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NS에서의 개인의 사회비교 경험 유형 및 사회비교 지향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고찰
Explicating the Relationship among SNS Users' Types of Social Comparison Experience,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2, 2016년, pp.574 - 590  

이성준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이효성 (청주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SNS에서의 다양한 형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이 SNS 이용자들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 유형으로서 상향 대조, 상향 동일시, 하향 대조, 하향 동일시 등 4가지를 도출하여 이들 경험 유형들이 SNS 이용자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영향 과정에서 인구 통계학적 요인들, SNS 이용 시간, 오프라인 사회자본 및 사회비교 지향성 등을 통제 변인으로서 고려하였으며, 사회 비교 경험들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사회비교 지향성의 조절 효과 역시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을 위해선 온라인 설문을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의 결과 연령과 혼인 여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및 관심사가 맞는 클럽/단체 활동 참여 정도가 삶의 만족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 결과에 따르면 4가지 사회 비교 경험 유형 중 상향 대조와 상향 동일시만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비교 지향성은 상향 동일시 경험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만 조절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SNS에서의 사회 비교 경험들을 이해함에 있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시각들이 필요함에 대해서도 또한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types of social comparison in SNS on users' life satisfaction. For this, this research posited four types of social comparison including upward contrast, upward identification, downward contrast and downward identification that might affect SNS u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의 사회비교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그가 제안한 사회비교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현 위치나 능력 등을 좀 더 정확히 평가하려는 경향성을 지니며, 만일 자신을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할 경우 타인을 평가의 기준으로 설정하고 그 사람과 자신과 비교함을 주장한다. 또한, 페스팅거 이후의 연구자들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개인의 사회비교가 그 동기에 따라 자신보다 나은 위치의 타인과 비교하는 상향비교(Upward Comparison), 자신과 유사한 타인과 비교하는 유사비교(Lateral Comparison) 그리고 자신보다 어려운 위치의 타인과 비교하는 하향비교(Downward Comparison)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10].
SNS 이용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의 원인은 무엇인가? 특히, SNS 이용과 이용에 따른 우울감과 같은 정서적·인지적 차원에서의 부정적인 영향에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고 있다[2-4][8]. 이들 연구들은 대부분 SNS 사용자가 이용 과정에서 겪는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는 사회 비교(Social Comparison) 경험이 우울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원인임을 주장한다. 말하자면, SNS 이용자들은 행복하거나 즐거운 자기 과시가 넘쳐나는 타인의 포스팅(Posting)을 보면서 그들과 비교하며 상대적으로 남들에 비해 자기 스스로는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박탈감을 빈번하게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대적 박탈감은 우울감과 연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인구의 80% 이상이 사용하는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서비스는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인구의 80% 이상이 사용하는 가장 인기 있는 온라인 서비스 중 하나인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는 이제 단순 소통을 위한 도구를 넘어서서 우리의 일상 속에 깊숙하게 자리 잡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 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188-202, 2014. 

  2. 차경진, 이은목, "사회비교이론 관점에서 살펴본 SNS 이용중단 의도,"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30권, 제3호, pp.59-77, 2015. 

  3. 양혜승, 김진희, 서미혜, "페이스북은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하는가?: 대학생 집단에서의 페이스북 읽기, 타인과의 비교성향, 삶에 대한 만족도의 관계," 한국언론학보, 제58권, 제6호, pp.216-244, 2014. 

  4. 김선정, 김태용, "SNS 콘텐츠의 감성이 사용자의 감정상태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 뉴스 피드를 중심으로," 제29권, 제1호, pp.5-47, 2012. 

  5. 오성탁, 박상철, "SNS 업무활용 문화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관한 연구," 문화산업연구, 제14권, 제3호, pp.37-48, 2014. 

  6. 이성준, "개인 심리적 특성, 이용 충족과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중독과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페이스북 사용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연구, 제21권, 제4호, pp.17-39, 2013. 

  7. 권혜선, 김성철, "사생활 침해에 대한 불안감이 폐쇄형 SNS 이용에 미치는 영향: 밴드, 카카오그룹톡 등의 사례를 중심으로,"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2권, 제1호, pp.5-49, 2015. 

  8. 황성욱, 박재진, "페이스북, 무엇이 문제인가? 심리적 문제점 요인 분석," 광고 연구, 제91권, pp.68-95, 2011. 

  9. L. Festinger,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Human Relations, Vol.50, No.2, pp.197-209, 1954. 

  10. 장은영, "사회비교와 주관안녕: 문화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3권, 제2호, pp.157-169, 2009. 

  11. T. A. Wills, "Downward comparison principles in social psychology," Psychology Bulletin, Vol.90, pp.245-271, 1981. 

  12. A. Batenburg and E. Das, "Virtual support communiti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ole of optimistic and pessimistic social comparison strategie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20, No.6, pp.585-600, 2015. 

