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지역 미세먼지의 장기변동 및 농도변화에 관한 국지기상 분석
An Analysis of Long-Term Variation of PM10 Levels and Local Meteorology in Relation to Their Concentration Changes in Jeju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 2016년, pp.107 - 125  

박연희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송상근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이수정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김석우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  한승범 (제주대학교 해양과학대학 지구해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g-term variations of $PM_{10}$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y related to its concentration changes were analyzed at 4 air quality sites (Ido-dong, Yeon-dong, Donghong-dong, and Gosan) in Jeju during two different periods, such as PI (2001-2006) and PII (2007-2013), over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제주지역은 지속적인 인구 및 관광객 증가, 도시팽창(발달) 및 차량 급증 등으로 인해 향후 점차적으로 미세먼지의 영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바,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의 미세먼지(PM10)와 국지기상의 장기변화 경향 및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장기간 동안 농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국지기상의 특성을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 2013). 일반적으로 장거리수송에 따른 PM10 농도 증가는 자유대류권(free troposphere)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므로, 비교적 높은 고도에 위치한 배경지점에서 관측된 PM10은 LRT 오염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을 가정할 수 있으며, 국지지역(예, 도심 내륙)에서의 PM10 농도변화는 장거리수송에 의한 영향과 거의 상관관계가 없음을 가정한다(Jaffe et al., 2003; Timonen, 2013).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제주도는 자유대류권에 위치한 대기질 배경 측정지점이 없는 관계로 국가배경측정소인 고산지점(도심 지점으로부터 약 40 km로 떨어진 지점)을 배경 측정지점으로 선정하여 도심 측정지점인 이도동 및 연동(제주시) 그리고 동홍동 지점(서귀포시)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먼지는 어디에서 발생하는가?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화석연료의 연소 또는 공장과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미세먼지 농도는 주변지역의 지리·지형적 특성, 장거리수송에 의한 외부유입, 국지기상조건 등에 의해 좌우된다(K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특히, 국지적 기상요소의 시·공간적 변화는 대기 중 오염물질의 확산, 농도축적, 침적에 큰 영향을 주므로 미세먼지의 농도 변화(증가와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Shin et al.
미세먼지 농도는 대도시와 청정지역에서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05). 인구와 차량이 밀집되어 있는 대도시에서는 주로 고정배출원에 의해 미세먼지의 농도가 결정되는 반면, 비교적 인구와 차량이 적고 공장 등 산업 발달이 덜한 청정지역(예, 도서, 시골, 섬 등)에서는 자체 오염물질 배출이 적기 때문에 고정배출원에 의한 국지영향보다 외부 유입에 의한 영향이 미세먼지 농도를 결정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풍하측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에 의해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데, 국립환경과학원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수송되는 미세먼지의 국내기여도는 연평균 30~50% 수준에 이른다고 추정된 바 있다(KMOE, 2013).
미세먼지 농도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화석연료의 연소 또는 공장과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나오며, 미세먼지 농도는 주변지역의 지리·지형적 특성, 장거리수송에 의한 외부유입, 국지기상조건 등에 의해 좌우된다(KMO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특히, 국지적 기상요소의 시·공간적 변화는 대기 중 오염물질의 확산, 농도축적, 침적에 큰 영향을 주므로 미세먼지의 농도 변화(증가와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Sh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med, E., Kim, K. H., Shon, Z. H., Song, S. K., 2015, Long-term trend of airborne particulate matter in Seoul, Korea from 2004 to 2013, Atmos. Environ., 101, 125-133. 

  2. Anttila, P., Tuovinen, J. P., 2010, Trends of primary and secondary pollutant concentrations in Finland in 1994-2007, Atmos. Environ., 44, 30-41. 

  3. Bae, H. J.,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_{10}$ and $PM_{2.5}$ on mortality in Seoul, J. Environ. Health Sci., 40, 346-354. 

  4. Drewnick, F., Schwab, J. J., Jayne, J. T., Canagaratna, M., Worsnop, D. R., Demerjian, K. L., 2004, Measurement of ambient aerosol composition during the PMTACS-NY 2001 using an Aerosol Mass Spectrometer, Part I: Mass concentrations, Aerosol Sci. Tech., 38, 92-103. 

  5. Gong, S. L., Zhang, X. Y., Zhao, T. L., McKendry, I. G., Jaffe, D. A., Lu, N. M., 2003, Characterization of soil dust aerosol in China and its transport and distribution during 2001 ACE-Asia: 2. Model simulation and validation, J. Geophys. Res., 108(D9), 4262. 

  6. Jaffe, D., McKendry, I., Anderson, T., Price, H., 2003, Six 'new' episodes of transpacific transport of air pollutants, Atmos. Environ., 37, 391-404. 

  7. Janssen, N. A. H., Fischer, P., Marra, M., Ameling, C., Cassee, F. R., 2013, Short-term effects of $PM_{2.5}$ , $PM_{10}$ and $PM_{2.5}-{10}$ on daily mortality in the Netherlands, Sci. Total Environ., 20-26. 

  8. Kang, J. E., Oh, I. B., Song, S. K., Kim, Y. K., 2012, Characteristics of surface ozone in a valley area located downwind from coastal cities under sea-breeze condition: seasonal variation and related winds, J. Environ. Sci., 21(2), 153-163. 

