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이 구매·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
Brand Authenticity Mediated the Effect of Brand Authority and Ethicality on Purchase and Word-of-mouth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611 - 619  

이종만 (동양미래대학교 경영학부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브랜드 진정성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브랜드 진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집중하여 왔다. 그러나 이제는 통합적인 시각에서 제안된 척도의 활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이 구매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적 변수효과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설문방법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수집한 총 136개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료의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은 구매추천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브랜드 진정성을 매개로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권위성과 윤리성은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직장인의 구매 추천의도에 대한 정보를 탐색함과 동시에 브랜드 관리 정책 수립에 있어서 브랜드 진정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or researches on brand authenticity so far have focused on the scale development for measuring brand authenticity. However, at the point of tim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utilization of the proposed scale in an integrative approach.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examine brand authenti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브랜드에 대한 직장인의 지각된 진정성에 대하여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브랜드 권위성, 브랜드 윤리성과 같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인 소비자의 구매·추천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이론모형을 제안하였고,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브랜드 진정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지금까지 선행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시되었던 브랜드 진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속성들 중에서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핵심 속성인 브랜드 권위성과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촉진 속성인 브랜드 윤리성을 동시에 고려한 독립변수, 소비자 구매·추천의도를 종속변수로서 설정하여 브랜드 진정성의 매개변수 효과를 살펴볼 수 있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선행연구에서 보고되었던 브랜드 속성 중에서 전통적인 관점의 브랜드 권위성과 최근 이슈인 브랜드 윤리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브랜드 진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동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결과 변수인 구매·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살펴보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 앞에서 도출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 직장인을 편의적 표집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장인은 일정수준 이상의 구매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한 표본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설문조사는 서울, 인천, 경기 지역에 있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 브랜드의 권위성은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 브랜드 윤리성은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은 그들의 브랜드 구매·추천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 권위성이란 무엇인가? 브랜드 권위성(brand authority)이란 무엇인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권위는 ‘남을 지휘하거나 통솔하여 따르게 하는 힘’ 또는 ‘일정한 분야에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위신’을 의미한다[6].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브랜드 권위성이란 ‘브랜드의 특징 등 관련 정보가 사회적으로잘 알려져서 유명해지고 인정받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의미를 지닌 브랜드의 권위성은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하겠다[7].
브랜드는 기업에게 무엇으로 발전되었는가? 자신이 소유한 가축 또는 위스키 나무통이 자신의 소유임을 나타내거나 타인의 것과 구별하기 위하여 인두를 달구어 찍은 낙인이란 어원을 지닌 브랜드는 그 어원처럼 처음에는 기업들이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경쟁사와 구별하는 용도로 사용되었다[2]. 하지만 이후에 브랜드는 기업에게는 수익을 창출하는 원천으로, 소비자에게는 자신의 가치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발전하여 왔다.
해외 연구들에서 어떻게 상황에 따른 관점에 따라 진정성이 정의되었는가? 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Beverland는 소비자 관점에서 진정성을 표현하였고[10], Dickinson은 교환 및 거래 관점에서 진정성을 바라보았으며[11], Leigh 외 2인은 진정성을 경험적 관점에서 표현하고자 하였다[12]. 국내 연구들을 살펴보면, 서용구 외 2인은 화장품 브랜드의 진정성을 정의하고자 하였으며[3], 최근에서야 김상훈 외 2인이 비교적 포괄적으로 브랜드 진정성을 정의하고자 노력하였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상훈, 박현정, 이은영, "소비자의 브랜드 진정성 지각과 관련된 브랜드 속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398-410, 2014. 

  2. 박종오, 권오영, 편해수, 마케팅, 북넷, 2012. 

  3. 서용구, 유혜선, 김혜란,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애착 및 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통연구, 제19권, 제2호, pp.87-111, 2014. 

  4. http://www.dt.co.kr/ 

  5. 이소연, 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성향과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6. http://www.korean.go.kr/ 

  7. 윤성욱, 김민희, "판매 접점에서 브랜드 명성과 사회적지지 메시지의 역할: 메시지 측면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통연구, 제19권, 제2호, pp.1-26, 2014. 

  8. 서상우, 패션 브랜드 진정성의 속성과 척도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9. 김상희, "서비스회복은 고객의 머리로 이루어지는가? 가슴으로 이루어지는가?: 공정성 vd 진정성의 상대적 영향력 비교," 경영학연구, 제43권, 제1호, pp.1-39, 2014. 

  10. M. Beverland, "Brand Management and the Challenge of Authenticity," J.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Vol.14, No.7, pp.460-461, 2005. 

  11. H. Dickinson, "The Evaluation of Health and Social Care Partnerships: An Analysis of Approaches and Synthesis for the Future," Health and Social Care in the Community, Vol.14, No.5, pp.375-383, 2006. 

  12. T. W. Leigh, C. Peters, and J. Shelton, "The Consumer Quest for Authenticity: The Multiplicity of Meanings within the MG Subculture of Consumption," J.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4, No.4, pp.481-493, 2006. 

  13. 서은경, 황선진, "공익마케팅을 전개하는 패션브랜드에 대한 소비자태도와 친숙성이 신뢰와 구매.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복식학회지, 제59권, 제6호, pp.1-15, 2009. 

  14. S. Tih and K. H. Lee, "Perceptions and Predictors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for Store Brands: Evidence from Malaysia," Asian Journal of Business and Accounting, 제6 권, 제2호, pp.105-136, 2013. 

  15. 이지현, 이유리, "패션기업의 자선적 책임에 대한 선의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혜지각의 매개효과, 윤리적 소비주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25권, 제6호, pp.45-63, 2014. 

  16. http://www.smartpls.de/ 

  17. D. Barclay, C. Higgins, and R. Thomson,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 as 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pp.285-309, 1995. 

  18. E. G. Carmines and R. A. Zeller,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SAGE Publications, 1979. 

  19. W. W. Chin, "Issues and Opinion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IS Quarterly, Vol.22, No.1, pp.7-16, Mar. 1998. 

  20. C. Fornell and D. La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921-950, 1981. 

  21. J. F. Hair, R. E. Anderson, R. L. Tatham, and W. C.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 Prentice Hall, 1998. 

  22. R. P. Bagozzi and Y. Yi,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Models," J.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16, No.1, pp.77-94, 1988. 

  23.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