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행동문제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Mode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2 no.6, 2016년, pp.41 - 58  

김세리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y, home environment stimulation,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and interactive peer play of preschool children. Surveys of 2,150 Korean mothers with their preschool children(Mean age= 51.9 months) from the Panel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예측변수로 하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환경자극과 행동문제를 매개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사회경제적 지위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행동문제를 통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도 함께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모형은〔그림 1〕과 같다.
  • 부모의 학력 및 소득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구성하는 측정요인으로 보고 이것이 유아에게 제공되는 언어 및 학습적 자극, 정서적 자극, 물리적 자극으로 구성된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개인의 행동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가 유아가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행동 간 관련성 혹은 또래 놀이 행동이나 상호작용과의 관련성을 단편적으로 살펴보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경로를 탐색하는 데에는 제한점이 있었다.
  • 본 연구에서도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영향을 관련변인과 함께 그 경로를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련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크게 두 가지 변인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국내 연구에서는 학령기 아동을 주 연구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초기 발달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또래와의 상호작용 사이의 관련 변인들을 고려하여 그 영향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변인 간의 관계를 더욱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 양상 중 하나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발달 기제를 밝히고, 나아가 유아의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정환경과 유아 개인의 심리, 행동적 지원을 위한 정책적 마련의 토대를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본 연구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환경자극, 유아의 행동문제의 구조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가족구성원의 교육수준, 소득은 가족자원의 양과 질을 결정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사회경제적 지위를 나타내주는 주요 지표로서 논의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소득과 교육수준을 사회경제적 지위의 측정 변인으로 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예측하는 요인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따라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련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크게 두 가지 변인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다양한 변인들이 개입될 수 있으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 내 전반적 환경과 유아 개인 각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가족에 대한 지원 정책과 유아의 개별지원에 함의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이처럼 최근 연구들을 통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아동의 발달에 직접적 결정요인이기 보다는 부모의 다양한 심리사회적 요인이나 환경적 요인들을 통한 간접적 발달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 최근 추세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도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사회경제적 지위가 미치는 영향을 관련변인과 함께 그 경로를 탐색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련성과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잠재변수로 구성된 세 가지 변인 각각의 관찰변수가 잠재변수의 이론적 개념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타당성을 평가하고, 구조모형의 추정 가능성 확인 절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모델의 확인적 요인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잠재변수의 관찰변수를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통해 구성하였기 때문에 타당성을 확인한 후 연구모형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 연구의 모형은〔그림 1〕과 같다. 부모의 학력 및 소득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구성하는 측정요인으로 보고 이것이 유아에게 제공되는 언어 및 학습적 자극, 정서적 자극, 물리적 자극으로 구성된 가정환경자극과 유아 개인의 행동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러한 관계가 유아가 경험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크게 두 가지 변인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데에 다양한 변인들이 개입될 수 있으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 내 전반적 환경과 유아 개인 각각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가족에 대한 지원 정책과 유아의 개별지원에 함의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예측변수로 하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의 관련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환경자극과 행동문제를 매개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사회경제적 지위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행동문제를 통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구조적 관계도 함께 모색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칠 영향력에 가정환경자극과 유아의 행동문제가 매개 변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러나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발달과 관련이 깊다는 점을 통해서 볼 때 가정환경자극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유아의 행동문제와의 관계도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 먼저, 가정 내 전반적 환경을 의미하는 가정환경자극이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가정환경자극은 유아의 정서나 사회성 발달과 관련성이 있으며(김혜경, 조성연, 2002; Caldwell & Bradley, 1984) 풍부하고 발달에 적합한 가정환경은 유아의 사회적 관계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노성향, 20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기에 또래와의 놀이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구체적으로, 놀잇감을 서로 공유하고자 하는 상황에 놓여있을 때 유아는 갈등과 분쟁을 해결하려는 과정을 통해 자기중심적인 사고경향에서 벗어나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고 사회적 이해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볼 수 있다(Garvey, 1984; Katz, Kramer, & Gottman, 1992). 이와 같이 놀이는 유아의 사고를 이끄는 활동일 뿐만 아니라 타인에 대한 생각, 사회적 기술 증진 등의 전인적 발달을 촉진하는 발달의 집약적 행위이자 발달적 변화를 위한 경험들을 축적해 나가는 하나의 기제가 된다. 놀이과정 중에 발생하는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성을 예측하게 하는 중요한 장면이다.
유아는 또래와 활동하며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가? 이른 시기부터 보육 기관에서 생활하는 유아는 자연스럽게 또래나 교사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아에게 또래는 가족 이외의 또 다른 의미 있는 관계로 자리하게 된다. 유아는 또래와 활동하며 관계 변화의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동시에 경험하며 타인, 자신, 사회에 대한 학습과 함께 정서적, 인지적 자원을 얻기도 한다(Hartup, Cillessen, van IJzendoorn, & van Lieshout, 1992). 이처럼
유아는 또래와 활동하며 어떤 자원을 얻기도 하는가? 이른 시기부터 보육 기관에서 생활하는 유아는 자연스럽게 또래나 교사와 함께 있는 시간이 많아지기 때문에 유아에게 또래는 가족 이외의 또 다른 의미 있는 관계로 자리하게 된다. 유아는 또래와 활동하며 관계 변화의 양적 변화와 질적 변화를 동시에 경험하며 타인, 자신, 사회에 대한 학습과 함께 정서적, 인지적 자원을 얻기도 한다(Hartup, Cillessen, van IJzendoorn, & van Lieshout, 1992). 이처럼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곽금주, 김정미, 유제민 (2007). 만3세 아동에 대한 빈곤, 부모변인, 가정환경 및 아동발달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3), 83-98. 

