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일터영성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Development of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22 no.1, 2016년, pp.99 - 108  

석정원 (삼육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고명숙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Methods: Using 44 preliminary items which were developed in a former study, a survey was done with 469 nurses working in 2 city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9 to October 10, 2014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탐색적 요인 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44개 예비문항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예측과 평가를 목적으로 하는 간호일터영성의 측정도구의 확인에 그 목적을 가지고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터영성이란 무엇인가 일터영성이란 일터(workplace)와 영성(spirituality) 개념의 합성이다. 먼저 일터란 일터환경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는 타 직장 환경과는 서로 다른 사명, 가치를 가진 곳으로 오늘날 사람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낸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이곳에서 Maslow가 주장하는 자기실현[1]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간호일터 환경이 다른 직장 환경과는 달리 사명 및 그 역할이 상호배타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는 돌봄 행위를 근간으로 인간의 삶 전체와 상호작용하는 소명이며 간호사는 이를 통해 대상자의 건강회복, 건강증진을 추구하는 전문직업인이다. 따라서 간호일터의 환경은 다른 직장 환경과는 사명 및 그 역할이 상호배타적이라 할 수 있다.
일터란 무엇인가 일터영성이란 일터(workplace)와 영성(spirituality) 개념의 합성이다. 먼저 일터란 일터환경으로도 볼 수 있으며 이는 타 직장 환경과는 서로 다른 사명, 가치를 가진 곳으로 오늘날 사람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직장에서 보낸다는 것을 생각할 때 이곳에서 Maslow가 주장하는 자기실현[1]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하는 곳이기도 하다. 한편, 영성의 개념은 포괄적으로는 종교적 요인과 심리적인 면을 포함하고 있으며 현실상황에서 그 이상을 초월할 수 있는 개인적인 경험이며, 인생목적 의미를 추구하는 것[2]으로 이해되어 왔는데, 오늘날 조직에서는 개인의 내부 평화와 안정, 그리고 조화와 통합을 중요시 여기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aslow AH.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Viking; 1971. 

  2. Lee WH. Spiritual need assessment, spiritual nursing care. 1996.11.25. Sahmyook University Nursing Department Symposium. 

  3. Yu GC, Seo JH, Kim JI. Conceptual definitions and model of workplace spirituality. Korean Academy of Management. 2010;18(4):153-199. 

  4. Kim JI, Kim YD. Construct dimensions & measure for workplace spirituality: Literature review for development of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Paper presented at: 2011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1 November. p. 51-71. 

  5. Mitroff II, Denton EA. A study of spirituality in the workplace. Sloan Management Review. 1999;40(4):83-92. 

  6. Covey SR. The leader in me: How schools and parents around the world are inspiring greatness, one child at a time. New York, NY: Franklin Covey Co; 2009. 

  7. Ashmos DP, Duchon D. Spirituality at work: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Inquiry. 2000;9(2):134-145. http://dx.doi.org/10.1177/105649260092008 

  8. Giacalone RA, Jurkiewicz CL. Toward a science of Workplace Spirituality. In RA Giacalone & CL Jurkiewicz (Eds.), Handbook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New York, NY: M. E. Sharpe; 2003. p. 3-28. 

  9. Klenke K. The "S" factor in leadership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2003;79(1):56-60. http://dx.doi.org/10.1080/08832320309599089 

  10. Thompson CM. The congruent life: Following the inward path of fulfilling work and inspired leadership. San Francisco: Jossey-Bass. 2000. 

  11. Heo KS. Workplace spirituality and its relationship to leadership: A literary review and critique.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13;17(1):329-336. 

  12. Roh SC.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013. 

  13. Milliman J, Czaplewski AJ, Ferguson J. Workplace spirituality and employee work attitudes: An exploratory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Organizational Change Management. 2003;16(4):426-447. http://dx.doi.org/10.1108/09534810310484172 

  14. Koenig HG. Concerns about measuring "spirituality" in research.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8;196(5):349-355. http://dx.doi.org/10.1097/nmd.0b013e31816ff796 

  15. Chand P, Koul H. Workplace spirituality, organizational emotional ownership and job satisfaction as moderators in coping with job stres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ities, Economics and Geography. 2012. March, 17-18, 225-229. 

  16. Kumar T, Pragadeeswaran S. Effects of occupational stress on spiritual quotient among executives. International Journal of Trade, Economics and Finance. 2011;2(4):288-292. http://dx.doi.org/10.7763/ijtef.2011.v2.119 

  17. Miller L, Wickramaratne P, Gameroff MJ, Sage M, Tenke CE, Weissman MM. Religiosity and major depression in adults at high risk: A ten-year p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2012;169(1):89-94. http://dx.doi.org/10.1176/appi.ajp.2011.10121823 

  18. Kazemipour F, Mohd Amin S. The impact of workplace spirituality dimension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ur among nurses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2;20:1039-1048. http://dx.doi.org/10.1111/jonm.12025 

  19.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nd ed.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12. 

  20. Suk JW, Koh MS. Development of preliminary factors for nursing workplace spirituality instr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ngineering Research. 2015;10(79):294-298. 

  21. Kang H. Discussions on the suitable interpretation of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ategies to fit model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3;15(2):653-668. 

  22. Lee HS, Im J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7.0. Paju: Bubmunsa; 2008. 

  23. Polit DF, Beck CT.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6;29:489-497. http://dx.doi.org/10.1002.nur.20147 

  24. Kim KS. Amos 16.0 Analysis structu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2004. 

  25. Bagozzi RB, Yi Y.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988;16(1):79-94. http://dx.doi.org/10.1007/bf02723327 

  26. Fornell C, Larcker D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81;18(1):39-50. http://dx.org/10.2307/3151312 

  27. Hair JF, Anderson RE, Tathan RL,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6th ed. NY: MacMillan Publishing Co; 2006. p. 1-899. 

  28. Nunnally JC. Psychometric theory. 2nd ed. NY: McGrawHill Book Co; 1978. 

  29. Kinjersky V, & Skrypnek BJ. Measuring the intangible: Development of the spirit at work scale.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006(1);A1-A6. http://dx.doi.org/10.5465/ambpp.2006.22898605 

  30. Sheep ML. Nailing down gossamer: A valid measure of the person- organization fit of workplace spirituality. Academy of Management Proceedings. 2004;2004(1);B1-B6. http://dx.doi.org/10.5465/ambpp.2004.138625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