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분석을 이용한 지역별 비만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Analysing the Effects of Regional Factors on the Regional Variation of Obesity Rates Using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4, 2016년, pp.271 - 278  

김다양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곽진미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서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보건행정학과) ,  이광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obesity rates and regional variabl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and Community Health Survey in 2012. The units of analysis were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as c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지역적 요인과 비만율 간 관계의 크기 및 방향이 모든 지역마다 동일하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각 지역별 차이를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간 특성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이용하여 지역별 비만율과 지역특성요인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지역별 맞춤형 비만관리사업을 시행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이유는? 국내 비만인구는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한 영양과다 및 운동부족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비만 그 자체를 하나의 질병으로 간주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당뇨병, 고혈압, 심장질환과 같은 여러 가지 질병에 노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중요한 건강문제 및 정책 이슈로 대두되고있다[1].
지역에 따른 비만율 차이는? 지방자치단체와 질병관리본부가 매년 함께 조사하는 지역단위의 대표적인 통계인 지역사회건강조사를 살펴보면 지역 간 건강수준에는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비만율은 특별시, 광역시에 비해 강원도, 제주도가 높으며, 매년 비만율이 높은 지역은 계속 높게 유지되거나 상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6]. 지역 간 비만율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그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구성 및 비만과 관련된 지역 인프라가 다르기 때문이며, 지역이라는 공간에 속한 인구집단의 비만율은 공간을 통해 작동하는 여러 가지의 비만 결정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7,8].
기존의 비만연구의 한계는? 지역단위자료를 이용한 기존의 비만연구는 지역의 사회경제적수준이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변수를 연구에 반영하지 않거나 전통적인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지역별 비만율의 변이요인을 확인하였다[10,11].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지역적 요인과 비만율 간 관계의 크기 및 방향이 모든 지역마다 동일하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각 지역별 차이를 반영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간 특성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공간분석방법인 지리적 가중회귀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GWR)을 이용하여 지역별 비만율과 지역특성요인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지역별 맞춤형비만관리사업을시행하는데도움을주고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2. Kang JH, Kim NS. Secular trend of obesity prevalence in Korea. Korean J Obes 2002;11(4):329-336. 

  3. Park HS, Kim PN. Lifestyle factors associated with visceral fat accumulation by CT scan in Korean obese adults. Korean J Obes 2002;11(4):337-348. 

  4. Ball K, Mishra GD, Crawford D. Social factors and obesity: an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health behaviours.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003;27(3):394-403. DOI: https://doi.org/10.1038/sj.ijo.0802237. 

  5. Kim MY, Oh JK, Lim MK, Yun EH, Kang YH. The association of socioeconomic and psychosocial factors with obesity in a rural community. Korean J Obes 2012;21(1):18-28. DOI: https://doi.org/10.7570/kjo.2012.21.1.18. 

  6.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View of the regional health statistics 2008-201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7. Rose GA. The strategy of prevention medicin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8. Takano T, Nakamura K. An analysis of health levels and various indicators of urban environments for Healthy Cities project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1;55(4):263-270. DOI: https://doi.org/10.1136/jech.55.4.263. 

  9. Schulz AJ, Zenk S, Odoms-Young A, Hollis-Neely T, Nwankwo R, Lockett M, et al. Healthy eating and exercising to reduce diabetes: exploring the potential of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frameworks within the context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diabetes prevention. Am J Public Health 2005;95(4):645-651. DOI: https://doi.org/10.2105/ajph. 2004.048256. 

  10. Kim MW. The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influencing of obesity rates: based on community health survey 2010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3. 

  11. Kim YM, Cho DG, Kang SH.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geographic variations in the prevalence of adult obesity using decision tree. Health Soc Sci 2014;36:157-181. 

  12. Dever GE. Community health analysis: global awareness at the local level. 2nd ed. Gaithersburg (MD): Aspen Publishers; 1991. 

