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뢰탐지용 48채널 배열 UWB 임펄스 레이더 방식 지면투과레이더시스템 개발
Ground Penetrating Radar System for Landmine Detection Using 48 Channel UWB Impulse Rada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3 no.12 = no.469, 2016년, pp.3 - 12  

권지훈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곽노준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  하성재 (한국폴리텍대학교 정보통신시스템 대전캠퍼스) ,  한승훈 (한화시스템 레이다연구소) ,  윤여선 (한화시스템 레이다연구소) ,  양동원 (국방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지뢰탐지용 48채널 배열 UWB 임펄스 레이다 방식의 지면투과레이다 구현과 시험에 대해 기술한다. 지면투과레이더는 기존 금속탐지기의 한계인 비금속 지뢰 탐지의 어려움과 매질 내 금속 성분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오경보 문제점을 극복한다. 본 논문에서는 펄스폭이 600ps 급인 미세한 모노싸이클(Monocycle) 펄스 파형을 사용해, 높은 해상도의 지뢰 전자파 영상을 제공토록 시스템을 구현한다. 특히 신호처리를 통해 지뢰가 매설된 지점을 자동으로 추정하고, 해당 지점에서의 분할된 상세 지뢰 전자파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기준 성능 분석을 위해 한국 대표 토양인 거친 사양토를 사용한 실내 시험장을 구축하고, 시험장 내의 자동화된 측정 플랫폼에 구현한 레이다를 장착하여 영상 획득 및 탐지심도 분석 등의 시험을 수행한다. 지뢰는 비무장 지대에 매설된 지뢰와 동일한 형태의 모형 지뢰를 사용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the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ystem using UWB impulse radar with 48 Channel array. GPR is an effective alternative technology to resolve th disadvantages of metal detectors. Metal detectors have a very low detection probability of non-metallic landmine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지뢰탐지용 48채널 배열 UWB 임펄스 레이더의 시스템, 하드웨어, 신호처리 및 시험/분석에 관해 기술하였다. 특히 기준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대표 토양을 사용한 전용 실내 시험장 내에서 시험을 수행하였고, 비무장 지대에 매설된 지뢰와 동일한 모형 지뢰를 매설하여, 지뢰 전자파 영상을 획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브 나노초 이하의 임펄스 파형을 사용하는 초광대역 임펄스 레이더를 다룬다. 특히 Single Channel 또는 수 채널 수준의 배열 레이더를 구현한 기존 연구[7~11]와 달리, 채널 간섭을 극복토록 설계한 48채널 배열 임펄스 레이더 지뢰탐지 시스템을 구현하고, 지뢰 전자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대역 FMCW 레이더 방식의 장점은 무엇인가? 초광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은 광대역 FMCW 레 이더 방식과 임펄스(Impulse) 레이더 방식 등으로 구현한다. 광대역 FMCW 레이더 방식은 광대역 Chirp 신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평균송신출력을 높게 사용할 수있기 때문에 탐지거리에 이점을 갖는다. 하지만, 광대역 대역폭을 지원하는 선형 신호생성기 구현이 어렵고, 특히 주파수 변조를 위한 스윕 시간(Sweep time)이 요구 되므로, 탐지 속도에 제약을 받는다.
금속탐지기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가? 전통적 지뢰탐지장치는 금속탐지기(자성센서, Metal detector)를 이용하였다. 금속탐지기는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금속 물질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개발이 쉽고, 비용이 낮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개발 및 활용 되고 있다 [2~3] .
지면투과레이더의 한계는 무엇인가? 한편, 전자파 신호를 송수신하여 지하 내에 매설된 물질 또는 단층 등을 탐지하는 지면투과레이더(지하투과레이더 또는 지하탐사레이더 등, Ground penetrating radar)가 개발되어 지뢰탐사에 활용되고 있다 [2~5] . 그러나 사용 주파수에 따라 전자파의 매질 투과율이 다르기 때문에, 매질에 따라 성능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3~4] .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초광대역레이더(Ultra wideband Radar)의 기술을 접목한 광대역 지면투과레이더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6~10]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A Study on Making Law on Landmine Removal Project for Private Businesses, 2007 

  2. Gooneratne, C. P., S. C. Mukhopahyay, and G. Sen Gupta. "A review of sensing technologies for landmine detection: Unmanned vehicle based approach."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utonomous Robots and Agents, Palmerston North, New Zealand. 2004. 

  3. Siegel, Rob. "Land mine detection." Instrumentation & Measurement Magazine, IEEE 5.4, pp. 22-28, 2002 

  4. MacDonald, Jacqueline, et al., Alternatives for landmine detection, No. RAND/MR-1608-OSTP. RAND CORP SANTA MONICA CA, 2003. 

  5. Ivashov, S. I., et al. "A review of the remote sensing laboratory's techniques for humanitarian demining."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quirements and Technologies for Detection, Removal and Neutralization of Landmines and UXO, Brussels, Belgium. Vol. 1. 2003. 

  6. Daniels, David J., Ground penetrating radar, John Wiley & Sons, Inc., 2005. 

  7. Yarovoy, Alexander G., et al. "UWB array-based sensor for near-field imaging." Microwave Theory and Techniques, IEEE Transactions on 55.6, pp. 1288-1295, 2007 

  8. Yarovoy, Alexander, et al. "UWB array-based radar for landmine detection." Radar Conference, 2006. EuRAD, 2006. 

  9. Gonzalez-Huici, Maria A., Ilaria Catapano, and Francesco Soldovieri. "A comparative study of GPR reconstruction approaches for landmine detection."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IEEE Journal of 7.12, pp. 4869-4878, 2014 

  10. Ji-Hoon Kwon, Dong-Hyun Kim, Seoung-Hoon Han, "Research to synthesize landmine GPR image using UWB impulse signal", IEIE Conference 2014, pp. 466-467, 2014.6 

  11. Savelyev, Timofey, Alexander Yarovoy, and Leo Ligthart. "Experimental evaluation of an array GPR for landmine detection." Microwave Conference, 2007. European. IEEE, 2007. 

  12. Jol, Harry M., ed. Ground penetrating radar theory and applications. elsevier,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