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수행 능력 조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perimeter and area of plane figure and the surface area and volume of solid figur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8 no.2, 2019년, pp.283 - 298  

임영빈 (인천신촌초등학교) ,  임예은 (인천청천초등학교) ,  김수미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포함된 측정 속성 가운데 둘레와 넓이, 겉넓이와 부피는 5, 6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진다. 그러나 이 영역에서 학생들의 수행능력이 어느 정도가 되며 어떤 문제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진단하고, 각 요소별 수행 능력을 비교 분석하여 차후 수학 교과서 개발 및 측정 영역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둘레, 넓이, 겉넓이, 부피, 둘레와 넓이의 관계, 겉넓이와 부피의 관계에 관련된 문항을 구성하여 6학년 학생 95명을 대상으로 수행 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6학년들의 수행능력이 둘레, 겉넓이, 둘레와 넓이의 관계, 겉넓이와 부피의 관계 영역에서 특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둘레와 넓이, 겉넓이와 부피 개념의 도입 순서와 지도 방법, 지도 순서 등에 대한 몇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the measurement attributes included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erimeter, area, volume and surface area are intensively covered in fifth and sixth graders. However, not much is known about the level of student performance and difficulties in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주제어

표/그림 (3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위 오류란? 6%)이 높았기 때문이다. 단위 오류는 답란에 수치만 적고 단위를 누락하거나, 부적절한 단위를 적은 경우인데, 그림이 없는 문장제로 제시된 경우 학생들이 문장에 포함된 단위를 포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듯하다. 또한 그림이 있는 문제가 cm 단위를 사용한 반면, 그림이 없는 문제가 m 단위를 사용한 것도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이 연구 결과만으로는 단언하기 어렵다.
그림의 유무가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문항의 정답률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은 이유는? 평면도형의 둘레와 넓이 문항에서는 그림의 유무가 정답률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에서는 영향을 별로 미치지 않았다([Table 16]). 그 이유는 입체도형의 겉넓이와 부피 측정 검사문항에서 모두 센티 미터(cm) 단위만 사용했기 때문에 학생들이 단위에 주의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계단형 평면도형의 넓이 측정에서 나타나는 오답 유형 중, 식 오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이유는? 5%), 기타(1%) 순으로 나타났다([Table 12]). 식 오류가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이유는 계단형 도형의 넓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혼합산을 이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이 제시된 수치를 무조건 곱하거나 더하는 식으로 계산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치를 잘못 대입하거나 큰 직사각형의 넓이만 구하고 비어있는 부분의 넓이를 빼지 않는 등 정보처리의 미숙함을 보인 경우도 많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hn, S. Y. & Pang, J. S. (2006).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teaching practice: focusing on the area of plane figur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1), 25-41. 

  2. Ahn, Y. K. & Kim, S. H. (2011). The variation of emotion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1(3), 295-311. 

  3. Altieri M. B., Balka D. S., Day R., Gonsalves P. D., Grace, E. C., Krulik S., ..., Vielhaber K. (2009). Math connects, grade 5. Macmillan/Mcgraw-Hill. 

  4. Bae, C. S (2002). Study on teaching method for finding areas of irregular figures using manipulative materials. Master thesis,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5. Collars, C., Lee, K. P., Hoe, L. N., Leng, O.B., & Seng, T. C. (2005). Shaping math 5-A.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6. Hershkowitz, R. & Vinner, Sh.(1982). Basic geometric concepts-definitions and images. In Proceedings of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A. Vermandel(Ed.) Universitaire Instelling, Antwerpen, 18-23. 

  7. Hong, G. J., Choi, Y. G., An, S. Y., & Kim, K. U. (2008). On the approach for the volume and the surface area of solid figures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8(1), 81-101. 

  8. Jeong, D. G (2001). On develop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eaching area measure. Science Education Center in Inche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13), 1-36. 

  9. Jeong, P. W (2005).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cuisenaire rods in elementary education of the width of plane figure.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ang, M. B., Kang, H. K., Kim, S. M., Park, K. S., Park, M. H., Seo, D. Y., ..., Chong, Y. O.(2005).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Seoul: Kyungmoon 

  11. Kim, J. B (2000). A study on the segmentation and teaching methods of shape.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1, 1-18 

  12. Lee, D.H (2001). Analysis of intuitive thinking of high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cess. Ph. D.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3. Lee, D. H (2002).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meter and area of geometric figur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6(2), 85-91. 

  14. Lee, K. H. (2001). Teaching measurement based on activities and intuition-focused on area and perimeter.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22, 99-118. 

  15. Lee, S. Y (2006). Analysi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struction of the area formula of plane figures. Master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Ma, L.(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 United Stat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18. 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 6-1. Seoul: Chunjae Education. 

  19. Morrow P., Connelly R., Johnston J., Keyes B., Jones D., Davis M., ..., Brown T. (2005). Math makes sense, grade 6. Pearson/Addison Wesley 

  20. Morrow P., Connelly R., Johnston J., Keyes B., Jones D., Davis M., ..., Brown T. (2005). Math makes sense, grade 5. Pearson/Addison Wesley 

  2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Ed.).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Vol. 1).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2. Pang, J. S., Kim, S.H., & Park, K.R. (2006).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fost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athematics. Institute for Education Research (KRF-2005-030-B00045) 

  23. Park, H. G., Kim, Y. H., & Jeon, P. G. (2006). An analysis of fifth Graders' knowledge in measuring the area of Plane Figure. In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79-90. 

  24. Song, M. J (2004). Analysis of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of elementary students in measurement. Master thesis,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5. Wertheimer, M. (1959). Productive thinking (enlarged ed.). New York: Harper & Row(originally published in 1945) 

  26. 東京書籍 (2013). 新しい算數5-上. 東京書籍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