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음수련 명상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암 생존자의 삶의 질, 삶의 만족, 삶의 기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Mind 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ncy of Satisfactory Life in Cancer Survivors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2 no.2, 2016년, pp.87 - 95  

김명숙 (성신여자대학교 간호대학) ,  최은희 (가톨릭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윤미라 (중앙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 community-based Mind 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for cancer survivors and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on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ncy of satisfactory life in cancer survivors. Methods: This study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또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암 생존자의 주관적 경험과 요구를 확인하여 향후 지역사회 암 생존자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으로서 명상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급성기 임상 환경이 아닌 지역사회의 장기 암 생존자들에게 지역사회 기반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효과를 보고하였다. 급성기 임상 환경을 떠난 암 생존자들은 장기 생존기에 접어들면서 정신, 신체, 사회, 영적 영역의 다양한 문제들을 경험하지만 이를 해소할 만한 마땅한 건강자원이 부족하여 의료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6].
  • 본 연구는 암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원시 실험 연구로서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설계(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암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한 연구이다. 본 연구 결과 명상 프로그램 참여 후 지역사회 암 생존자들의 신체적 삶의 질과 삶의 기대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 생존자를 위한 지역사회 기반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또 명상프로그램에 참여한 암 생존자의 주관적 경험과 요구를 확인하여 향후 지역사회 암 생존자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으로서 명상이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음수련 명상을 지역사회 암 생존자의 특성에 맞게 구성하고 접근성이 용이한 공공의료기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형태로 개발하여 그 효과를 보고자 한다. 명상은 꾸준한 훈련을 통해서 긍정적 결과를 달성할 수 있는 자가심리치료[23]라는 점에서 전문 인력이 부족한 지역사회에서 증가하는 암 생존자의 건강문제를 해소하는데 활용될 가치가 있으며, 암 생존자의 의료 사각화 문제를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표본수가 작고 단일군 전.후 설계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 생존자의 의미는 어떻게 변화했는가? 이와 같이 암 발생률과 암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암 생존자들의 효과적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암 생존자란 기존에는 암 치료 이후 재발이나 전이의 증거 없이 5년 이상 생존한 사람을 의미했었으나, 1986년 미국 국립 암극복 연합(National Coalition for Can-cer Survivorship)에서는 암 진단 후 생존해 있는 모든 사람이라고 정의하였고, 가족, 친구, 그리고 돌봄 제공자까지 포함시키는 확대된 개념을 제안하였다[2]. 즉, 급성기뿐만 아니라 암 치료 이후의 생존자를 모두 포함한 장기적인 관리를 강조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은 어떻게 변화했는가? 우리나라의 암 발생률은 1999년 인구 10만 명당 219.9명에서 2013년에는 311.6명으로 연평균 3.3% 증가하였으며, 암 생존율도 2009-2013년에는 69.4%로, 1993~1995년 대비 28.2%나 증가했다[1]. 이와 같이 암 발생률과 암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암 생존자들의 효과적 건강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암의 치료 이후 후유증에 대한 대책은 무엇이 필요한가? 현재 국내 의료전달체계는 암의 진단 및 치료 등 급성기 암 생존자 중심으로 많은 인력과 자원이 집중되어 있고, 치료 이후 후유증을 안고 살아가야 할 암 생존자에 대한 의료전달체계는 단절되어 있고 건강관리 서비스가 매우 제한적이다[6]. 따라서 병원 중심의 급성기 치료 이후 의료의 사각지대에 놓인+ 지역사회 암 생존자의 건강문제를 해소하고 삶의 질을 개선해 줄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Cancer Survivor Rate. Ilsan; 2016 [cited 2016 August 1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 cancer_040301000000. 

  2. Lee JE, Shin DW, Cho BL. The current status of cancer survivorship care and a consideration of appropriate care model in Korea.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4;10(2):58-62. 

  3. Kang JI, Kim JH, Kim JH, Kim JN, Kim TS, Kim HG, et al. Recommendation for distress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National Cancer Control Planning Report. Goyang City.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08 June. Report No: version 1.0. 

