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재선충 피해목의 수집 및 활용에 대한 현황 분석
An Analysis on the Situation o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 2016년, pp.127 - 134  

김재환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서인교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전공) ,  박상준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get current state of data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tree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to efficiently collect and utilize of the trees damaged by the pine wilt disease and abandoned fumigation-treated trees at forecasts. The method to control pine wilt disea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나무재선충 피해지역의 소나무재선충 담당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소나무재선충 피해목 수집 및 활용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소나무재선충 피해목과 산림내에 방치된 훈증처리목을 효율적으로 수집 및 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나무 시들음병의 원인은? 소나무 시들음병의 원인인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ilus)은 일본을 비롯한 우리나라와 중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의 소나무림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Mota et al., 1999; Ichihara et al.
우리나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는 2010년 26만본을 시작으로 2011년 49만본, 2012년 48만본, 2013년 218만본, 2014년 11월 80만본으로 2005년부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시행하여 노력한 결과 2010년까지는 피해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나, 2013년에 급격히 확산된 추세이다(Korea forest service, 2015).
우리나라에서 소나무재선충이 발견된 것은 언제인가? , 2000). 우리나라의 경우 1988년 부산 금정산에서 처음으로 보고가 되었고, 2001년부터 우리나라 대부분의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2006년에는 처음으로 잣나무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이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P. G., 2000, Multivariate analysis with a focus on case, Nanam, 242. 

  2. Futai, K., 2008, Pine wilt in Japan: from first incidence to the present, 5-25, In Pine wilt disease, Springer, Tokyo. 

  3. Han, H., Chung, Y. J., Shin, S. C., 2008, First report of pine wilt disease on Pinus koraiensis in Korea, Plant disease 92(8), 1251. 

  4. Han, S. Y., Jang, W. W., Lee, M. H., Cho, E. K., 2008, A path analysis about customer satisfaction of recreation forest, J.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2(4), 19-25. 

  5. Hong, J. H., 2007, New.Renewable energy applica-tion to district heating(land-fill gas and wood chip), J.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899-902. 

  6. Kishi, Y., 1995, The pinewood nematode and Japanese pine sawyer, Thomas, Tokyo, 302. 

  7. Mamiya, Y., 1988, History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J. Nematol., 20, 219-226. 

  8. Korea forest service, 2014,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http://www.forest.go.kr. 

  9. Korea forest service, 2015, Forest pest forecasting. pest control plan. 

  10. Mota, M. M., Braasch, H., Bravo, M. A., Penas, A. C., Burgermeister, W., Metge, K., Sousa, E., 1999, First report of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Portugal and in Europe, Nematology, 1(7-8), 727-734. 

  11. Yano, M., 1913, Investigation on the causes of pine mortality in Nagasaki prefecture, Sanrinkoho, 4, 1-14. 

  12. Yi, C. K., Byen, B. H., Park, J. D.. Yang, S. I., Chang, K. H.,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M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The Research Report of the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orea Republic), 38, 141-149. 

  13. Yoon, S. R., Seo, D. J., Kim, J. G., 2008, A study on the selective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and utilization of damaged trees, J. Korean forest society, 242-245. 

  14. Yoon, S. R., Jung, S. H., Seo, D. J., Won, K. R., Park, H. M., Kim, J. G., Byeon, H. S., 2012, The effect of soaking and fumigation treatments on bending properties and hardness of pine wilt disease infected wood, J. Korean wood Sci. & Tech., 40(1), 5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