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평면도형의 둘레 문제 해결에 관한 제언
A Study on Solving Circumference of Plane Fig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9 no.4, 2016년, pp.291 - 311  

노은환 (진주교육대학교) ,  정상태 (사천동성초등학교)

초록

연구자는 직각으로만 이루어진 계단 모양의 둘레를 구하는 과정에서 이미 알고 있는 직사각형의 둘레를 구하는 방식을 활용하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았다. 이에, 평면도형의 둘레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확인하고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면도형의 둘레 문제에 관한 다수 학생의 기록지를 분석하고, 그들 중 일부를 대상으로 면담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둘레를 구하기 위해 주어진 정보의 인식과, 그것을 해결에 필요한 정보로 전환하는 두 측면 모두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둘레가 길이의 속성을 갖는다는 선행지식도 적절히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평면도형의 둘레 문제해결을 돕기 위한 지도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er was interested in circumference of plane figure problem. Meanwhile, researcher found some difficulty in solving circumference problem with stair like plane figure. In this phenomenon, researcher felt to find the teaching method to help students with circumference of plane figure. For this...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행 교육과정(교육부, 2015b)에서 언급한 측정 활동의 중요성은 무엇인가? 측정(測定)은 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하여 같은 종류의 다른 양의 크기를 잼을 뜻하며1), 어떠한 것의 양을 측정하는 활동은 생활에서 떼 놓을 수 없을 만큼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 측정의 중요성은 여러 문헌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현행 교육과정(교육부, 2015b)에서는 ‘측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양의 비교, 측정, 어림은 수학 학습을 통해 길러야 할 중요한 기능이고, 이는 실생활이나 타 교과의 학습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또한 측정을 통해 길러지는 양감은 수학적 소양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와 같이 측정 활동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측정이란? 측정(測定)은 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하여 같은 종류의 다른 양의 크기를 잼을 뜻하며1), 어떠한 것의 양을 측정하는 활동은 생활에서 떼 놓을 수 없을 만큼 자주 이루어지고 있다. 측정의 중요성은 여러 문헌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데 현행 교육과정(교육부, 2015b)에서는 ‘측정 과정에서 경험하는 양의 비교, 측정, 어림은 수학 학습을 통해 길러야 할 중요한 기능이고, 이는 실생활이나 타 교과의 학습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
학생들이 둘레와 넓이의 측정값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평면도형의 둘레에 관해 수행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둘레와 넓이를 연관지어 수행된 연구가 많다는 특징이 확인된다. 고신애(2014)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에서 다수 학생들이 둘레가 증가하면 넓이도 증가한다는 오류를 보인다는 것을 밝힌 바 있으며, 이대현(2001)은 도형의 변의 길이는 도형의 둘레의 길이나 넓이에 관계되기 때문에, 학생들은 두 측정값이 서로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 외에도 이대현(2002)은 도형의 둘레와 넓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초등학생의 이해를 분석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강문봉.김정하 (2015).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 방법에 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25(3). 461-472.(Kang, M, B.; Kim, J, H. (2015). A Study on Teaching Method of Area Formulas in Plane Figures - Inductive Reasoning vs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5(3), 461-472.) 

  2. 고신애 (2014).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둘레와 넓이의 관계에 관한 이해와 교사의 지도방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Ko, S, A. (2014). An Analysis of Fif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rcumference and Area and Teacher's Teaching Methods. Master's thesi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 교육부 (2013).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2-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3).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2-1. Seoul: Chunjae Education.) 

  4. 교육부 (2014a).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3-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a).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3-1. Seoul: Chunjae Education.) 

  5. 교육부 (2014b).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4-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b).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4-1. Seoul: Chunjae Education.) 

  6. 교육부 (2014c).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4-2.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4c).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4-2. Seoul: Chunjae Education.) 

  7. 교육부 (2015a).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5-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8. 교육부 (2015b). 초등학교 수학 교사용 지도서 5-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9. 교육부 (2015c). 초등학교 수학 익힘책 5-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c).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Practice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10. 김상화.방정숙.정유경 (2013). 평면도형의 넓이 수업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해결 방법에 근거한 교사의 형식화 도출 과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5(4). 847-866.(Kim, S, H.; Pang, J, S.; Jung, Y, K. (2013). An Analysis of a Teacher's Formalization Procedure Based on Students' Various Solution Methods in Teaching the Area of Plane Figures. Journal of Korea Socie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5(4), 847-866.) 

  11. 김용태 (2014). 2500년 동안의 측정의 교수학. 서울: 교우사(Kim, Y, T. (2014). The Pedagogy of Measurement in 2500 years. Seoul: Kyowoosa.) 

