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의학 교육의 새로운 트렌드 :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의 적용 및 평가
New trend of dental education: flipped learning for dental classes using Google classroom platform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7 no.5, 2016년, pp.317 - 327  

공준형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Research Institute for Periodontology and Implant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문호진 (Department of Operative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박정철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Dankook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플립드 러닝(flipped learning)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포함한 둘 이상의 상이한 학습 환경을 혼합하여 학습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새로운 학습 테크닉으로써, 최근 등장한 'Google classroom' 서비스는 플립드 러닝에 최적화된 토탈 솔루션이다. 본 연구는 국내 최초로 D 치과대학 치의학과 본과 2학년 학생들 70명에게 구글 클래스룸 플랫폼을 이용한 플립드 러닝을 적용 후 학생들의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치주과학 개론 및 치과보존학 아말감 수복학 두 과목을 선정하여 6회의 강의 중 3회는 전통적 수업방식으로, 나머지 3회는 구글 클래스룸을 포맷으로 한 플립드 러닝으로 진행하였다. 만족도 평가는 강의가 모두 완료된 후 설문을 통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대학 수업에의 플립드 러닝 적용은 이해도, 자기주도적 학습과 학습 동기면에서 높은 효율 및 만족도를 보였고 학생들은 매우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구글 클래스룸을 활용한 플립드 러닝은 치과대학 수업에서 효과적인 플랫폼임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ipped learning is a new learning technique which can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mixing two or more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online & offline, and recently introduced system: 'Google classroom' is the optimized internet platform for flipped learning. This study tried to app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초과목에 비해 심화 내용을 다루는 전공과목에의 실험적 도입을 통해 치과대학 내 다른 과목에도 적용이 가능한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치과대학 수업은 크게 기초 과목, 전공 과목, 임상 실습 과목으로 분류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대학 학생들에게 구글 클래스룸을 플랫폼으로 활용하여 플립드 러닝을 시행한 뒤 전통적 수업 방식과 그 효과를 비교하며, 플립드 러닝법이 치과대학 교육에 적합한 교육 방식인지 설문을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립드 러닝이란 무엇인가? 플립드 러닝 (Flipped learning, 또는 거꾸로 교실 Flipped classroom)은 요즘 교육계에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교육 방식으로 2013년 KBS ‘파노라마 플러스 거꾸로 교실’, 2014년 3월 ‘거꾸로 교실의 마법, 1000개의 교실’ 의 방송 이후 국내에 널리 알려졌다. 플립드 러닝이란 기존의 교육 방식을 뒤집는 방식으로서, 학교에서 수업을 하고 집에서 복습과 숙제를 통해 심화 학습이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수업 방법과 달리 학생들이 집에서 미리 동영상으로 강의를 듣고 오면 교실에서는 심화학습, 협업활동 또는 퀴즈나 강의에 대한 토론이 이루어지는 교육 방식이다[1,2,3].
플립드 러닝의 목표는 무엇인가? 또한 교사는 개별 학생의 과제 완료 여부를 모바일, 데스크탑에서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실시간으로 1:1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 클래스룸은 플립드 러닝의 목표인 ‘1) 자기 주도적 학습, 2) 학습동기, 3) 접근성, 4) 상호간 의사소통’ 의 추구에 있어서 이상적인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12].
구글 클래스룸을 이용했을 때 이점은 무엇인가? 이에 최근 확산되고 있는 Google Apps for Education (GAfE) 또는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은 플립드 러닝을 위한 환경으로 최적화된 통합적 교육 솔루션이라 볼 수 있다. 본 플랫폼을 이용해 교수자는 시간을 절약하고 수업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학생들과 밀접한 1대 1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모든 과정이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므로 종이가 필요 없거나 사용을 최소화 하여 과제나 퀴즈를 만들 수 있고 이를 간편하게 취합, 채점, 통계 분석 할 수 있어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교사는 개별 학생의 과제 완료 여부를 모바일, 데스크탑에서 언제 어디서나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실시간으로 1:1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구글 클래스룸은 플립드 러닝의 목표인 ‘1) 자기 주도적 학습, 2) 학습동기, 3) 접근성, 4) 상호간 의사소통’ 의 추구에 있어서 이상적인 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in-Ha Bang, Exploring educational significance of flipped classroom and its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014, 31(4):p.299-319. 

  2. Baker,J. The "classroom flip": Using web course management tools to become the guide by the side. in Selected papers from the 11 thin ter national conference on college teaching and learning.2000. 

  3. Pierce, R. and J. Fox, Vodcasts and active-learning exercises in a"flipped classroom" model of a renal pharmacotherapy module. American journal of pharmaceutical education,2012.76(10). 

  4. Nam Ik Kim.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Education engineering research, 2014. 30 (3):p.467-492. 

  5. Baek-Hee Kim, Korean language culture and discussion class -'Role-exchange discussion class based on Flipped Learning'-. Korean research, 2014. 37:p.141-166. 

  6. Hyeong Jong Han et al.,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 engineering research, 2015. 31(1):p.1-38. 

  7. Halverson, L.R., et al., A thematic analysis of the most highly cited scholarship in the first decade of blended learning research.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2014.20:p.20-34. 

  8. Tune, J.D., M. Sturek, and D.P. Basile, Flipped classr oom model improves graduate student performance in cardiovascular, respiratory, and renal physiology. Advances in physiology education,2013.37(4):p.316- 320. 

  9. Wright, D.N., Interactive multimedia dental education: the next five years and beyond. Medinfo,1995.8Pt 2:p.1305-7. 

  10. Abbey, L.M., Interactive multimedia patient simulations in dental and continuing dental education.Dent ClinNorthAm,2002.46(3):p.575-87,vii-viii. 

  11. Park, S.E. and T.H. Howell, Implementation of a flipped classroom educational model in a predoctoral dental course. J Dent Educ,2015.79(5):p.563-70. 

  12. Arnold-Garza, S., The flipped classroom Assess in gan innovative teaching model for effective and engaging library instruction. College & Research Libraries News,2014.75(1):p.10-13. 

  13. Critz, C.M. and D. Knight, Using the flipped classroom in 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or, 2013.38(5):p.210-213. 

  14. Galway, L.P., et al., An over integration of online and flipped classroom instructional models in public health higher education. BMC medical education,2014.14(1):p.1. 

  15. Kavadella, A., et al., Evaluation of a blended learning course for teaching oral radiology to undergraduate dental students. European Journal of DentalEducation,2012.16(1):p.e88-e95. 

  16. Pahinis, K., et al., Evaluating a blended-learning course taught to different groups of learners in a dental school. Journal of dental education,2007.71(2): p.269-278. 

  17. Garrison, D.R. and H. Kanuka, Blended learning: Uncovering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in higher education. The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2004.7(2): p.95-105. 

  18. Findlay-Thompson, S. and P. Mombourquette, Evaluation of a flipped classroom in an undergraduate business course. Business Education & Accreditation, 2014.6(1):p.63-71. 

  19. Heesuk Lee, Seojeong H대 and Changsuk Kim. A Comparative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on Traditional Instruction and Flipped Learning, 2015. 19(1): p.113-1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