  4. Singer S, Das-Munshi J, Brahler E. Prevalence of mental health conditions in cancer patients in acute care-a meta-analysis. Annals of Oncology. 2010;21(5):925-930. http://dx.doi.org/10.1093/annonc/mdp515. 

  5. Shin HW, Noh DY, Lee ES, Nam SJ, Park BW, Ahn SH, et al. Correlates of existential well-being and their association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mpared with the general population.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09;118(1):139-150. http://dx.doi.org/10.1007/s10549-009-0326-0. 

  6. Park JH. The management system for cancer survivors. In: Suh HG, Park JH, editors. Cancer Survivorship. Ilsan: National Cancer Center: 2013. p.423-435. 

  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editation. 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Internet]. Bethesda: United States; [cited 2016 October 28]. Available from: https://nccih.nih.gov/sites/nccam.nih.gov/files/Meditation_04-25-2016. 

  8. Jeong JY, Kim JH, Kim M, Kim JI.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Hwa-Byung symptoms, stress and coping styl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15;23(2):15. 

  9. Woo M. Heaven's formula for saving the world. Seoul: Cham Books: 2005. p.280-283. 

  10. Woo M. Stop living in this land, go to the everlasting world of happiness, live there forever. Seoul: Cham Books: 2011.p.223-225. 

  11. Yun MR, Choi EH, Kim KA. Effect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response of adults with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Wellness. 2015;10(3):109-121. 

  12. Yun MR. Effects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breast cancer survivors' psychological well-being[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13. Kim MH, Lee IS, Yoo YG.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and happiness of the undergraduates. Journal of Human Completion. 2013;5:33-55. 

  14. Yun MR, Yoo YG, Choi EH, Kim KA.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mental health of adults with mental illness. Journal of Human Completion. 2012;4:101-132. 

  15. Lee IS.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teachers. Journal of Human Completion. 2010;2:49-51. 

  16. Kim SD.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stress, acceptance, quality of lif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breast cancer patients[master's thesis]. Seoul: Duksung Women's University; 2013. 

  17. Lengacher CA, Johnson-Mallard V, Post-White J, Moscoso MS, Jacobsen PB, Klein TW,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for survivors of breast cancer. Psycho-Oncology. 2009;18(12):1261-1272. 

  18. Witek-Janusek L, Albuquerque K, Chroniak KR, Chroniak C, Durazo-Arvizu R, Mathews HL. Effect of mindfulness based stress reduction on immune function, quality of life and coping in women newly diagnosed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ain, behavior, and immunity. 2008;22(6):969-981. http://dx.doi.org/10.1016/j.bbi.2008.01.012. 

  19. Carlson LE, Garland SN. Impact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MBSR) on sleep, mood, stress and fatigue symptoms in cancer out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5;12(4):278-285. 

  20. Bower JE, Crosswell AD, Stanton AL, Crespi CM, Winston D, Arevalo J, et al. Mindfulness meditation for younger breast cancer survivo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ancer. 2015;121(8):1231-1240. 

  21. Kim JH.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expectancy and stress/well-being: an application of motivational states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7;12(2):325-345. 

  22. Dunn J, Ng SK, Breitbart W, Aitken J, Youl P, Baade PD, et 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trajectories of adjustment.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3;11(1):46. http://dx.doi.org/10.1186/1477-7525-11-46. 

  23. Kim JH. A Psychological examination of Vipassana Meditation. Duksung Journal Social Sciences. 1996;4:26. 

  24. Kim H, Yoo H, Kim Y, Han O, Lee K, Lee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1):215-229. 

  25. Diener E, Emmons RA, Larsen RJ, Griffin 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5;49(1):71-75. 

  26. Jo MH, Cha KH. Cross-country comparisons on quality of life. Seoul: Jip-Moon. 1998.p.80. 

  27. Kwon SS, Im JS, Lee HY. The management of cancer survivors utilizing comminity resources. In: Suh HG, Park JH, editors. Cancer Survivorship. Ilsan: National Cancer Center: 2013.p.436-4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