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멘토링을 활용한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연구: 미디어정보통신 계열 학과의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nnected Program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Using Mentoring: Focus on Experi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edia 원문보기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v.10 no.4, 2015년, pp.17 - 22  

허수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IT미디어공학과) ,  박구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전자IT미디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등학생이 대학입학 전 본인의 관심분야의 전공수업을 첨단장비를 통해 미리 학습할 수 있는 고교-대학 연계 멘토링 프로그램이 대학에 개설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3년도 경험을 분석한 기존 연구를 발전시켜 멘토링 프로그램을 추가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팀별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2차년도 교육에 참여한 경험을 연구하였다. 실습 중심의 멘토링을 통해 고교생이 직접 실습 과제를 해결하고 결과물을 만들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 1차 프로그램은 강의 진행에 관련된 부분과 관심도 증대 부분에서, 2차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강의 진행과 일정 그리고 지식 발전의 향상과 추천 정도 영역에서 만족이 높았다. 팀 내에서 멘티들이 상호작용을 하고, 멘토들과 교류하며 함께 성장하는 것이 팀러닝이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고교-대학 교육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교생들에게 알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큰 의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igh School and College Bridge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to learn about specialty training through Mentors with high tech equipment before college ad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In this study we further developed the previous research experience in 2013 to mentoring program. According to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년도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일정상의 어려움, 학생 평가의 한계성, 연속된 특강으로 인한 강의 연계성 부족 등에 대한 문제를 2014년에는 최대한 해결하고자 하였다. 2014년에도 일정이 2학기와 같이 시작되어 중간고사나 개인사정 등으로 인한 출석 문제가 있었고, 대신 2차 프로그램을 일찍 시작하여 고교생의 기말고사 시작 전에 종료하려고 노력하였다.
  •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은 고등학교와 대학교가 협력하여 고교의 교육을 대학으로 유연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고등학생이 대학으로 찾아와 대학의 시설을 이용하고, 직접 교육을 받는 것을 학습형 모델이라고 하는데[1][2][3][7], 본 연구는 미디어정보통신계열 학과가 이러한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의 학습형 모델을 교육 활동에 적용한 경험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1차년도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통해 함의를 발견하여 이를 2차년도 교육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미디어계열의 전공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공학 분야와 미디어 분야의 실습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세부 경험을 보여주고, 본 전공 경험이 고교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팀러닝과 멘토링의 교육방법이 고교-대학 교육에 적합한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고교-대학 경험과 비교하여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연구계획을 세우고, 고교생을 추천받아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와 동시에 설문을 수행하였다. 교육에 대한 평가를 바로 받고, 따로 종합 설문을 하여 학생들의 평가를 다양하게 살펴보고자 하였다.
  • 공학 분야와 미디어 분야의 실습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세부 경험을 보여주고, 본 전공 경험이 고교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팀러닝과 멘토링의 교육방법이 고교-대학 교육에 적합한지를 분석하고, 기존의 고교-대학 경험과 비교하여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하는데 의의를 두고자 한다.
  • 미디어정보통신계열 학과의 특수한 경험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이 사례의 내용적인 평가를 분석하는 것이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연구문제1에서 내용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미디어계열의 전공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을 분석하여 제시한다. 공학 분야와 미디어 분야의 실습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세부 경험을 보여주고, 본 전공 경험이 고교생들의 적성과 진로에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두 번째, 난이도에 대한 체감은 여전히 다르다. 성별대로, 학년별로 사전지식이나 흥미 정도도 다르고 난이도 요구도 다르게 나타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멘토의 유래는? 멘토링(Mentoring)은 멘토가 쌓은 경험을 멘티에게 전수하고 조언하는 활동이다.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친구인 멘토에게 아들을 맡겼더니 아들을 훌륭하게 훈육하였고, 십년 뒤 이를 본 오디세우스가 ‘멘토답다’라고 칭찬하면서 교육을 지도해주고 조언해주는 정신적 지주인 ‘멘토’가 유래되었다[10].
멘토링이란? 멘토링(Mentoring)은 멘토가 쌓은 경험을 멘티에게 전수하고 조언하는 활동이다. 오디세우스가 트로이 전쟁에서 친구인 멘토에게 아들을 맡겼더니 아들을 훌륭하게 훈육하였고, 십년 뒤 이를 본 오디세우스가 ‘멘토답다’라고 칭찬하면서 교육을 지도해주고 조언해주는 정신적 지주인 ‘멘토’가 유래되었다[10].
멘토의 교육방법이 체계화되기 멘토와 멘티에게 형성되어야 하는 심리적 관계는? 멘토링의 특성상 소규모의 그룹을 대상으로 빠른 수정이 가능하므로, 항상 멘토들은 멘티들과 소통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한다. 즉, 멘티들과 라포(Rapport)를 형성해야 한다. 멘토링의 장점 중에 하나가 신뢰와 친근감 형성이기 때문에 멘토와 멘티가 가까워 져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wang-hee Chung, Byong-young Park,"The various model of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pp.1-40, 2011. 

  2. Kwang-hee Chung, Jong-jae Lee, Hong-won Kim, Jeong-won Kim, Duk-joo Jo, Seck-dong Ham, Li-na Gu, Hui-sook Le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llege Entrance System through Elaborating the Partnership between College and High School : The Eight-year Study of KEDI,"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pp.1-227, 2004. 

  3. Kwang-hee Chung, Duk-joo Jo, A Study on the Connection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ducation - Focused on Japan and Australia,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ol.21, No.2, pp.23-49, 2011 

  4. Nam-sook Kim, Seung-hyun Kim, "Study on Mentor FGI to activation Youth Mentoring", Korea Association of Business Education, Vol.67, pp.387-403, 2011 

  5. Min-hwa Yang, Ae-jin Lee, Jeong-won Son, Hye-rim Jeong, "An Analysis on the Needs of the College Student Mentoring Program : Three Dimensional Aspects from Mentors, Mentees and School Teachers",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10, No.2, pp.83-114, 2011 

  6. Sae-byeok Bae, "The R&E Program for Scientific Talents," Physics & High Technology(webzine)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pp.36-40, 2006. 

  7. Su-mi Heo, Seong-jin Choi, Goo-man Park, "A study on learning model of connected program between high school and university : focus on Experi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media studies,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Vol.19, No.5, pp.665-676, 2014 

  8. Yoon-hyeong Jo, Jin-chul Jeong, Myong Moon, "The Effects Person-University Fit(PUF), Person-Major Fit(PMF) on Employability and Educational Achievement : The Role of Learning Flow as A Mediator, Mentoring as A Moderator",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6, No.3, pp.749-780, 2013 

  9. R.wimmer, J.dominick(Joint translation- Jaechun Yu, Dongkyu Kim), Mass media Research, Nanam, Gyonggido, pp.183-186, 2007 

  10. "What is Mentor", http://ko.wikipedia.org/wiki/%EB%A9%98%ED%86%A0%EB%A7%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