷에 따른 급성 소화불량증 환자간의 비교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3):525-32. 

  17. 임양근. 진단학 아틀라스 설진. 서울: 정담; 2003, p. 1-35. 

  18. 박동일, 이풍렬, 이용욱, 김지은, 현재근, 김창섭,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자율신경 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2000; 6(2):214-21 

  19. Bond EF, Heitkemper MM, Bailey SL. Estrogen suppresses gastric motility response to thyrotropinreleasing hormone and stress in awake rats. Res Nurs Health 1998;21(3):221-8. 

  20. 김효진, 김보경, 김원일. 심박변이도를 통한 급성, 기능성, 기질성 소화불량증의 비교연구.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2010;21(2):75-85. 

  21. Hausken T, Svebak S, Wilhelmsen I, Haug TT, Olafsen K, Pettersson E, et al. Low vagal tone and antral dysmotilit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Psychosom Med 1993;55(1):12-22. 

  22. Hveem K, Svebak S, Hausken T, Berstad A. Effect of mental stress and cisapride on autonomic nerve functions in functional dyspepsia. Scand J Gastroenterol 1998;33(2):123-7. 

  23. 김유승, 류봉하, 김진성, 홍인아, 박영선, 정용재, 등. 기능성 소화불량증 환자에서 침구 처치 후 다채널 위전도 소견의 변화.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0;24(1):152-7. 

  24. Camilleri M, Fealey RD. Idiopathic autonomic denervation in eight patients presenting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ease. A causal association? Dig Dis Sci 1990;35(5):609-16. 

  25. Greydanus MP, Vassallo M, Camilleri M, Nelson DK, Hanson RB, Thomforde GM. Neurohormonal factors in functional dyspepsia: insights on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Gastroenterology 1991;100(5):1311-8. 

  26. 김상헌, 김효진, 이수정, 신철경, 이상희, 김원일. 심박변이도(HRV)에서 기능성 소화불량증과 기질성 소화불량증의 상관성 연구.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29(2):443-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