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김치 저장 중 N-Nitrosodimethylamine 생성에 배추 내 아질산염과 질산염 함량의 영향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Contents of Chinese Cabbage on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during Storage o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 2016년, pp.117 - 125  

강경훈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하은선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성낙주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정균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해양산업연구소) ,  김성현 (세계김치연구소) ,  김상현 (경상대학교 수의학과) ,  정미자 (광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질산염과 dimethylamine(DMA)은 발암물질인 N-nitrosodimethylamines(NDMA)의 직접적인 전구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질산염과 질산염 함량이 다른 배추가 김치 저장 중에 NDMA, 아질산염, 질산염 그리고 DMA 함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배추 1(HNC), 배추 2(MNC) 그리고 배추 3(LNC)의 아질산염 농도는 각각 $47.54{\pm}1.07$, $10.12{\pm}0.31$ 그리고 $6.10{\pm}0.09mg/kg$이었다. 김치는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즉 HNC를 사용하여 제조한 HNK, MNC를 사용하여 제조한 MNK 그리고 LNC를 사용하여 제조한 LNK이다. HNK는 저장 10일과 20일째 아질산염과 질산염 수준이 MNK와 LNK의 그것들보다 더 높았다. 모든 김치에서 DMA와 NDMA 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HNK는 저장 20일까지 LNK보다 높은 NDMA 함량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배추의 아질산염과 질산염의 함량이 김치 내 NDMA 형성에 현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itrite and dimethylamine (DMA) are the immediate precursors of carcinogenic N-nitrosodimethylamine (NDM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trite and nitrate contents in Chinese cabbage on changes in NDMA, nitrite, nitrate, and DMA contents during storage of kimchi. Contents of nitrite i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더하여 질산염은 아질산염으로 환원될 수 있으므로 배추와 무의 질산염의 함량도 NDMA 생성에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치 내 NDMA 생성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이 다른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담았고, 김치 숙성 및 저장 중 NDMA, 아질산염, 질산염 및 DMA 함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력한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는 N-nitrosodimethylamines가 김치에서 형성 될수 있는 요인은? 김치는 주재료인 배추와 무를 절인 후 젓갈, 고추, 마늘, 생강, 파 등의 양념으로 버물려 숙성시킨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배추김치 섭취량은 70 g 정도로 알려져 있다(5).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는 다량의 젓갈을 김치의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새우 젓과 멸치젓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데 이들 젓갈들에는 다량의 아민류 특히 DMA가 함유되어 있어, 김치 숙성 중에 pH 가 산성 조건이 되거나 김치를 섭취한 후 위 내 산성 조건에 도달하게 되면 배추에 함유된 아질산염과 젓갈에 함유된 DMA가 반응하여 NDMA를 형성할 수 있다(2). 한국인이 매일 섭취하는 김치에 강력한 발암물질인 NDMA 생성 가능성이 있다면 시판되는 김치의 모니터링, NA 생성 원인, NA 생성 저감화 기술 개발 등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안정성이 확보된 김치를 제공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과 국내 김치 시장 활성화 및 중국 김치보다 안전성에서 우위를 확보하여 세계시장으로 김치 수출 확대 등과 같은 성과를 얻어야 할것이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섭취하는 방법은? 다양한 식품에서부터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섭취할 수 있는데 그중에서 야채가 가장 주된 섭취원이고 특히 한국인이 부식으로 식사 때마다 자주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에는 다량의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함유되어 있다. 배추의 질산염 함량은 평균 2,871.
김치란? 김치는 주재료인 배추와 무를 절인 후 젓갈, 고추, 마늘, 생강, 파 등의 양념으로 버물려 숙성시킨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으로 국민 1인당 하루 평균 배추김치 섭취량은 70 g 정도로 알려져 있다(5).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와 무는 질산염과 아질산염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전라도, 경상도 등에서는 다량의 젓갈을 김치의 부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o SA, Kim EH, Han SH, Yuk DH, Kim JH, Park SG. 2010. Analysis of nitrite contents of agricultural products by HPLC-UV.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335-1339. 

  2. Chung MJ, Lee SH, Sung NJ. 2002. Inhibitory effect of whole strawberries, garlic juice or kale juice on endogenous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humans. Cancer Lett 182: 1-10. 

  3. Sohn SM, Oh KS. 1993. Influence of nitrogen level on the accumulation of $NO^{3-}$ o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radish and cucumber. J Korean Soc Soil Sci 26: 10-19. 

  4. Sohn SM, Oh KS. 1993. Study on utility of nitrate content in edible parts of crops as an indicator of simplified judgment for superior agricultural products by low nitrogen input. Korea J Organic Agriculture 2: 2-15. 

  5. Kim EK, Park YK, Ju SY, Choi EO. 2015. A study on the kimchi consumption of Korean adults: using Korea National Health and Na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J Korean Soc Food Cult 30: 406-412. 

  6. Seo J, Lim H, Chang YH, Park HR, Ham BK, Jeong JK, Choi KS, Park SB, Choi HJ, Hwang J. 2015. Effect of Jeju Citus unshiu peel extracts before and after bioconversion with cytolase on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331-337. 

  7. Kim JD, Lee OH, Lee JS, Jung HY, Kim B, Park KY. 2014.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s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207-1216. 

  8. Raikos N, Fytianos K, Samara C, Samanidou V. 1988.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techniques for nitrate determination in environmental water samples. Fresenius Z Anal Chem 331: 495-498. 

  9. Dyer WJ, Mounsey YA. 1945. Amines in fish muscle: II. Development of trimethylamine and other amines. J Fish Res Board Can 6: 359-367. 

  10. Gou J, Lee HY, Ahn J. 2010. Effect of high pressure processing on the quality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od Chem 119: 471-476. 

  11. Jo CH, Park HR, Kim DS, Lee KH, Kim M. 2010. Exposure assessment of N-nitrosamines in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41-548. 

  12. Lee EH, Lee MJ, Song YO. 2012. Comparison of fermentation properties of winter kimchi stored for 6 months in a kimchi refrigerator under ripening mode or storage mod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19-1625. 

  13. You BR, Kim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llium hookeri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649-1655. 

  14. Park KY, Cheigh HS. 1992. Kimchi and nitrosamines. J Korean Soc Food Nutr 21: 109-116. 

  15. Lee EH, Kim SK, Jeon JK, Chung SH, Cha YJ. 1982. Nitrate and nitrite content of some fermented sea foods and vegetables. Bull Korean Fish Soc 15: 147-153. 

  16. Mirvish SS. 1970. Kinetics of dimethylamine nitrosation in relation to nitrosamine carcinogenesis. J Natl Cancer Inst 44: 633-639. 

  17. Mirvish SS, Wallcave L, Eagen M, Shubik P. 1972. Ascorbate-nitrite reaction: possible means of blocking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N-nitroso compounds. Science 177: 65-68. 

  18. Ko JL, Oh CK, Oh MC, Kim SH. 2009.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892-901. 

  19. Nowak A, Kuberski S, Libudzisz Z. 2014.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detoxify N-nitrosodimethylamine. Food Addit Contam Part A 31: 1678-1687. 

  20. Baek HH, Kwon HJ, Choi SH, Lee KW. 2010. Safety of food additives. Korea Food Safety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