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수계의 수문자료와 원수탁도의 상관관계 분석
Analysis on the Correlation between Hydrological Data and Raw Water Turbidity of Han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 2016년, pp.1 - 9  

정안철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강태운 (홋카이도대학교 공과대학 환경필드공학과) ,  김성원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정관수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활한 용수공급과 정수장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유지 관리를 위해서 한강수계에 위치하고 있는 두 광역정수장의 원수탁도와 수문자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광역정수장의 취수원인 댐의 유입유량, 방류량, 강우를 수문자료로서 활용하였으며, 상관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상관분석주성분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탁도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회귀식을 제안하여 탁도 변화 예측을 수행하였다. 충주정수장의 원수탁도는 충주댐의 방류량(0.708)과 와부정수장의 원수탁도는 팔당댐의 유입량(0.805)과 높은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관성이 높은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제안한 회귀식의 탁도 예측치는 상수도시설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원수탁도 산정방법을 이용한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래의 원수탁도를 예측하여 추가적인 정수장 건설 및 기존 정수장의 효율적인 유지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aw water turbidity at two wide-area water treatment plants and hydrological data was conducted for efficient water supply, design and management of water treatment plant. Both correlation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hydrological ti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탁도는 유사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유량-유사량의 관계보다 유사량-탁도 관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을 검증한 연구결과도 있다(Ellison, 201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원수 탁도와 수문자료간의 주성분분석을 수행하고, 탁도와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는 수문자료를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충주정수장 원수탁도의 통계분석을 위해서 사용된 수문자료는 충주댐의 유입량과 방류량, 강우량, 수온, pH, 수위, 알카리도,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장래의 원활한 용수공급과 정수장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설계·유지·관리를 위해서 수원의 탁도와 수문자료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 그 중에서 팔당댐의 경우에는 총 8개의 정수장으로 도수되어 정수한다. 본 연구에서는 충주댐을 취수원으로 하는 충주정수장과 팔당댐을 취수원으로 하는 와부정수장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한강유역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204개 강우관측소의 티센망(Thiessen network)을 구축한결과, 취수원인 충주댐과 팔당댐은 충주 강우관측소와 팔당댐 강우관측소 구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 (2008)은 탁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강우강도와 강우지속시간을 대상으로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등 통계학적 기법을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이 연구에서는 강우특성에 따른 하천의 탁도예측을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고 강우에 따른 하천의 탁도와의 유의미한 상관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 유역에서 홍수기 탁수발생에 대하여 사전대비책을 마련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탁수의 발생은 저수지와 하천에서의 수질의 악화로 이어지며, 또한 수질의 악화로 인한 생태계와 자연경관의 훼손, 그리고 이러한 탁수를 저감하기 위한 수처리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국내의 강우 특성상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홍수기의 탁수의 발생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댐 유역에서는 이러한 홍수기 탁수발생에 대하여 사전에 대비책을 마련해야 한다.
소양호 저수지의 수자원관리 현황은 어떠했는가? 일례로 소양호 저수지는 2005년까지 30 NTU (Nephelo- metric Turbidity Unit)이상의 방류가 연중 1∼2개월 정도였고, 최고 탁도도 79 NTU 정도였으나, 태풍 에위니아의 영향으로 방류수 최고 탁도가 328 NTU를 기록하였으며, 고탁수 조기배제중심의 댐 운영에도 불구하고 2006년 7월에서 2007년 2월까지 약 8개월간 탁수가 지속된 바 있다. 또한 낙동강유역의 임하댐의 경우 2001년 이전까지는 30 NTU 이상의 탁수발생일수(방류수기준)가 1∼3개월 이내였고, 최고 탁도는 248 NTU를 기록하였다.
탁수의 발생이 초래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이러한 탁수의 발생은 저수지와 하천에서의 수질의 악화로 이어지며, 또한 수질의 악화로 인한 생태계와 자연경관의 훼손, 그리고 이러한 탁수를 저감하기 위한 수처리비용의 증가로 이어진다. 또한 국내의 강우 특성상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홍수기의 탁수의 발생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WWA(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2012). Water treatment plant design(5rd edition). 

