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SNS에서 자기표현과 오프라인 모임 참여 및 삶의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NS use focu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s on the self-expression in SNS, off-line activity, and the life satisfa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6 no.1, 2020년, pp.301 - 312  

이영원 (우석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SNS에서 자기표현을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표현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SNS를 통한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사회적 관계 중심으로 SNS를 이용할수록 SNS에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SNS가 사회적 관계 유지 및 자기표현에 중요한 채널이라고 인식할수록 사회적 관계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사진들을 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도가 높고, 친구들과 찍은 사진을 많이 올릴수록 오프라인의 모임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관계망 활동이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도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s of the self-expression in terms of sharing the diverse pictures according to SNS use focused on the soci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s of the diverse online activities on the off-line activit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ore SNS use focused on the social re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SNS 이용 동기는 다양할 수 있지만, 개인의 네트워크를 통한 사회적 관계 유지 및 확장을 기대하는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라 나타나는 자기표현행태를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상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SNS 이용과 다양한 SNS에서 자기표현 행태와 함께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함께 분석하여, 온, 오프라인 활동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SNS 활동이 사회적 관계 유지에 시간과 공간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실제 오프라인 활동과 연계성을 갖는지, 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SNS가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통해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모임 참여와 연계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관계중심의 SNS 이용과 SNS에서 자기표현이라는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활동에도 유효한 영향력을 갖는지 탐색하려는 것이다.
  • SNS에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SNS에서 자기표현 효과에 대한 논의 범주를 확대하고,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을 포함한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다양한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보다 구체화하여, SNS 특성의 하나인 사회적 교류 및 관계 맺기 동기에서 발현하는 사회적 관계 목적의 SNS 이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밝힌 SNS 이용 목적의 하나인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이용을 중심으로 SNS에서 자기표현 효과에 대한 분석을 SNS에서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진을 통한 자기표현이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여, SNS에 다양한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표현방식으로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투표인증샷 등 이벤트 중심으로 사진을 통한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한 것에서 범위를 확대하여,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일상의 사진 올리기를 통한 자기표현이 SNS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SNS에서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여, SNS에서 자기표현에 대한 논의 범주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계 중심의 SNS 이용과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통한 자기표현 행태에 따른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를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들 요인이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활동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또한, 사회 관계성 중심의 SNS 이용과 SNS에서 자기표현 및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여, 개인의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은 있지만, 본 연구를 통해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SNS에서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여, SNS에서 자기표현에 대한 논의 범주를 확대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계 중심의 SNS 이용과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통한 자기표현 행태에 따른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를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나아가 이들 요인이 개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활동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본 연구는 SNS에서 자기표현이 보다 다양해지고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자기표현 행태를 SNS에 사진 올리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일상 생활에서 자신의 모습이나 경험을 사진을 통해 기록하고, 이를 SNS를 통해 타인과 함께 공유하면서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고,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일상화되는 상황을 반영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SNS에서 자기표현을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표현 방식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SNS를 통한 다양한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이용과 SNS에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과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분석하여, 개인의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SNS 이용 효과에 대한 분석을 보다 구체화하여, SNS 특성의 하나인 사회적 교류 및 관계 맺기 동기에서 발현하는 사회적 관계 목적의 SNS 이용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밝힌 SNS 이용 목적의 하나인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이용을 중심으로 SNS에서 자기표현 효과에 대한 분석을 SNS에서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네트워크 유지를 기대하는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과 이에 따른 SNS에서 다양한 자기표현(사진 올리기)이 개인의 오프라인 모임참여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활동에도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제기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SNS 이용과 다양한 SNS에서 자기표현 행태와 함께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함께 분석하여, 온, 오프라인 활동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SNS 활동이 사회적 관계 유지에 시간과 공간의 용이성과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실제 오프라인 활동과 연계성을 갖는지, 이에 따른 삶의 만족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SNS 이용 범주를 구체화하여,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과 SNS에서 다양한 자기표현(사진 올리기) 및 오프라인 모임 참여에 따른 효과 분석을 통해 온, 오프라인 네트워크 활동에 따른 삶의 만족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에 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SNS가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사진 올리기를 통해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고, 이러한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 모임 참여와 연계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사회적 관계중심의 SNS 이용과 SNS에서 자기표현이라는 온라인 네트워크 활동이 오프라인의 네트워크 활동에도 유효한 영향력을 갖는지 탐색하려는 것이다.
  • SNS에서 자기표현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트위터나 페이스북의 텍스트 분석(나은영, 2013; 장현미, 2014)이나, 사진의 경우, 투표 인증샷과 관련한 연구(서희정·이미나, 2012; 이미나·서희정·김현아, 2012) 등 일부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진을 통한 자기표현이 일상화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여, SNS에 다양한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표현방식으로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에서 투표인증샷 등 이벤트 중심으로 사진을 통한 자기표현 효과를 분석한 것에서 범위를 확대하여,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한 일상의 사진 올리기를 통한 자기표현이 SNS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추론은 매체 이용이 지역사회 참여를 높이거나(정용복·박성복, 2015; 한혜경·이상기·오창호, 20060), 사회적 네트워크 확대등 사회 자본 확대 효과를 가진다는 연구 결과들(심흥진·이연경·김지현·김용찬, 2014; 최윤정, 2008)을 통해서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중심의 SNS 이용을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이에 따른 SNS에서 자기표현 행태와 오프라인 모임 참여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 SNS에서 자기표현과 관련한 국내 연구들은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에 글쓰기를 중심으로 그 효과를 분석(나은영, 2013; 장현미, 2014)하거나, SNS에서 투표 인증샷(서희정·이미나, 2012; 이미나·서희정·김현아, 2012)과 관련한 분석 등 일부 제한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상 생활을 사진에 담으며 이를 SNS를 통해 타인과 공유하는 오늘날의 SNS 소통 방식을 반영하여, SNS에서 사진 올리기라는 시각적 자기표현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SNS에서 자기표현이 보다 다양해지고 활발해지는 상황에서, 사회적 관계 중심의 SNS 이용에 따른 자기표현 행태를 SNS에 사진 올리기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일상 생활에서 자신의 모습이나 경험을 사진을 통해 기록하고, 이를 SNS를 통해 타인과 함께 공유하면서 자신의 이미지를 만들고, 자신을 표현하는 것이 일상화되는 상황을 반영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증적 자료를 통해 실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eBizMBA. Top 15 most popular social networking sites, eBizMBA, Retrieved from (http://www.ebizmba.com/articles/social-networkingwebsites). 2019. 