  12. 박선영.강완 (2012).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에 대한 교사의 PCK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22(4). 495-515.(Park, S, Y.; Kang, W. (2012). A Study of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bout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495-515.) 

  13. 박은률.백석윤 (2010).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20(4). 305-322.(Park, E, Y.; Paik, S, Y. (2010). Epistemological Obstacles in the Learning of Area in Plane Figur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4), 305-322.) 

  14. 안선영.방정숙 (2006) 평면도형의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6(1). 25-41.(An, S, Y.; Pang, J, S. (2006). An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1), 25-41.) 

  15. 오영열 (2010). 초등학교에서의 넓이 측정 지도에 관한 고찰 -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1(1), 233-245.(Oh, Y, Y. (2010). Rethinking about Teaching Area Measurement in the Elementary Grades - Focused o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f Mathematic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1), 233-245.) 

  16. 유연자.방정숙 (2008) 초등학교 5학년 평면도형의 넓이 구하기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해결 방법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 10(3). 443-461.(Yu, Y, J.; Pang, J, S. (2008). An Analysis of Fifth Graders' Solution Methods in Finding the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 10(3), 443-461.) 

  17. 이경화 (1999). 측정영역의 지도에 관한 소고 - 4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3(1), 55-62.(Lee, K, H. (1999). A Study on Teaching Measurement in Grade 4.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3(1), 55-62.) 

  18. 이대현 (2001). 수학 문제해결 과정에서 고등학생들의 직관적 사고의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Lee, D, H. (2001). An Analysis of Intuitive Th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Doctor's thesis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9. 이대현 (2002). 초등학생들의 도형의 둘레와 넓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6(2), 85-91.(Lee, D, H. (2002).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of geometric fig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6(2), 85-91.) 

  20. 이대현 (2011). 초등수학 지도의 원리와 방법. 경기: 동명사.(Lee, D, H. (2011). Principles and Methods i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yeonggi: Dongmyungsa.) 

  21. 정동권 (2001).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통한 수학적 사고의 신장. 인천교육대학교 , 13. 1-36.(Jeong, D, G. (2001). On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eaching Area Measure.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3. 1-36.) 

  22. 정필원.송상헌 (2005). 평면도형의 넓이 지도를 위한 퀴즈네르 막대의 활용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 18. 29-51.(Jeong, P, W.; Song, S, H. (2005). A Study on the Using of Cuisenaire Rods for the Teaching of Areas in Plane Figures. The Bulletin of Science Education, 18. 29-51.) 

  23. 片桐 重男(2004). 新版數學的な考え方とその指導 第1卷. 東京: 明治圖書. 이용률.정동권 역 (2013). 수학적인 생각의 구체화와 지도. 서울: 경문사.(S, Katagiri. (2004). Sugakuteki na Kangaekata no Gutaika to Shidou. Tokyo: Meijitosho Shuppan.) 

  24. 황윤미 (2010). 평면 도형의 둘레와 넓이 지도 개선에 관한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Hwang, Y, M. (2010). A Research on Teaching the Circumference and Area of Plane Figure. Master's thesis of Ch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권성룡.김남균.김수환.김용대.남승인.류성림.방정숙.신준식.이대현.이봉주.조완영.조정수 역 (2006).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서울: 경문사. 

  26. Stephen, I, B. & Marion, I, W. (2005). The Art of Problem Posing (3rd edi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조정수.김진환 역 (2012). 문제제기의 기술. 서울: 경문사 

  27. Paul, E. (2002).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Taylor & Francis e-Library. 이중권.강문봉.백석윤.장혜원.황우형 역 (2006). 수학교육철학. 서울: 경문사. 

  28. Krulick, S. & Rudnick, J. A. (1987). Problem solving : A handbook for teachers. Boston: Allyn and Bacon, Inc. 

  2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30. Peter, C. B., Henry, L. R. & Mark, A. M. (2014). Make It Stick: The Science of Successful Lear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김아영 역 (2014).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서울: (주)미래엔. 

  31. Reys, R. E., Lindquist, M. M., Lambdin, D. V., & Smith, N. L. (2009). 박성선.김민경.방정숙.권점례 역 (2012).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서울: 경문사. 

  32. Robert, P. C. (2011). World in the balance: The historic quest of for an abolute system of measurement.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nc. 노승영 역 (2013). 측정의 역사. 서울: 에이도스. 

  33. Walle, J. A., Karp, K. S., & Bay-Williams, J. M. (2004).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ahtematics : Teaching Developmentally, 5th edition. Pearson Education, Inc. 남승인.서찬숙.최진화.강영란.홍우주.배혜진.김수민 역 (2008). 수학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서울: 경문사.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