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검사지 개발
Development of Physical Activities Self-Management Questionnaire of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1, 2016년, pp.642 - 654  

안정덕 (부산대학교) ,  정상훈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학생의 자기관리의 특성을 분석하고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반학생에서부터 체육영재로 선발되어 훈련받고 있는 학생, 그리고 현재 각급 학교에서 운동선수로 활동하고 있는 어린이들까지 망라하여 총 1005명의 다양한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단계별로 전문가 회의, 귀납적 범주화,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변별타당도 검증을 위해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거쳐 초등학생의 신체활동 자기관리 요인은 운동관리, 생활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 6요인 총 24문항으로 확정되었다. 또한, 변별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 어린이와 체육 영재 어린이의 집단 간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검증한 결과 운동관리, 대인관리, 재미, 자신감, 부모의 지지, 대인관계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체육영재 어린이가 일반 어린이 집단에서 보다 신체활동 자기관리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진단하는 검사지로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lf-management of the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elementary and develop self-management. To do this, from the average student is selected to receive training in physical education gifted students, and to cover up the children who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자기관리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그간 고교생 이상의 연령층에 주목하여 제작된 검사지를 차용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 즉, 스포츠에 참여하여 신체활동을 통해 내·외적인 자기관리 요인들을 파악하여 운동과 관련된 역량을 판단하는 준거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재 야심차게 진행되고 체육영재육성 사업과 각종 스포츠 꿈나무 발굴시 체육영재성 판별을 위한 심리측정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 것이 이차적인 목적이다. 즉, 일반 어린이들 보다 체육영재 어린이는 유전적으로 타고난 신체능력과 운동에 대한 집중력으로 인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를 더욱 강화시키기 위해 자기관리를 철저히할 가능성이 높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자기관리를 진단하는 검사지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결과적으로 초등학생 시기는 학교교사 그리고 부모, 또는 운동지도자에 의해서 영향력을 크게 받는 특수성이 있다.
  •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활동 자기관리 변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개발하여 그간 고교생 이상의 연령층에 주목하여 제작된 검사지를 차용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검사지는 최근 어린이들의 스포츠 활동 증가 추세와 더불어 요구되고 있는 신체활동 자기관리능력과 관련한 스포츠심리 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로 심리검사지로서의 활용성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검사지의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즉, 미성숙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시기부터 일상생활과 운동의 연계를 통한 자기관리가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고교 이상의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자기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검사지 또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정되어 있어 운동을 시작하고 배우는 단계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관리를 측정하는 검사지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성공적인 스포츠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 기반이 되어야 하는것은 무엇인가? 요즈음 운동선수들의 자기관리와 관련한 연구가 그 어느 때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오래전부터 성공적인 스포츠 선수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자기 관리가 기반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 지극히 일반적인 상식으로 언급되어져 왔으나, 이러한 자기관리가 체육과 스포츠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로 주목받기 시작한지는 비교적 최근의 현상이다.
자기관리행동을 측정하는 도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실제로 이들 검사지는 기초문항을 만드는 과정에서부터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는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고교선수 이상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였거나[2], 후보문항을 만드는 과정에서는 고교선수급 이상의 연령층에 초점을 맞추었고 요인분석 과정에서만 중학교 선수를 포함하고[3] 있다. 따라서 이들 검사지들은 초등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발달 특성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중학교 이하의 유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으로 상당한 한계가 있다고 판단된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운동 상황에서의 자기관리 심리 검사지의 개발에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허정훈, 김병준, 유진, "대학 운동 선수들의 자기관리 전략: 평소연습과 시합상황의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제40권, 제1호, pp.187-198, 2001. 

  2. 허정훈, "운동선수 자기관리 검사지(ASMQ) 개발,"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95-109, 2003. 

  3. 김병준, "운동선수 자기관리행동의 측정," 체육과학연구, 제14권, 제4호, pp.125-140, 2003. 

  4. S. P. Draper, J. Salmela, and N. Durand-Bush, The Ottawa mental skills assessment too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R. Vanfraechem-Raway & Y. Vanden(Eds.), Proceedings of the 4th European Congress of Sport Psychology, Lisbon, Portugal, 1995. 

  5. P. R. Thomas, S. M. Murphy, and L. Hardy, "Test of performance strategies: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 comprehensive measure of athletes' psychological skill," Journal of Sport Sciences, Vol.17, pp.697-711, 1999. 

  6. 김종화, 우동한, "유소년 축구선수 부모 운동지원 행동에 따른 자기관리 행동 및 사회성숙도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93-607, 2008. 

  7. 송용관, 천승현, 이철, "초등학교 클럽축구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수준에 따른 재미와 자기관리유형," 한국체육학회지, 제50권, 제4호, pp.77-90, 2011. 

  8. 원성연,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의 목표성향에 따른 자기관리와 스포츠 재미요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1. 

  9. 이경님,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5호, pp.161-174, 2006. 

  10. 권보라, 장영은,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애착이 초등학생 자녀의 자기조절을 통해 자기관리기술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7호, pp.49-58, 2012. 

  11. A. S. Morris, J. S. Silk, L. Steinberg, F. M. Sessa, S. Avennevoli, and M. J. Essex, "Temperamental vulnerability and negative parenting as interacting predictors of child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Vol.64, No.2, pp.411-461, 2002. 

  12. M. B. Hofsta, J. Van der Ende, and F. C. Verhulst, "Continuity and change of psychopathology from childhood into adulthood: A 14-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Psychiatry, Vol.39, pp.850-858, 2000. 

  13. L. Crockner and J. Algina,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14. B. Auyeung, S. Wheelwright, C. Allison, M. Atkinson, N. Samarawickrema, and S. Baron-Cohen, "The Children's Empathy Quotient and Systemizing Quotient: Sex differences in Typical Development and in Autism Spectrum Condition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 Vol.39, No.11, pp.1509-1521, 2009. 

  15. 오현진, 정지윤,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 19권, 제3호, pp.101-112, 2006. 

  16. P. M. Bentler, "Comparative fit indic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7, pp.238-246, 1990. 

  17. L. R. Tucker and C. Lewis, "A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38, pp.1-10, 1973. 

  18. L. Z. Hu and P. M. Bentler,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pp.1-55, 1999. 

  19. 박영신, "부모 자녀 관계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제38권, 제2호, pp.109-147, 2002. 

  20. W. M. Leonard, A sociological perspective of sport, Mn: Burgess Publishing company, 1980. 

  21. 장덕선, 우수선수 최고수행의 심리적 경험: 심층적 접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 1995. 

  22. 유진, "운동선수들의 심리적 기술 검사지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제35권, 제3호, pp.107-124, 199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