  2. Y. Na, "The effects of risk reducing factors and the benefits expecting factors in online self-exposure of Twitter 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7, No. 4, pp. 124-148, 2013. 

  3. H. M. Jang, "The effecs of SNS writing on empathic experiences and prosocial behavior: focusing on Facebook user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8, No. 3, pp. 5-35, 2014. 

  4. H. Suh & M. Lee. "The young generation's voting participation and election culture reflecting in Twitter voting proof shot". presented in annual conference of Association of Korea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Studies, pp.399-420. 2012. 

  5. Bojun Seo & Soochang Lee. "Network analysis on communication of welfare policy using twitter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6 No.2 pp. 58-64. 2018. 

  6. Boyd, D. & Ellison, N. B. "Social network sites: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Journal of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Vol. 13, No. 1. pp. 210-230. 2007. 

  7. Breslin, J., & Decker, S. "The future of social netsorks on the Internet: The need f o r semantics" IEEE Internet Computing, pp. 86-90. 2007. 

  8. Quan-Haase, A., & Young, A. L. "Uses and gratifications of social media: A comparison of Facebook and instant messaging,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Vol. 30, No. 5, pp. 350-361. 2010. 

  9. Pempek, T. A., Yermolayeva, Y. A., & Calvert, S. L. "College students' social networking experiences on Facebook",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Vol. 30, No. 3, pp. 227-238. 2009. 

  10. Hew, K. F. "Studnets' and teachers' use of Facebook",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7 No. 2. 2011. 

  11. Y. J. Kim. "Uses and gratification of Cyworld, Facebook, Twitter: A comparative study" Journal of Communication Scineces, Vol. 13, No. 1, pp. 5-32, 2013. 

  12. Joinson, A. N. & Paine, C. Self-disclosure privacy and the Internet, In A. N. r Joinson, K. Y. A. McKenna, T., Postmes, & U. Reips. (Eds.), Oxford Handbook of Internet Psychology (pp.237-25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Y Choi & S. Park, "The Effects of Social Media Usage on Social Capital", Vol. 25,, No. 2. pp. 241-276. 2011. 

  14. Cheng, Y., Liang, J., & Leung, L. "Social network services use on mobile devices: An examination of gratifications, civic attitudes and civic engagement in China", New Media & Society, Vol. 17 No. 7, pp. 1096-1116. 2015. 

  15. Alhabash, S., Chiang, Y.H., & Huang, K. "MAM & U&G in Taiwan: Differences i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of Facebook as a function of motivational reactivit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35, pp. 423-430. 2014. 

  16. Raacke, J., & Bonds-Raacke, J. "My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11, No. 2, pp. 169-174. 2008. 

  17. Christofides, E., Muise, A., & Desmarais, S. "Information disclosure and control on Facebook: Are they tow sides of the same coin or two different process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 12 No. 3, 2009. 

