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70,000 kL급 LNG 저장 탱크 외조의 폭발량에 따른 손상도 해석적 평가
Analytical Assessment of Blast Damage of 270,000-kL LNG Storage Outer Tank According to Explosive Charge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8 no.6, 2016년, pp.685 - 693  

김장호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최승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최지훈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김태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이태희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NG 저장탱크의 외조는 콘크리트 부재로 수직 방향 및 원환 방향 프리스트레싱 벽체 구조인데, 저장탱크의 대형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프리스트레싱 구간이 길어지고 그에 따른 극한 하중을 받는 LNG 저장탱크의 거동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주요 사회기반시설구조물의 하나인 LNG 저장탱크에 테러와 같은 폭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폭발 저항 성능에 대한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은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사용하여 270,000kL급 LNG 저장탱크 외조의 TNT 폭발에 대한 거동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또한 TNT 폭발량에 따른 폭발에 대한 LNG 저장탱크의 거동 비교를 통해 구조물의 안전성 및 사용성을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폭발량에 따른 구조물에 거동 변화를 확인하고, 설계 시 안전성 기준 및 검토의 보조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uter tank of a liquefied natural gas (LNG) storage tank is a longitudinally and meridionally pre-stressed concrete (PSC) wall structure. Because of the current trend of constructing larger LNG storage tanks, the pre-stressing forces required to increase wall strength must be significantly inc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과 같다. PS 텐던과 철근의 배치는 벽체 내 배치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벽체 모델링 시 그 배치를 모두 반영하여 실제 벽체에 가까운 모델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LNG 저장탱크의 폭발 하중에 대한 거동 및 구조물에 가해지는 손상 등을 파악하기 위해서 LNG 저장탱크에 적용되는 패널 부재에 대한 폭발 실험 수행과 해석적 검증을 통해 폭발 해석의 정확성을 먼저 검토할 예정이다. 폭발 실험은 한국국방과학연구소 다락대 시험장에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2번의 예비실험과 5번의 본 폭발실험으로 나눠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김호진, Malyar 등14,15,16)의 연구에서 사용한 강도 증진계수를 사용하였는데, 이 증진계수는 실험결과에 기초하여 적용된 강도증진계수를 고충격의 경우 높은 변형률 속도까지 나타낼 수 있도록 연장시킨 것이다. 최대 변형률 속도는 0.
  •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응력거동을 보이고 있는 구조물의 폭발 하중 영향 평가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고자 한다. PSC LNG 저장탱크 구조물의 설계 시 외부 폭발 하중과 같은 극한한계상태에서는 콘크리트에 부분재료계수 1.
  • 229이다. 실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 작용하는 극한 하중에 대한 강도증진효과는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철근 및 프리스트레싱 텐던에도 적용이 되어 효과가 발생할 것이나, 본 연구에서는 극한상황에 대해서 고려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증진효과만을 고려하였다.
  • ASCE13)에서는 지점회전, 단면의 전단변형률 등을 고려하여 폭발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손상정도에 따른 응답한계를 제시하고 있는데, 콘크리트 구조물의 응답한계 기준을 다음의 Table 5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이를 통해 폭발 하중에 대한 벽체의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를 구현하기 위해 LS-DYNA에서 제공하는 Initial_Stress_Beam 옵션을 통해 프리스트레싱 긴장력 적용하였다. Initial_Stress_Beam 옵션을 사용하는 경우 프리스트레싱 텐던 빔 요소에 적용시킨 힘이 초기조건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고 가정한다. Fig.
  • 따라서 프리스트레싱 텐던은 1D 빔 요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에 프리스트레싱 텐던의 배치 및 규격을 고려하여 *Constrained_Lagrange_in_Solid 접촉조건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요소 내에 매입시켰다. 또한 부착식 텐던으로 가정하여 콘크리트 솔리드 요소와 텐던의 변위장을 일치시켰다. 폭발 해석 시 긴장력을 초기 조건으로 설정하여야 한다.
  • 폭발 하중의 발생은 LNG 저장탱크의 정상가동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정상가동 상태에서 LNG 저장탱크 외조는 자중, 프리스트레싱 하중, 내압 하중 등을 받고 있으며, 그중 정상가동시의 내압은 크기가 작고 외부 폭발 하중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무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폭발 하중이 축대칭 하중과는 다르게 요구되는 해석분야는 무엇인가? 폭발 하중은 내압, 자중 등의 축대칭 하중과는 달리 비대칭 하중으로 일반적으로 3차원 유한요소해석이 요구되어 LS-DYNA explicit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폭발 하중을 받는 패널부재 실험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LNG 저장탱크 관련 해석 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이 밖에도 LNG 저장탱크의 설계 및 해석과 관련한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었다. 하지만 LNG 저장탱크 관련 해석 연구들을 살펴보면 LNG particle의 움직임에 따라 내조에 작용하는 압력을 고려한 내조해석이 대부분이고 하중조건 및 하중조합조건에서 폭발 하중에서 LNG 탱크의 외조에 대한 해석검토는 미미한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사람이 휴대할수 있는 폭발량에 의한 외조 벽체의 외부 폭발 하중에 대한 저항 성능 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1) 폭발량을 선정하는 데 있어 예비실험의 폭발량 및 사람이 휴대할 수 있는 폭발량 45.36 kg (100 lbs)로 선정하여 LNG 저장탱크 구조적 취약 위치에 폭발 해석을 수행한 결과 발생한 응력에 비해 변위는 매우 미소한 크기로 발생하였는데 이는 매우 짧은 순간 폭발이 발생하여 충격력이 벽체 후면까지 전달되지 못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C. K., and Kim, H. G., "Optimized Design of Roof Structure in LNG Storage Tan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9, No. 4, 2005, pp. 36-43. 

