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65세 이상 노인의 가철성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
The Relevance of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Oral-Cavity for Removable Denture Satisfaction of Senior Citizens Over 65 Years of Age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3, 2016년, pp.135 - 146  

허성은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지재훈 (동의과학대학교 의무행정과) ,  이선찬 (동원과학기술대학교 보건행정과) ,  허종훈 (고신대학교 대학원 보건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plored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nd the oral health of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the relevance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ssues, and satisfaction with dentures in elderly 65 years of age or older. Methods : This study sur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가철성 의치를 장착 중인 65세 이상 노인 220명을 대상으로 의치만족도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노인의치 건강보험 급여화의 확대발전과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의치관련 저작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은 높을 것이다.
  • 가설 2. 의치관련 고정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은 높을 것이다.
  • 가설 3. 의치관련 일반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은 높을 것이다.
  • 가설 4. 의치관련 심미적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강건강 삶의 질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로 오랜 기간을 보내는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에게 의치와 같은 보철치료가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즉, 구강 증상에 따른 구강 문제는 구강 건강과 직결되며, 이는 결국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노인의 가장 대표적인 구강문제 중의 하나는 치아상실로서 구강건강을 해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저작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는 것이다[12]. 뿐만 아니라, 치아 상실은 발음과 외모에 영향을 줌으로써 대인관계 및 원활한 사회생활에 제한을 주어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13]. 한편, 2010년에 실시된 국민구강건강 실태조사에 의하면 65세 이상 74세 이하 노인의 42.8%, 75세 이상 노인의 61.5%가 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대부분이 의치에 의존할 만큼 치아상실률이 높게 나타났다[14]. 따라서 노년기로 오랜 기간을 보내게 되는 고령화 사회의 노인들에게는 의치와 같은 보철치료가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치아 상실로 인한 장애를 극복하고 구강건강상태를 증진시킴으로써 노인의 구강건강과 관련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3].
의치란 무엇인가? 의치(denture)란 다수가 결손된 자연치나 그 주위조직의 회복을 위하여 제작하는 치과 보철물을 총칭하는 용어로, 가철성 부분의치와 가철성 총 의치 두 종류가 있다. 가철성 보철물(removable denture)이란 환자 스스로 구강 내에서 제거하고 재 위치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재건해주는 치과학의 한 분야를 말하며 가철성 부분의치(partial denture)란 일부 상실치와 관련 조직의 결손을 수복하기 위한 치과보철물이고, 총 의치(full denture)란 자연치아가 모두 상실되었을 때 상실된 치아와 그 주위조직을 인공물로 대체하는 치과 보철물을 말한다[6].
노인의 가장 대표적인 구강문제는 무엇인가? 즉, 구강 증상에 따른 구강 문제는 구강 건강과 직결되며, 이는 결국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에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노인의 가장 대표적인 구강문제 중의 하나는 치아상실로서 구강건강을 해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저작능력의 저하를 가져온다는 것이다[12]. 뿐만 아니라, 치아 상실은 발음과 외모에 영향을 줌으로써 대인관계 및 원활한 사회생활에 제한을 주어 사회적 고립감과 소외감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1B01&vw_cd&list_id&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K1&path# 

  2. J.S. Choi(2000), Policy planning for oral health promo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pp.90-92. 

  3. I.J. Jang(2006), Association between denture satisfaction and perceived oral health among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University, pp.1-10. 

  4. Y.O. Kwon(2006), The Impact of Artificial Denture Satisfaction on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2-35. 

  5. S.H. Kim, D.K. Kim(2004), A Study on Impact of Oral health on Quality of Life, Oral Biology Research, Vol.28(3);61-172. 

  6. Y.O. Kwon, M.S. Choi, J.H. Lee, H.K. Yun(2014),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riatric denture-related characteristics, denture satisfaction, and GOHAI,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4);399-407. 

  7. G.R. Lee(2009), Relationship between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Haany University, pp.25-90. 

  8. E.J. Jang(2010), Or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Stroke Patients in Gyeongju C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pp.13-16. 

  9. S.H. Yu(2008), A study on denture satisfaction and oral health relate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with removable denture, Un published Master's thesis, Wonkwang University, pp.24-26. 

  10.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11. I.R. Wilson, P.D. Cleary(1995),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 comes, JAMA, Vol.273(1);59-65. 

  12. N.H. Kim, D.H. Han, S.J. Hwang, A.R. Kim, W.K. Chung, H.D. Kim(2008), Pubic Health Dentistry : Validation study of masticatory dysfunction questionnaires among the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32(1);75-85. 

  13. B.W. Kang, K.S. Kim, H.K. Kang, K.Y. Kim, S.S. Kim, Y.K. Kim, Y.H. Kim, E.J. Kim, J.W. Lee(2014), Preventive dentistry, Koonja Pub, p.318. 

  14. http://www.moh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 

  15. http://www.newswire.co.kr/newsRead.php?no796289 

  16.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31620&page1 

  17. Y.S. Ban, K.B. Song, S.H. Jung, K.H. Choi(2001),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Removable Dental Prosthesis among Patients in Private Dental Clinic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5(1);79-94. 

  18. M.J. Fernandes, D.A. Ruta, G.R Ogden, N.B. Pitts, S.A. Ogston(2006), Assessing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general dental practice in Scotland: validation of the OHIP-14,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ogy, Vol.34(1);53-62. 

  19. G.D. Slade, R.P. Strauss, K.A. Atchison, N.R Kressin, D. Locker, S.T. Reisine(1998), Conference summary: assessing oral health outcomesmeasuring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Community Dent Health, Vol.15(1);3-7. 

  20. D. Locker, G. Slade(1993), Or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J Can Dent Assoc, Vol.59(10);830-844. 

  21. D. Locker, P.F. Allen, A.S. McMollan(2001), An assessment of sensitivity to change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in an clinical trial,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ogy, Vol.29(3);175-182. 

  22. G.D. Slade(1997), Derivation and validation of a short-form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ogy, Vol.25(4);284-290. 

  23. N.M. Nuttall, G.D. Slade A.E. Sanders, J.G. Steele, P.F. Allen, S. Lahti(2006), An empirically derived population-response model of the short form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ogy, Vol.34(1);18-24. 

  24. M.K. Kim, H.M. Jung, G.J. Park(2014), Subjective Xerostomia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3(2);3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