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Ku-대역 고정위성업무용 주파수 신규 분배 가능성 검토 연구
Study on Feasibility of New Frequency Allocations to the Fixed-Satellite Service in Ku-band 원문보기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v.10 no.3, 2015년, pp.137 - 142  

박종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항공ICT연구부) ,  장대익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미디어연구소 위성항공ICT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Ku-대역에서 고정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신규 분배를 검토하는 WRC-15 의제에 대한 배경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국내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위성 주파수는 전파규칙이 규정한 국제등록 절차에 따라 확보되는 자원이며, 주파수 자원은 한정된 천연자원으로 인식되어 각 국가들의 자원 선점을 위한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WRC-15에서는 고정위성업무용으로 주파수 추가 분배를 검토하게 되는데, 기존 업무의 적절한 보호 및 향후 고정위성업무의 이용 계획을 고려하여 적절히 대응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d the background and status of studies for WRC-15 agenda item which considers additional frequency allocations to the fixed-satellite service in Ku-band and considered national future countermeasures. Satellite frequency can be acquired through compliance with the Radio Regulatio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문에서는 Ku-대역 고정위성업무용 주파수 추가 분배 관련 WRC-15 의제에 대한 배경과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Ku-대역에서 고정위성업무를 위한 주파수 신규 분배를 검토하는 의제 1.6 (1.6.1 및 1.6.2)에 대한 배경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전파통신회의란? 세계전파통신회의(WRC, World Radiocommunication Concerence)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전파통신부문(ITU-R)의 최고 의결 회의로서, 국제조약으로 인정되는 전파규칙(RR, Radio Regulations)의 규정을 개정하고, 신규 제정한다.
국내 주파수 추가 분배를 지지하기 보다는 기존 무선 업무의 적절한 보호의 관점에서 의제에 대응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주장하는 근거는? 위성망 주파수 자원은 지상망 주파수와 달리 반드시 사전공표, 조정, 통고 및 등재 등의 국제등록 절차를 통해 확보해야 이용할 수 있다.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3지역의 고정위성업무(하향)에 1,050 MHz 대역폭이 분배되어 있으나, 기존에 국제등록을 선행한 국가들로부터 조정 동의 획득이 어려워 해당 대역폭을 모두 확보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향회선을 모두 확보하지 못한 상황에서 상향회선만 추가로 300 MHz 대역폭을 확보하더라도 이에 따른 실익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고정위성업무용 주파수 추가 분배를 고려할 경우 최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는 것은? 표 7은 현재 검토되고 있는 Ku-대역의 국내 이용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고정위성업무용 주파수 추가 분배를 고려할 경우, 국내에서는 무선측위국, 위성지구국 등의 무선 시스템 들이 이용 중이므로 이들 시스템들의 안정적 운용이 최우선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ITU, Resolutions and Decisions of the Council, pp. 132-134, 2014. 

  2. ITU-R WP 4A, "Preliminary draft new Report ITU-R S.[R1.FSS] - Assessment on use of spectrum in the 10-17 GHz band for the GSO fixed-satellite service in Region 1", Annex 18 to Doc. 4A/591, 2014. 

  3. ITU-R WP 4A, "Preliminary draft new Report ITU-R S.[R2R3.FSS] - Assessment on use of spectrum in the 13-17 GHz range for the GSO fixed-satellite service in Regions 2 and 3", Annex 19 to Doc. 4A/591, 2014. 

  4. APT, "Preliminary Views on Agenda items 1.6.1 and 1.6.2", Docs. APG15-4/OUT-18 & 19, 2015. 

  5. ECC, "Draft CEPT Brief on WRC-15 Agenda Item 1.6", Doc. CPG15(15)024 Annex IV-06, 2015. 

  6. ITU-R, Report of the CPM on operational and regulatory/procedural matters to the World Radiocommunication Conference 2015, 201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