  2. Jeon, S. J., Jin, B. M., Yoo, J. W., and Kim, Y. J., "Design Basis for Large Above-Ground LNG Tank", Journal of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5, No. 3, 2003, pp. 31-37. 

  3. Delorme, L., Iglesias, A. S., and Perez, S. A., "Sloshing Loads Simulation in LNG Tankers with SP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Methods in Marine Engineering, Barcelona, Spain, 2005. 

  4. Luccioni, B. M., Ambrosini, R. D., and Danesi, R. F., "Analysis of Building Collapse Under Blast Loads", Engineering Structures, Vol. 26, No. 1, 2004, pp. 63-71. 

  5. Chen, W., Hao, H., and Chen, S., "Numerical Analysis of 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Beam Subjected to Blast Loading", Materials & Design, Vol. 65, No. 83, 2015, pp. 662-674. 

  6. Jiang, H., Wang, X., and He, S., "Numerical Simulation of Impact Tests on Reinforced Concrete Beams", Materials & Design, Vol. 39, No. 14, 2012, pp. 111-120. 

  7. Wang, F., Wan, Y. K. M., Chong, O. Y. K., Lim, C. H., and Lim, E. T. M., "Reinforced Concrete Slab Subjected to Close-in Explosion", Proc., 7th German LS-DYNA Forum, Bamberg, Germany, 2008. 

  8. Yi, N. H., Kim, J. H. J., Han, T. S., Cho, Y. G., and Lee, J. H., "Blast-Resistant Characteristics of Ultra-High Strength Concrete and Reactive Powder Concret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8, No. 1, 2012, pp. 694-707. 

  9. Fang, Q., Qian, Q. H., and Shi, Y. L., "A Rate-Sensitive Analysis of R/C Beams Subjected to Blast Load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tructures under Shock and Impact, Udine, 1996. 

  10. Li, J., and Hao, H., "Influence of Brittle Shear Damage on Accuracy of the Two-Step Method in Prediction of Structural Response to Blast Load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54, No. 19, 2013, pp. 217-231. 

  11. Shi, Y., Hao, H., and Li, Z. X., "Numerical Derivation of Pressure-Impulse Diagrams for Prediction of RC Column Damage to Blast Load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5, No. 11 , 2008, pp. 1213-1227. 

  12. Lee, S. W., Jun, H. Y., Kim, J. H. J., Kim, J. H., and Lee, K. W.. "Analysis Evaluation of Impact Behavior of 270,000 kL LNG Storage Outer Tank from Prestress Force Los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Vol. 18, No. 1, 2014, pp. 31-40. 

  13. Conrath, E. J., "Structural Design for Physical Security: State of the Practic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999. 

  14. Kim, H. J., Nam, J. W., Kim, S. B., Kim, J. H., and Byun, K. J., "Analytical Evaluations of the Retrofit Performances of Concrete Wall Structures Subjected to Blast Load",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19, No. 2, 2007, pp. 241-250. 

  15. Malvar, L. J., "Review of Static and Dynamic Properties of Steel Reinforcing Bars",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No. 5, 1998, pp. 609-616. 

  16. Malvar, L. J., and Ross, C. A., "Review of Strain Rate Effects for Concrete in Tension",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No. 6, 1998, pp. 735-7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