  13. Paek KW, Hong YM. Health behavior factors affecting waist circumference as an indicator of abdominal obesity. J Prev Med Public Health 2006;39(1):59-66. 

  14. Kwon GY. Spatial analysis for obesity prevalence and related factors in Korea [dissertation]. Seoul: Seoul University; 2011. 

  15. Kim CS, Kang SY, Nam JS, Cho MH, Park JS, Nam JY, et al.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program on BMI, percentage of body fat and mood state for women with obesity. Korean J Obes 2004;13(2):132-140. 

  16. Yoon DH, Park JH, Cho SC, Park MJ, Kim SS, Choi SH, et al. Depressive symptomatolog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women. Korean J Obes 2005;14(4):213-219. 

  17. Luppino FS, de Wit LM, Bouvy PF, Stijnen T, Cuijpers P, Penninx BW, et al. Overweight, obesity, and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Arch Gen Psychiatry 2010;67(3):220-229. DOI: https://doi.org/10.1001/archgenpsychiatry.2010.2. 

  18. Nam S, Park J. Depression and stress related to obesity among normal, obese, and severe obese groups-comparison among normal, obesity, and severe obesity groups. Korean J Hum Ecol 2012;21(6):1199-1210. DOI: https://doi.org/10.5934/kjhe.2012.21.6.1199. 

  19. Kim EJ, Kang MG. Effects of built environmental factors on obesity and self-reported health statu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2011;68(3):85-98. DOI: https://doi.org/10.15793/kspr.2011.68.005. 

  20. Kim DH. Analysis of small area variation of health behavior using 2008 community health survey in Korea.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1. Santana P, Santos R, Nogueira H. The link between local environment and obesity: a multilevel analysis in the Lisbon Metropolitan Area, Portugal. Soc Sci Med 2009;68(4):601-609.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11.033. 

  22. Jo DG. GIS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the survey research of small areas. Surv Res 2009;10(3):1-19. 

  23. Seok HS, Kang SH. A study on the regional variation factor of hypertension prevalence. Health Soc Welf Rev 2013;33(3):210-236.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3.33.3.210. 

  24. Anselin L, Getis A.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n Reg Sci 1992;26(1):19-33. DOI: https://doi.org/10.1007/bf01581478. 

  25. Lee KS, Choi YJ.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imary care organization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 metropolitan city using the geographic weighted regression method. Product Rev 2013;17(2):193-214. DOI: https://doi.org/10.15843/kpapr.27.2.201306.193. 

  26. Kim YT, Choi BY, Lee KO, Kim H, Chun JH, Kim SY, et al. Overview of Korean community health survey. J Korean Med Assoc 2012;55:74-83. DOI: https://doi.org/10.5124/jkma.2012.55.1.74. 

  27. Park E. A comparison of community health status by region and an investigation of related factors using community health indicator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1):31-39. DOI: https://doi.org/10.12799/jkachn.2012.23.1.31. 

  28. Yang B, Hwang C. Spatial dependency and heterogeneity of adult diseases: in the cases of obesity,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in the U.S.A. J Korean Assoc Reg Geogr 2010;16(5):610-622. 

  29. Schuurman N, Peters PA, Oliver LN. Are obesity and physical activity clustered?: a spatial analysis linked to residential density. Obesity (Silver Spring) 2009;17(12):2202-2209. DOI: https://doi.org/10.1038/oby.2009.119. 

  30. Michimi A, Wimberly MC. Spatial patterns of obesity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the conterminous U.S. Am J Prev Med 2010;39(2):e1-e12. DOI: https://doi.org/10.1016/j.amepre.2010.04.008. 

  31. Wen TH, Chen DR, Tsai MJ. Identifying geographical variations in poverty-obesity relationships: empirical evidence from Taiwan. Geospat Health 2010;4(2):257-265. 

  32. Xu Y, Lei W. GIS-based analysis of obesity and the built environment in the US. Cartogr Geogr Inf Sci 2015;42(1):9-21. DOI: https://doi.org/10.1080/15230406.2014.9657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