  2. 권유경, 정소희 (2010). 지역사회 SES, 부모양육태도, 아동의 학교적응과 공격성. 사회복지연구, 41(3), 379-402. 

  3. 김선희 (2014).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대한 사회경제적 지위,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언어능력간의 구조적 관계. 교육과학연구, 45(3), 93-114. 

  4. 김수진, 김수영 (2009). 가정환경 변인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0(5), 87-102. 

  5. 김혜경, 조성연 (2002). 연구논문: 가족형태에 따른 가정환경 (Home)과 유아의 사회, 정서적 발달. 한국가족복지학, 7(2), 3-16. 

  6. 노성향 (2015).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4), 21-35. 

  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8. 박수진, 김명순 (2010).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18-24 개월 영아의 가정문해환경 및 어머니의 상호반응적 교수행동과 영아의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1(4), 15-27. 

  9. 오경자, 김영아 (2009). CBCL 1.5-5 매뉴얼 개정판. 서울: 휴노컨설팅. 

  10. 이주리, 유안진 (1991). 가정환경과 아동의 역량에 대한 자기지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131-144. 

  11. 이지연, 곽금주 (2008). 아동초기 사회경제적 지위(SES)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51-165. 

  12. 장영애 (1997). 아동 및 가정의 특성에 따른 취학전 아동 가정의 가정환경자극 분석: 도시와 농촌 가정을 대상으로. 대한가정학회, 35(4), 15-30. 

  13. 장영은 (2015).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부모 온정성과 교육적 가정환경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36(6), 1-21. 

  14. 정미라, 권정윤, 박수경 (2011). 영유아 관련 뇌 기반 연구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31(2), 207-231. 

  15.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 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16. 홍세희 (2013).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초이론과 적용. 서울: S & M Research Group. 

  17. Baker, C. E., & Iruka, I. U. (2013). Maternal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children's school readiness: The mediating role of home environments for African American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3), 509-519. 

  18. Boivin, M., & Hymel, S. (1997). Peer experiences and social self-perceptions: a sequential model. Developmental Psychology, 33(1), 135-145. 

  19.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371-399. 

  20. Caldwell, B. M., & Bradley, R. H. (1984).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Little Rock: University of Arkansas at little Rock. 

  21. Caldwell, B. M., & Bradley, R. H. (2003). Home inventory administration manual. AK: University of Arkansas for Medical Sciences. 

  22. Campbell, S. B., Shaw, D. S., & Gilliom, M. (2000). Early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oddlers and preschoolers at risk for later maladjustment.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12(03), 467-488. 

  23. Chen, E., Matthews, K. A., & Boyce, W. T. (2002).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children's health: How and why do these relationships change with age?. Psychological Bulletin, 128(2), 295-329. 

  24. Coleman, J. S.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S95-S120. 

  25. Conger, R. D., Patterson, G. R., & Ge, X. (1995). It takes two to replicate: A mediational model for the impact of parents'stress on adolescent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1), 80-97. 

  26. Coplan, R. J., Findlay, L. C., & Nelson, L. J. (2004).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with lower perceived competence.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2(4), 399-408. 

  27. Collins, W. A., Maccoby, E. E., Steinberg, L., Hetherington, E. M., & Bornstein, M. H. (2000). Contemporary research on parenting: The case for nature and nurture. American Psychology, 44, 218-232. 

  28. Corwyn, R. F., & Bradley, R. H. (2002). Stability of maternal socioemotional investment in young children. Parenting, 2(1), 27-46. 

