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주관적 인식유형 : Q방법론의 활용
The Social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 Type on the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 Application of Q-Methodolog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1, 2016년, pp.384 - 398  

정현태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염동문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임채영 (한국국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Q방법론을 이용하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여 청소년의 학교폭력과 관련된 31개의 Q표본을 선정하여 33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에게 분류표를 작성한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비전문적인식 부모 개선형', 제2유형은 '소극적인식 책임 모호형', 제3유형은 '전문적인식 책임 부재형'으로 명명되었다. 이러한 유형은 전반적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가로서 직접적인 개입을 원하나 현실적인 개입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향후 청소년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며, 학교에서는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학교폭력에 대한 인식과 유형화를 통한 예방과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school social workers recognize on the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s by using Q methodology. To this study, selected 31 of Q samples related school violence of adolescent by applying Q methodology and 33 of socials workers completed classification tabl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폭력이 피해자에게 끼치는 영향은? 학교폭력은 학교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학교폭력은 피해자가 되는 학생들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피해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자살충동 등 극단적 사고와 행동으로 상당수의 청소년들이 고통을 겪고 있다[6]. 그러나 학교폭력에 대한 영향의 정도는 개인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피해 학생들 중에는 극단적인 행동을 하지 않고도 견뎌내는 학생들이 있다.
Olweus가 정의한 학교폭력은 무엇인가? 청소년의 폭력은 성인의 폭력과 상이하게 정의되어진다. Olweus(1996)는 학교폭력을 한 명 혹은 여러 명의 학생의 지속적·반복적인 행동이라고 정의하고 있다[28]. 또한 장소적인 측면에서 Muuss(1996)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폭력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도 일어나는 폭력이라도 그것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면 학교폭력으로 보아야 한다고 광의적인 개념을 주장하였다[5][29].
학교폭력의 심각성은 어떤 형태로 제시 되고 있는가? 그리고 학교폭력은 그 심각성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즉, 집단따돌림과 금전갈취, 신체적 폭력과 정신적 폭력 등 폭력의 범위가 광범위한 상황에 놓여있다[4][5].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학교에 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9)

  1. 한국교육개발원, 학교폭력실태조사, 2013. 

  2.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전국 학교폭력실태조사, 2013. 

  3. 김은영, 학교분위기가 중학생의 학교폭력과 등교공포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4. 성민선, 이상균, "청소년 폭력과 학교환경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학교사회복지, 제3권, pp.223-249, 2000. 

  5. 조석제, 학교폭력 가해학생 및 피해학생에 대한 NLP상담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6. 백동현, 학교폭력 피해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위한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7. 배준우,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8. 홍봉선, 남미애, 학교사회복지론, 고양: 공동체, 2009. 

  9. 주석진, 조성심, 라미영, 방진희, 엄경남, 이종익, 전구훈, 학교사회복지론, 서울: 양서원, 2013. 

  10. 한인영, 홍순례, 김혜란, 학교와 사회복지실천, 서울: 나남출판사, 2004. 

  11. 김애정, 학교폭력의 사회복지적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2. 남상임, "청소년 학교폭력 실태 및 대처방안," 21 세기사회복지연구, 제5권, 제1호, pp.101-115, 2009. 

  13. 김진이,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법의 사회복지적 성격 고찰, 서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4. 이인곤, "학교폭력예방 및 효율적 대처방안을 위한 회복적 사법의 실천," 가천법학, 제8권, 제3호, pp.185-216, 2015. 

  15. 오병호, 이상구, "지역사회에서 청소년 학교폭력의 예방과 대책에 관한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9권, 제2호, pp.231-252, 2012. 

  16. 정재준,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한국.일본의 비교법적 연구," 법학연구, 제53권, 제2호, pp.79-108, 2012. 

  17. 이현승, "한중일 3국의 학교폭력에 대한 비교," 법학연구, 제61권, pp.143-165, 2016. 

  18. 정재준, "미국의 학교폭력 방지대책," 법학연구, 제53권, 제1호, pp.529-571, 2012. 

  19. 이성순, 강민완, 김종열,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현실적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안전학회, 제8권, 제2호, pp.9-14, 2012. 

  20. 박현정, "학교폭력의 예방과 재범방지를 위한 대책," 법학논총, 제21권, 제2호, pp.463-490, 2014. 

  21. 박영남, 정저완, 김유정,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제11권, 제1호, pp.9-22, 2015. 