  13. 양혜승, 송인덕, "타인의 생활수준과의 상향.하향비교가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텔레비전 등장인물과 주변인의 영향력 비교,"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1호, pp.252-274, 2010. 

  14. 서경현, 이상숙, 정구철, 김신섭, "노년기 스트레스와 웰빙에 대한 사회비교 및 사회비교 대처의 매개효과 탐색,"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6권, 제1호, pp.117-134, 2011. 

  15. 한덕웅, 장은영, "사회비교 동기와 강요된 사회비교가 주관안녕과 건강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8권, 제3호, pp.619-644, 2003. 

  16. L. G. Aspinwall and S. E. Taylor,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direction, threat, and self-esteem on affects, self-evaluation, and expected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4, pp.708-722, 1993. 

  17. M. Testa, "The impacts of social comparison after failu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control,"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11, pp.205-218, 1990. 

  18. T. J. Reis and F. X. Gibbons, "Social comparison and the pills: Reactions to upward and downward comparison of contraceptive behavi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7, pp.780-792, 1984. 

  19. 양혜승, "상대적 박탈감은 언제 발생하는가? 등장인물의 특성 및 수용자 개인의 속성이 상향비교 감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9권, 제6호, pp.137-171, 2015. 

  20. D. C. Jones, "Social comparison and body image: Attractiveness comparisons to models and peers among adolescent girls and boys," Sex Roles, Vol.45, No.9-10, pp.645-664, 2001. 

  21. E. Goffman, The presenation of self in everyday life, Garden City, NY:Doubleday, 1959. 

  22. 정소라, 현명호, "SNS 이용자의 상향비교 경험과 우울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중재효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20권, 제4호, pp.703-717, 2015. 

  23. R. H. Smith, "Assimilative and contrastive emotional reactions to upward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s," In J. Suls & L. Wheelers(Eds.), Handbook of Social Comparison, New York, NY:Plenum, pp.173-200, 2000. 

  24. 이윤성, "광고모델과의 사회적 비교과정에서 외모통제력 지각이 갖는 조정효과," 한국의류학회지, 제30권, 제4호, pp.633-643, 2006. 

  25. 박은아, 성영신, "광고모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미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6권, pp.87-116, 2001. 

  26. 정순둘, 성민현,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4호, pp.249-272, 2012. 

  27. B. L. Neugaten, R. J. Harvinghurt, and S. S. Tobin,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Vol.16, No.2, pp.134-143, 1961. 

  28. 하경분, 주민경, 송선희,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참여 만족도와 생활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0호, pp.160-170, 2014. 

  29. R. J. Harvinghurt, "A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 on aging," The Gerontologist, Vol.8, No.1, pp.65-70, 1968. 

  30. 정명숙, "연령과 삶에 대한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18권, 제4호, pp.87-108, 2005. 

  31. 김의철, 박영신, 김명언, 이건우, 유호식, "청소년, 성인, 노인 세대의 차이와 생활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5권, pp.119-145, 2000. 

  32. 이경준, 송희경, "중고령자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757-769, 2016. 

  33.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제24권, 제3호, pp.13-29, 2004. 

  34. N. M. Bradburn,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Aldine, 1969. 

  35.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 일반, 제22권, 제2호, pp.1-33, 2003. 

  36. P. M. Valkenburf, J. Peter, and A. P. Schouten, "Friend networking sites and their relationships to adolescents' well-being and social self-esteem,"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9, No.5, pp.584-590, 2006. 

  37.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 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7-48, 2011. 

  38. R. Kraut, M. Patterson, V. Lundmark, S. Kiesler, T. Mukopadhyay, and W. Scherlis,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merican Pscyhology, Vol.53, No.9, pp.1071-1031, 1998. 

  39. 이경탁, 노미진, 권미옥, 이희욱, "SNS사용자의 외로움, 자기노출, 사회적지지 그리고 삶의 만족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3권, 제2호, pp.19-39, 2013. 

  40. 강소랑, 문상호, "가족관계 사회자본이 중.고령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제46권, 제3호, pp.271-298, 2012. 

  41.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pp.310-357, 1985. 

  42. F. X. Gibbons and B. P. Bunnk,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al comparison: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6, pp.129-142, 1999. 

  43. S. Y. Lee, "How do people compare themselves with others on social networking site?: The case of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2, No.3, pp.253-260, 2014. 

  44. J. F. Hair, W. C. Black, B. G. Babin, R. E. Anderso,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2006. 

  45. E.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46. 이성준, "모바일 음악 서비스 전환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대안의 매력도와 전환비용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453-465, 2012. 

  47. 권철, 남철현, 황해석, 정한태, 하순희, 민경진, 김석순,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제32권, 제1호, pp.64-74, 2006. 

  48. 김윤화, "SNS 이용추이 및 이용행태 분석," KISDISTAT REPORT, 제16권, 제7호, pp.1-9, 2016. 

  49. 리해근, 하규수,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80-29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