  29. Davis-Kean, P. E. (2005). The influence of parent education and family income on child achievement: The indirect role of parental expectations and the home environ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9(2), 294-304. 

  30. Dishion, T. J. (1990). The family ecology of boys' peer relations in middle childhood. Child Development, 61(3), 874-892. 

  31. Brooks-Gunn, J., Duncan, G. J., & Maritato, N. (1997). Poor families, poor outcome: The well-being of children and youth. In G. J. Duncan & J. Brooks-Gunn (Eds.), Consequences of growing up poor (pp. 1-17). NY: Russell Sage Foundation. 

  32. Easterbrooks, M. A., & Goldberg, W. A. (1984). Toddler development in the family: Impact of father involvement and parenting characteristics. Child Development, 55(3), 740-752. 

  33.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34. Garvey, C. (1984). Children's talk.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35. Gershoff, E. T., Aber, J. L., Raver, C. C., & Lennon, M. C. (2007). Income is not enough: Incorporating material hardship into models of income associations with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75(1), 70-95. 

  36. Guo, G., & Harris, K. M. (2000). The mechanisms mediating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Demography, 37(4), 431-447. 

  37. Hartup, W. W., Cillessen, A. H. N., van IJzendoorn, H. W., & van Lieshout, C. F. M. (1992). Heterogeneity among peer-rejected boys: Subtypes and stabilities. Child Development, 63(4), 893-905. 

  38. Hill, N. E., Bush, K. R., & Roosa, M. W. (2003). Parenting and family socialization strategies and children's mental health: Low-Income Mexican-American and Euro-American mothers and children. Child Development, 74(1), 189-204. 

  39. Howes, C., Unger, O., & Seidner, L. B. (1989). Social pretend play in toddlers: Parallels with social play and with solitary pretend. Child Development, 60(1), 77-84. 

  40.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41. Jeffers, W. V., & Lore, K. R. (1979). Let's play at my house: Effect of the home environment on the social behavior of children. Child Development, 50(3), 837-841. 

  42. Johnson, C., Ironsmith, M., Snow, C., & Poteat, G. (2000). Peer acceptance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7(4), 207-212. 

  43. Katz, L. F., Kramer, L., & Gottman, J. M. (1992). Conflict and emotions in marital, sibling, and peer relationships. In C. U. Shantz & W. W. Hartup (Eds.), Conflict in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pp. 122-149).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Kerr, D. C., Lunkenheimer, E. S., & Olson, S. L. (2007). Assessment of child problem behaviors by multiple informants: A longitudinal study from preschool to school entr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8(10), 967-975. 

  45. Larsson, H., Sariaslan, A., Langstrom, N., D'Onofrio, B., & Lichtenstein, P. (2014). Family income in early childhood and subsequen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quasi-experimental stud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5(5), 428-435. 

  46. Linver, M. R., Brooks-Gunn, J., & Kohen, D. E. (2002). Family processes as pathways from income to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38(5), 719-734. 

  47. McCoy, M. G., Frick, P. J., Loney, B. R., & Ellis, M. L. (1999). The potential mediating role of parenting practices in the development of conduct problems in a clinic-referred sample.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8(4), 477-494. 

  48. McLoyd, V. C. (1998). Socioeconomic disadvantage and child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53(2), 185-204. 

  49. Nelson, D. A., Robinson, C. C., Hart, C. H., Albano, A. D., & Marshall, S. J. (2009). Italian preschoolers' peer-status linkages with sociability and subtypes of aggression and victimization. Social Development, 19(4), 698-720. 

  50. Nelson, L. J., Rubin, K. H., & Fox, N. 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2), 185-200. 

  51. Ogbu, J. U. (1992). Adaptation to minority status and impact on school success. Theory into Practice, 31(4), 287-295. 

  52. Pettit, G. S., Clawson, M. A., Dodge, K. A., & Bates, J. E. (1996). Stability and change in peer-rejected status: The role of child behavior, parenting, and family ecology. Merrill-Palmer Quarterly, 42(2), 267-294. 

  53. Schneider, B. H., Richard, J. F., Younger, A. J., & Freeman, P. (2000). A longitudinal exploration of the continuity of children's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withdrawal across socioeconomic status levels and social settings. European Journal Social Psychology, 30(4), 497-519. 

  54. Son, S. H., & Morrison, F. J. (2010). The nature and impact of changes in home learning environment on development of language and academic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103-1118. 

  55. Tolan, P. H., Dodge, K., & Rutter, M. (2013). Tracking the multiple pathways of parent and family influence on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In P. H. Tolan & B. L. Leventhal (Eds.),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pp. 161-191). NY: Springe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