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에 대한 성인 기호도 조사
Survey on Menu Preferences of Adults for Korean Food Made from Korean Traditional Sauc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1, 2016년, pp.126 - 136  

부고운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배현주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전국의 성인남녀 총 962명을 대상으로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 65종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은 메뉴는 돼지갈비찜,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불고기, 떡갈비 순이었고,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낮은 메뉴는 가지나물, 오징어무국, 우엉조림, 도라지오이생채, 마른새우볶음 순이었다. 그리고 여자의 기호도가 남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잡채, 도토리묵무침, 궁중떡볶이, 탕평채, 비빔밥, 쇠고기미역국, 숙주나물, 닭찜, 아귀찜이었고, 남자의 기호도가 여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더덕구이, 동태찌개, 고추장찌개, 추어탕, 콩비지찌개 등 총 19종이었다. 또한 2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 높은 메뉴는 콩나물국이었고 20세 이상에서 3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육원전이었다. 한편 40세 이상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갈치조림, 더덕구이, 조기양념구이, 동태찌개, 추어탕 등 총 15종이었다. 그리고 생산 서비스직군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동태찌개, 추어탕, 북어구이, 북어찜, 북어국, 가지나물, 조기양념구이였고, 사무 전문직군과 학생직군은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닭찜, 비빔국수, 육원전, 궁중떡볶이, 순두부찌개, 잡채, 탕평채, 비빔밥, 오징어볶음의 기호도가 생산 서비스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저나트륨 한식 메뉴 조리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식 외식업체의 식단 개발 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menu preferences of adult customers for Korean food made from Korean traditional sauces. A total of 962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 (ver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나트륨 한식 메뉴 조리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국 음식에 대한 우리나라 성인 남녀의 기호도를 조사·분석하고 이 결과를 활용하여 기호도가 높은 한식 메뉴로 구성된 급식 식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장류 시장 규모 현황은?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발효음식인 장류의 제조 기술이 발달하였고 여러 가지 음식의 간을 맞추고 음식의 색을 낼 때뿐만 아니라 감칠맛을 내는 조미료로 장류를 널리 사용해왔 다(1,2). 최근 우리나라 장류 시장 규모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출하액 기준으로 총 장류 시장 규모는 약 9,800억 원대로 이 중 고추장이 약 3,000억 원, 된장이약 1,500억 원, 간장이 약 2,800억 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3). 향후 여성의 사회진출이 더욱 증가하고, 핵가족화·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주거공간의 현대화 등의 요인으로 직접 장류를 담그는 가정이 줄어들면서 시판 장류의 이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
시판 장류의 이용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우리나라 장류 시장 규모는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2년 출하액 기준으로 총 장류 시장 규모는 약 9,800억 원대로 이 중 고추장이 약 3,000억 원, 된장이약 1,500억 원, 간장이 약 2,800억 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3). 향후 여성의 사회진출이 더욱 증가하고, 핵가족화·1인 가구의 증가와 더불어 주거공간의 현대화 등의 요인으로 직접 장류를 담그는 가정이 줄어들면서 시판 장류의 이용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4).
한식 중 나트륨의 주요 급원 식품은? 5 mg으로 세계보건기구의 1일 나트륨 권장섭취량인 2,000 mg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나트륨의 주요 급원식품은 소금, 배추김치, 간장, 된장, 라면, 고추장 순으로 높았고 이들 6가지 식품으로부터의 나트륨 섭취량이 전체 섭취량의 59.7%였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Park GS. 2004. Cookwise approach of slow food: focused on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317-334. 

  2. Kim JH. 2012. A study on th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and soybean paste products in Seoul and Gyeonggi-do. Korean J Nutr 45: 577-587. 

  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Processed food market report: Korean sauce.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Seoul, Korea. p 1-104. 

  4. Kim NY, Han MJ. 2007. Recogni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of traditional doenjang and soy sauce housewives according to age in Seoul.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67-876.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buk, Korea. p 3-761. 

  6.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M, Lee YK. 2010.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Korean J Nutr 43: 79-85. 

  7. Lim HS, Ko YS, Shin D, Heo YR, Chung HJ, Chae IS, Kim HY, Kim MH, Leem DG, Lee YK. 2013.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303-1317. 