  9. Karppinen, A., Harkonen, J., Kukkonen, J., Aarnio, P., Koskentalo, T., 2004, Statistical model for assessing the por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 transported regionally and long range to urban air, Scand. J. Work Environ. Health, 30, 47-53. 

  10. Kim, H. S., Yoon, M. B., Sohn, J. J., 2010, An analysis on the episodes of large-scale transport of natural airborne particles and anthropogenically affected particles from different sources in the East Asian continent in 2008, J. Kor. Earth Sci. Soc., 31, 600-607. 

  11. Kim, J. A., Jin, H. A., Kim, C. H., 2007, Characteristics of time variations of $PM_{10}$ concentrations in Busan and interpreting its generation mechanism using meteorological variables, J. Environ. Sci., 16, 1157-1167. 

  12. Kim, K. J., Lee, S. H., Hyeon, D. R., Ko, H. J., Kim, W. H., Kang, C. H., 2014, Composition comparison of $PM_{10}$ and $PM_{2.5}$ fine particulate matter for Asian dust and haze events of 2010-2011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Anal. Sci. Technol., 27, 1-10. 

  13. Kim, M. K., Jung, W. S., Lee, H. W., Do, W. G., Cho, J. G., Lee, K. O., 2013, Analysis on meteor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of $PM_{10}$ concentration in Busan, J. Environ. Sci., 22, 1213-1226. 

  1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02-2014,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001-2013, Republic of Korea. 

  15.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KMOE), 2002-2014, Annual Report of Ambient Air Quality in Korea, 2001-2013, Republic of Korea. 

  16. Lee, Y. C., Hills, P. R., 2003, Cool season pollution episodes in Hong Kong, 1996-2002, Atmos. Environ., 37, 2927-2939. 

  17. Lee, H. D., Lee, G. H., Kim, I. D., Kang, J. S., Oh, K. J., 2013, The influence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ir pollutants by sea breeze and mist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Clean Technology, 19, 95-104. 

  18.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2012, Asian Dust Report, 11-1360395 -000347-01, Republic of Korea. 

  19. Oh, I. B., Kim, Y. K., Hwang, M. K., 2004, Effects of late sea-breeze on ozone distributions in the coastal urban area, J. Kor. Soc. Atmos. Environ., 20, 345-360. 

  20. Samoli, E., Stafoggia, M., Rodopoulou, S., Ostro, B., Declercq, C., Alessandrini, E., et al., 2013, Associations between fine and coarse particles and mortality in Mediterranean cities: results from the MED-PARTICLES project, Environ. Health Perspect., 121, 932-938. 

  21. Sarnat, S. E., Coull, B. A., Schwartz, J., Gold, D. R., Suh, H. H., 2006, Factors affecting the association between ambient concentrations and personal exposures to particles and gases, Environ. Health Persp., 114, 649-654. 

  22. Shin, M. K., Lee, C. D., Ha, H. S., Choe, C. S., Kim, Y. H., 2007, The influence of meteorological factors on $PM_{10}$ concentration in Incheon, J. Kor. Soc. Atmos. Environ., 23, 322-331. 

  23. Shin, S. E., Kim, Y. P., Kang, C. H., 2010, Comparison of the $PM_{10}$ concentration i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J. Environ. Impact Assess., 19, 421-429. 

  24. Simmonds, P. G., Derwent, R. G., Manning, A. L., Spain, G., 2004, Significant growth in surface ozone at Mace Head, Ireland, 1987-2003, Atmos. Environ., 38, 4769-4778. 

  25. Song, S. K., Han, S. B., Kim, S. W., 2014, Analysis of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changes in atmospheric environment on Jeju Island during 2010-2012, J. Environ. Sci., 23, 1889-1907. 

  26. Timonen, H., Wigder, N., Jaffe, D., 2013. Influence of background particulate matter (PM) on urban air quality in the Pacific Northwest, J. Environ. Manag., 129, 333-340. 

  27. Twomey, S., 1974, Pollution and the planetary albedo, Atmos. Environ., 8, 1251-1256. 

  28. Uno, I., Satake, S., Carmichael, G. R., Tang, Y., Wang, Z., Takemura, T. et al., 2004, Numerical study of Asian dust transport during the springtime of 2001 simulated with the Chemical Weather Forecasting System (CFORS) model, J. Geophys. Res., 109, D19S24. 

  29. Wojas, B., Almquist, C., 2007, Mass concentrations and metals speciation of $PM_{2.5}$ , $PM_{10}$ , and total suspended soilds in Oxford, Ohio and comparison with those from metropolitan sites in the Greater Cincinnati region, Atmos. Environ., 41, 9064-9078. 

  30. Yoon, S. C., Won, J. G., Omar Ali H, Kim, S. W., Sohn, B. J., 2005, Estimation of the radiative forcing by key aerosol types in worldwide locations using a column model and AERONET data, Atmos. Environ., 39, 6620-6630. 

  31. Yang, J. H., Kim, S. R., Jung, J. H., Han, Y. J., 2010, Long-term trend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fine particles in Chuncheon, Korea, J. Kor. Soc. Atmos. Environ., 27, 494-5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