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야별 의료 취약지 선정지표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djustment of Indicators for Underserved Area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6 no.4, 2016년, pp.315 - 324  

곽미영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  이태호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  홍현석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  나백주 (서울특별시 시민건강국) ,  김윤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의료관리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derserved area is a region that has a lack of healthcare resources. In the context of Ko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detailed criteria for underserved areas.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indicators for underserved area through Delphi technique. We systematically reviewed the existing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의한 의료취약지 개념에 따라 의료취약지 분석지표를 정립하고 지역별 양상을 분석하여 분야별 의료취약지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와 정책 등을 감안하여 '의료취약지'를 (1) 의료수요에 제한이 있으며, (2) 보건의료자원에 대한 접근이 곤란하고, (3) 양질의 의료이용이 충족되지 못하며, (4) 건강수준 및 건강결과가 낮은 지역으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료취약지 도출을 위한 영역별 지표를 선정하고자 관련문헌 조사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약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의료수요, 의료공급, 의료이용, 건강결과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별 후보지표 67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의료취약지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보건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패널을 구성한 후, 총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법은 객관화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이 곤란한 경우에 관련 전문가의 의견과 합의를 통해 최종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방법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의한 의료취약지 개념에 따라 의료 취약지 분석지표를 정립하고 지역별 양상을 분석하여 분야별 의료취약지를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계량화가 가능한 후보 분석지표를 선정하여 델파이 조사법을 이용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 이처럼 의료서비스 수준에 따라 소진료권, 중진료권, 대진료권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각 지역단위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의 양, 시설과 인력이 고르게 분포하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 2011년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 기능 재정립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의료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대진료권 권역병원에 대한 육성정책으로 상급종합병원을 지정·지원하기 위해 진료, 교육, 인력, 시설, 장비, 질병군별 환자의 구성 비율을 고려하였고 광역의료권별 전문적인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지역암센터,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등의 권역거점 의료기관을 육성하고 있다.
  • 현재 분만 및 응급의료 분야에서 각기 다른 취약지 선정기준이 있으나, 산발적으로 지원하고 있어 의료취약지 개념을 명확히 정립하고 취약지를 선정할 지표 도출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분야별 의료취약지 개념을 정의하고 지역별 양상을 분석하여 분야별 의료취약지를 도출하였다. 보건의료분야가 매우 광범위하므로 이번 연구에서는 2차 의료 중 기초거점병원에 한정하여 의료취약지를 정의하였고, 향후 타 분야에 대해 추가적으로 분석할 계획이다.
  • 우선 계량화가 가능한 후보 분석지표를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후보지표에 대하여 델파이 조사법을 이용한 전문가 조사를 통해 최종 지표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oddard와 Smith[1]은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무엇이라 정의하였는가? 다양한 연구에서 의료취약지를 정의하였다. Goddard와 Smith[1]은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1) 특정한(specific) 양의 정보를 가지고, (2) 개인의 불편과 비용이 일정 수준 이하인 상태에서, (3) 특정 수준의 질이 보장되면서, (4) 특정한 종류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Aday와 Andersen [2]은 의료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1) 이용 가능한 의료자원의 양, (2) 자원의 공간적 분포, (3) 자원의 사회경제적 특성, (4) 소비자의식이나 태도 및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의료이용 의사, 비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으로 고려된 응급의료 분야의 취약지는 어떻게 선정되었는가? 최근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적용으로 지리적 접근성을 고려한 취약지를 선정하기도 했는데, 관내 분만율과 분만실까지의 이동거리를 감안하였다[5]. 특히 응급의료 분야에서는 자원뿐 아니라 의료의 질을 감안하여 취약지를 선정하였는데, 서비스의 안정성/효과성이 떨어져 이용결과가 나쁜 지역을 취약지로 정의하였다[6].
Aday와 Andersen [2]은 의료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Goddard와 Smith[1]은 보건의료에 대한 접근성을 (1) 특정한(specific) 양의 정보를 가지고, (2) 개인의 불편과 비용이 일정 수준 이하인 상태에서, (3) 특정 수준의 질이 보장되면서, (4) 특정한 종류의 보건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정의하였다. Aday와 Andersen [2]은 의료접근성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을 (1) 이용 가능한 의료자원의 양, (2) 자원의 공간적 분포, (3) 자원의 사회경제적 특성, (4) 소비자의식이나 태도 및 문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의료이용 의사, 비용 등으로 구분하였다. 국내에서는 통행량 분석을 근거로 거주지 범위를 확대한 '생활권'을 설정하고 이를 벗어나는 것을 이동으로 간주하여 분석한 연구[3]와 건강결과나 사회경제적 요인을 감안하여 건강 취약 지역을 정의한 연구[4]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Goddard M, Smith P. Equity of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theory and evidence from the UK. Soc Sci Med 2001;53(9):1149-1162. 

  2. Aday LA, Andersen R. A framework for the study of access to medical care. Health Serv Res 1974;9(3):208-220. 

  3. Yoon HS. Public health policy expansion strategy from regional healthcare resource distribution. Sejong: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06. 

  4. Shin YJ, Yoon TH, Kim MH, Cho EJ, Kim MK, Yoo WS, et al. Health promotion strategies and programmes development for health inequalities allevi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5. Na BJ, Lee SK, Lim NG, Choi YH, Hwang JH. The policy development for underserved area for obstetrics care.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6. Kim Y, Shin SD, Eun SJ, Lee CE. Policy development strategy for analyzing emergency related underserved areas and cost-effective resource allocation.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7. Park KS, Na BJ, Lim JS. Criteria for health service underserved area.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8. Park SK, Lee SH, Jeong AR, Jwa YK, Myung HB, Na BJ. Categorize medical service area by health care utilization and supply. Cheongju: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1. 

  9. Bae SS, Park NS, Park JH, Shin DS, Lee YS, Lee TJ, et al. Policy evaluation for Health Plan 2010. Chuncheon: Hallym Social Science Research Center; 2011. 

  10. Poltavski D, Muus K. Factors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inappropriate" ambulance transport in rural areas in cases of moderate to severe head injury in children. J Rural Health 2005;21(3):272-277. DOI: https://doi.org/10.1111/j.1748-0361.2005.tb00095.x. 

  11. Ricketts TC, Johnson-Webb KD, Taylor P. Definitions of rural: a handbook for health policy makers and researchers. Bethesda (MD): Office of Rural Health Policy; 1998. 

  12. Yoon YD, Seo SR, Kim HC. Effective analysis of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Wonju: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2010. 

  13. Kim YG, Sung JH. The empirical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study & its potential health insurance applicability in Korea.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5;15(3):70-84. DOI: https://doi.org/10.4332/kjhpa.2005.15.3.0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