  8. Seo KH, Lee S, Sh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715-722. 

  9. Jung HY, Jeon ER. 2011. Preference for Korean food and satisfaction of dormitory foodservice by Chinese students studying at Mokpo national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83-289. 

  10.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 801-807. 

  11. Hong H,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focused on the staple food and snack. Korean J Nutr 39: 699-706. 

  12. Hong H, Kim JY,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focused on side dishes. Korean J Nutr 39: 707-713. 

  13. Kim HY. 2007. Food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f men working at industry.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14. Han HM, Choi IS, Jung BM. 2009. Food and meal preference of workers in the Chonnam Yeosu industri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 392-405. 

  15. Baek OH, Kim MY, Lee BH. 2007. Menu satisfaction survey for business and industry foodservice workers -focused on food preferences by gender-. Korean J Food Culture 22: 511-519. 

  16. Park NE. 2011. A study on meal menu preference for industrial workers in Jeonbuk area.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Iksan, Korea. 

  17. Kang SE. 2013. Korean dish for four season. Naneunbook, Seoul, Korea. p 9-283. 

  18. Kim BJ, Park SW, Park CR, Kim HJ. 2001.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foods. Hyungseul Publisher, Seoul, Korea. p 5-283.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8. Korean traditional local foods 1. daily food. Kyomunsa, Paju, Korea. p 2-441.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3. Korean cuisine with traditional various sauces. Modernplus, Seoul, Korea. p 6-221. 

  21. Bae YJ. 2011. Korean food story. Baeksan Publisher, Seoul, Korea. p 4-251. 

  22. Park SR. 2013. Healthy Korean foods. Woongjin Living House, Seoul, Korea. p 10-271. 

  23. Mook Editorial Department. 2001. Korean foods. Woongjin Co., Seoul, Korea. p 10-237. 

  24. Yoon SS. 2002. Korean foods: history and recipe. Soohaksa, Seoul, Korea. p 3-455. 

  25. Yum CA, Jang MS, Yoon SJ. 1993. Korean food. 2nd ed. Hyoil Munhwasa, Seoul, Korea. p 17-394. 

  26. Jang SY. 2002. Korean menu for home cooking. The Dong-A Ilbo, Seoul, Korea. p 8-273. 

  27. Cho CS, Han KS, Son JW, Jang JO, Choi YJ, Cha GH, Hong SA, Beak SE, Ahn SJ, Kim TH, Park KM, Lee CJ, Kim KJ, Paik JE, Kim GY, Han YS, Chung RW, Son HS, Yum CA, Heo JO. 1999. Staple food, seasonings, garnishing, side dishes, and seasoned green. In Comprehensive Compilation of Korean Food. Hollym Publisher, Seoul, Korea. Vol 2, p 11-579. 

  28. Choi EH, Park KA, Oh BH, Lee YH, Lee JH, Choi SN, Han GS. 2010. The aesthetics of Korean foods. Baeksan Publisher, Seoul, Korea. p 3-383. 

  29. Hong JS, Park HW, Park RS, Myung CO, Shin MH, Choi EJ, Yoon OH, Yoon JY, Shin EC, Jung HJ, Shin ET. 2012. Traditional Korea cuisine. Kyomunsa, Paju, Korea. p 2-235. 

  30. Hwang HS, Han BR, Han BJ, Chung LN. 2010. Korea traditional foods written by three generations. Kyomunsa, Paju, Korea. p 2-401. 

  31. Institute of Traditional Korea Food. 2008. 300 kinds of Korean foods. Jeelsiroo, Seoul, Korea. p 12-389. 

  32. Jeon HJ. 2011. The dictionary of Korean food terminology. Kyomunsa, Paju, Korea. p 1-390. 

  33. The Korea Foundation. 2003. Korean food guide in English. Cookand, Seoul, Korea. p 28-129. 

  34. Kim JS, Jeong SH. 2004.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 by 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529-541. 

  35. Yoon HR. 2005. The study of dinning-out behavior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s by age groups. Korean J Food Culture 20: 608-614. 

  36. Lee JE, Kim HK. 1996. Food preferences of men working at industry in Ulsan area. J Korean Diet Assoc 2: 141-157. 

  37. Lee KA, Jeong BY, Moon SK, Kim IS, Nakajima S, Nakamura S. 2010. Comparisons of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19-1626. 

  38.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2001.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75-1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