  2. Choi, H.K., Kim, J.O., Oh, K.H., and Park, S.J. (2008).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ver turbidity by the rainfall properties in the watershed of highland-agriculture." Journal of KOSHAM, KOSHAM, Vol. 8, No. 3, pp. 123-128. 

  3. Chung, S.W., Lee, J.H., Lee, H.S., and Maeng, S.J. (2011). "Uncertainty of discharge-SS relationship used for turbid flow modeling." Journal of KWRA, KWRA, Vol. 44, No. 12, pp. 991-1000. 

  4. Elfimov, V.I., and Khakzad, H. (2014). "Evaluation of flow regimes of turbidity currents entering Dez reservoir using extended shallow water model." Water Science and Engineering, ELSEVIER, Vol. 7, No. 3, pp. 267-276. 

  5. Ellison, C.A., Kiesling, R.L., and Fallon, J.D. (2010). "Correlating streamflow, turibidity, and suspended-sediment concentration in Minesota's Wild Rive river." Proceedings of 2nd Joint Federal Interagency Conference, Las Vegas, USA. 

  6. Frederick, N.F., and Wu, C.W. (2010). "Reducing the impacts of flood-induced reservoir turbidity on a regional water supply system." Advances in Water Resources, ELSEVIER, Vol. 33, pp. 146-157. 

  7. Hu, P., Cao, Z., Pender, G., and Tan, G. (2012). "Numerical modelling of turbidity currents in the Xiaolangdi reservoir, Yellow river, China."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464-465, pp. 41-53. 

  8. Jeong, D.K., and Lee, B.H. (2010). "Development of urban flood water level forecasting model using regression method." Journal of KWRA, KWRA, Vol. 43, No. 2, pp. 221-231. 

  9. JWWA(Japan Water Works Association) (2012). Design guideline of water supply facility. 

  10. Kim, G.B., Son, Y.C., Lee, S.H., Jeong, A.C., Cha, E.J., and Ko, M.J. (2012). "Understanding of surface water-groundwater connectivity in an alluvial plain using statistical methods."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The Kore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Vol. 22, No. 2, pp. 207-221. 

  11. Kim, W., Kim, J., Park, B., Park, S., Song, M., Lee, S., Lee, Y., Jeon, J., and Jo, S. (2006). Presence Statistics, Youngji publishers. 

  12. Kottegoda, N.T., and Rosso, R. (1997). Statistics, probability, and reliability for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s. McGraw-Hill, United State of America. 

  13. KWWA(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2010). Water supply facilities standard 

  14. Lee, H.W., Kim, E.J., Park, S.S., and Choi, J.H. (2015).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movement of turbidity flow in a stratified reservoir." Water Resources Management, Springer, Vol. 29, No. 11, pp. 4095-4110. 

  15. Rajaee, T., Mirbagheri, S.A., Kermani, M.Z., and Nourani, V. (2009). "Daily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simulation using ANN and neuro-fuzzy model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ELSEVIER, Vol. 407, pp. 4916-4927. 

  16. Yang, T.M., Fan, S.K., Fan, C., and Hsu, N.S. (2014). "Establishment of turbidity forecasting model and early-warning system for source water turbidity management using back-propag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algorithm and probability analysis." Environ Monit Assess, Springer, Vol. 186, pp. 4925-4934. 

  17. Yum, K.T., Ban, Y., and Kim, Y. (2008). "Current turbid water management and improvement direction at reservoir in Korea" Water for future, KWRA, Vol. 41, No. 7, pp. 35-42. 

  18. Ziegler, A.D., Benner, S.G., Tantasirin, C., Wood, S.H., Sutherland, R.A., Sidle, R.C., Jachowski, N., Nullet, M.A., Xi, L.X., Snidvongs, A., Giambelluca, T.W., and Fox, J.M. (2014). "Turbidity-based sediment monitoring in northern Thailand: Hysteresis, variability, and uncertainty."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Vol. 519. pp. 2020-20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