  22. 김은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 정립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23. 이희정, 학교사회복지의 제도화 방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원논문, 2003. 

  24. 안윤숙, 김흥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실천과제," 인문사회과학연구, 제14권, 제2호, pp.387-413, 2013. 

  25. 배태순, "국내 학교사회복지사의 필요성," 경남지역연구, 제11권, pp.87-108, 2005. 

  26. 이유나,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첩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27. 김준호, 김선애,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종단적 연구(2001-2002년)," 한국청소년연구, 제14권, 제2호, pp.5-47, 2003. 

  28. D. Olweus, "Bully/Vicitm problems at school: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Vol.5, No.1, pp.15-22, 1996. 

  29. R. E. Muuss, Theories of adolescence(6th Edition), New York: McGraw Hill, 1996. 

  30. 박은영, 초기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에 대한 생태학적 변인의 영향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31. 문용린, 학교폭력 예방과 상담, 서울:학지사, 2006. 

  32. S. Graham, "Peer victimization in school exploring the ethnic context developmental psychology," Psychological Science, Vol.15, No.6, pp.317-321, 2006. 

  33. 김승혜, 보호관찰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가족 변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4. 국가법령정보센터,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http://www.law.go.kr 2014. 

  35. 김현숙, "지속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신체발달, 사회정서발달,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121-143, 2013. 

  36. 조기제, "아동인권과 학교폭력," 초등도덕교육, 제20권, pp.163-189, 2005. 

  37. 교육과학기술부, 2015년 학교폭력 실태조사, 한국교육개발원. 

  38. 이상철, 학교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39. 권이종, 청소년과 교육병리, 서울:양서원, 2005. 

  40. 정선경,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41. 신충갑, 청소년범죄자집단의 가정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42. 송미숙,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폭력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3. 차경수, 한국의 청소년 정책, 서울: 양서원, 2000. 

  44. 이상균, 학교에서의 또래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45. 조성남, 청소년의 하위문화와 정체성:또래집단, 가족, 학교를 중심으로, 서울: 집문당, 2002. 

  46. 김영순, 청소년의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47. 고아라,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48. 김수빈, 가출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친구지지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49. 염동문, 임채영, 정현태, "청소년의 학교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제31권, 제4호, pp.401-423, 2015. 

  50. 이은혜, 아동청소년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이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1. 김선애, 집단따돌림 연구경향분석,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6(1). 

  52. 김애정, 학교폭력의 사회복지적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3. 류연희, 또래애착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4. 아영아, "인권을 존중받은 경험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주변인역할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제40권, pp.75-98, 2016. 

  55. 현은자, 이하원, 연혜민, "지능형 로봇 아이로비큐(IrobiQ)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9호, pp.455-466, 2013. 

  56. 남중웅, "학교폭력 방지를 위한 체육의 역할제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68-377, 2012. 

  57. 이원찬, 구건모, 황성하, "학교폭력해소를 위한 체육수업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1058-1068, 2014. 

  58. 권문일,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보호관찰, 제12권, 제1호, pp.7-37, 2012. 

  59. 김홍규, Q방법론-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60. 정혜경, "Q방법론적 접근을 통한 청소년의 학교폭력 인식유형 탐색," 교정복지연구, 제14권, pp.133-156, 2016. 

  61. 육사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장애요인의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62. S. R. Brown, Political suhi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980. 

  63. 정현태, 염동문, 오윤수, 이성대, "인권에 대한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인식 유형,"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제48권, pp.398-429, 2015. 

  64. 김순은, Q방법론과 사회과학, 부산:금정, 2007. 

  65. 오윤수, 정현태, "사회복지학과 학생들의 사회권의 근거로서의 시민권과 인권에 대한 인식," 사회과학연구, 제30권, 제2호, pp.101-124, 2014. 

  66. 오윤수, 정현태, 이성대, "사회복지사직에 대한 사회복지학과 학생의 인식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85-297, 2014. 

  67. 김순은, "Q방법론의 이론과 철학,"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0권, 제4호, pp.1-25, 2010. 

  68. 정세종, 김봉철, 김유미, "경찰행정학과 학생들의 경찰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태도 유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30권, 제2호, pp.639-650, 2014. 

  69. 김홍규, 홍장선, "다문화 가정 캠페인을 위한 IMC전략," 주관성연구, 제21권, pp.127-144,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