  18. Wellman, B., Quan-Hass, A., Witte, J., & Hampton, K. "Does the Internet increase, decrease or supplement social capital",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 45, pp. 436-455. 2001. 

  19. Collett, J. L. "What kind of mother am I? Impression management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motherhood", Symbolic Interaction, Vol. 28, No. 3, pp. 327-347. 2005. 

  20. Tidwell, I. C., & Walther, J. B.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ffects on disclosure, impressions, and interpersonal evaluations: Getting to know one another bit at a tim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28, pp. 317-328. 2002. 

  21. Tosun, L. p. "Motives for Facebook use and expressing "true self" on the Internet",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 28, pp. 1510-1517. 2012. 

  22. Walther, J. B., Heide, B. V., Kim, S. Y., Westerman, D., & Tong, S. T. "The role of friends' appearance and behavior on evaluations of individuals on Facebook: Are we known by the company we keep?",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 34, pp. 28-49. 2008. 

  23. H. Park & J. Shin, "The analysis of self-expression in Blog", Communication Design Studies, Vol. 33. pp.74-84. 2010. 

  24. H. Park & J. Shin, "Looking at", "looking up", or 'keeping up with" people?, Motives and uses of Facebook, Paper presented at 26th Annual SIGCHI Conferences on Human Factors in Computig Systems, Florences, 5-10th April 2008. 

  25. Kim, J., & Lee, J.E. R. "The Facebook paths to happiness: Effects of the number o f Facebook friends and self-presentation on subjective well-being",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4, No. 6, pp. 359-364. 2011. 

  26. Katz, J. E., & Rice, R. E. Social consequences of Internet use: Access, involvement, and interaction, Cambridge, MA: MIT Press. 2002. 

  27. Kraut, R., Patterson, M., Lundmark, V., Kiesler, S., Mukopadhyay, T., Scherlis, W. " Internet Paradox: A social technology that reduces social involvement and psychological well 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 53, pp. 1017-1031. 1998. 

  28. Nie, N., & Erbring, L. (2000). Internet and Soceity: A preliminary report [Online] Ong. E. Y. L., Ang, R. P., Ho, J. C. M. Lim, J. C. Y., Goh, 2000. 

  29. H. Shim, Y. Lee., J. Kim., & Y. Kim, "The Determinants on Building Social Capital of Urban Community",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8, No. 4, pp. 484-506, 2014. 

  30. B. Jin & J. Yang, "Exploring the types of SNS use based on personality traits, offline activities, political orientations, and life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 No. 5, pp. 239-271, 2015. 

  31. Zywica, J., & Danowski, J. "The faces of Facebookers: Investigating social enhancement and social compensation hypothesi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 14, pp. 1-34. 2008. 

  32. J. Jung & S. Park, "A Study on the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Sociopolitical Participation: According to Media Repertory Groups in Jeju",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9, No. 3, pp. 60-93, 2015. 

  33. H. Han, S. Lee, & C. Oh. "Local news use and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0, No. 5, pp. 384-424, 2006. 

  34. W. Kim & M.Choi, "The effect of SNS user's use motivations on using SNS and recognizing characteristics of SNS messages: focused on the comparison among 'Facebook', 'Twitter', 'Cyworld', and 'Me2day'",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 60, pp. 150-171, 2012. 

  35. H. Keum, "The Influences of Social Media Use on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on Studies, Vol. 25, No. 5. pp. 7-48. 2011. 

  36. Coleman, J. Foundations of Social Theo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37. Puttnam, R. D. Bowling alone: The collapse and revival of American community, 정승현 역 (2009). . 서울: 페이퍼로드. 2000. 

  38. Sanders, C. E., Field, T., Diego, M., & Kaplan, M. "The relationship of internet use in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mong adolescents", Adolescent, Vol. 35, pp. 237-242, 2000. 

  39. Young, K. S., & Rodgers, R. Depr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pathological Internet use, Poster presented at the 68th annual meeting of the Eastern Psychological Association, April 11, 1997, Washington, DC. 

  40. Y. Choi, " An analysis of mass media use's influence on social capital based o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ediation model,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52, No. 3, pp. 374-395, 2008. 

  41. Eveland, W. P., Jr. "A "mix of attributes" approach to the study of media effects and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53, pp. 395-410. 2003. 

  42. D. H., Lee, C. S., & Chua, A. Y. K. "Narcissism, extraversion and adolescents' self-presentation on Facebook",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50, pp. 180-185. 2011. 

  43. Zhao, S., Grasmauck, S., & Martin, J. "Identity construction on Facebook: Digital empowerment in anchored relationships", Computer in Human Behavior, Vol. 24, pp. 1816-1836.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